[전체] “한흥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흥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흥근(1886-1948) 1886(고종 23)∼1948. 독립운동가.이칭별칭 백암(白岩)
- 문무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7(고종 24)∼1950. 독립운동가. [내용] 함경남도 원산 출신. 원산에서 한흥근(韓興根)이 조병철(趙炳喆)‧김장석(金章錫)‧안돈우(安敦雨)‧최자남(崔子南)‧김상익(金相翊) 등을 규합하여 여러 차례 비밀회의를 가지고...
- 조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1(고종 28)∼1936. 독립운동가. [내용] 함경남도 원산 출신. 1917년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한흥근(韓興根) 등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노령(露領)으로부터 무기를 반입하여 일제의 요인을 암살하여 이 혼란한 틈을
- 최자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고, 특히 사이토(齋藤實)총독 저격사건을 일으킨 강우규(姜宇奎)와는 약 4개월간 같이 집에서 기거하기도 하였다. 1918년 초 귀국하여 원산에서 잡화상‧여인숙을 경영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의 숙식 및 활동을 돕고 자금제공 등을 하였다. 동지 한흥근(韓興根)과 함께...
- 허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폭살하기 위하여 서울로 들어왔다. 강우규의 심부름으로 폭탄 1개를 더 가져오기 위하여 원산으로 간 사이 강우규가 사이토에게 폭탄을 투척하였다. 9월 17일 이 사건의 공범으로 붙잡혀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6월을 복역하였다. 1921년 9월 다시 한흥근(韓興根) 관...
고서·고문서(2)
- 平安道庄土文績_제10책 : 平安南道肅川郡保民垌所在庄土李彰鎬提出圖書文績類 1. 肅川居金國樑等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淑明宮 金弘采/徐光修/崔天奎/申聖基/徐昌洙/徐雲龍/申光瑞/楊廷煥/李宗秀/車允憲/金俊器/安星道/金宗彦/郭侹/楊星垕/金錫漸/金履彦/吳泰元/呂允楫/崔尙一/申碩河/金致隣/金晩秀/金國樑/金建河/趙尙俊/韓興根 19305_10.pdf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한성부 중서 정선방 호적_1906년[광무 10]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활용 연구(2단계) | 인하대학교]박이긍(朴履兢) 김학준(金鶴俊) 최길보(崔吉甫) 이경필(李敬弼) 이재하(李在夏) 조금석(曺今錫) 한흥근(韓興根)지역한성부 중서 정선방 | 시기1906년
주제어사전(3)
-
한흥근 / 韓興根 [역사/근대사]
1886-1948. 독립운동가.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백암(白岩). 함경남도 원산 출신. 응구(應球)의 아들이다. 어려서 향리에서 사서삼경을 수학하다가 근대화에 관심을 가지고 원산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한 뒤 측량학교(測量學校)를 다시 이수하였으며, 20세
-
최자남 / 崔子南 [역사/근대사]
1918년초 귀국하여 원산에서 잡화상·여인숙을 경영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의 숙식 및 활동을 돕고 자금제공 등을 하였다. 동지 한흥근(韓興根)과 함께 지하활동을 위하여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주요관공서 및 공장파괴계획을 모의하여 이에 필요한 폭탄을 원산 근교 산중에 감추어두었다
-
허형 / 許炯 [역사/근대사]
기 위하여 원산으로 간 사이 강우규가 사이토에게 폭탄을 투척하였다. 9월 17일 이 사건의 공범으로 붙잡혀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6월을 복역하였다. 1921년 9월 다시 한흥근(韓興根)관계 폭탄은닉혐의로 붙잡혔으나 예심 6개월 후 면소(免訴)되었다. 1922년부터는 평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