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필교”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38)

  • 하석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필사본. 1879년(고종 16) 아들 장석(章錫)이 간행하기 위하여 편집해 놓은 것이다. 권말에 장석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7(순조 7)∼1878(고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보경(輔卿), 호는 하석(霞石). 서울 출신. 아버지는 현감 원극(元屐)이며, 어머니는 음성박씨(陰城朴氏)로 준흠(俊欽)의 딸이다. ...
    이칭별칭 보경(輔卿)| 하석(霞石)
  • 대한불교청소년교화연합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실과 어린이집 등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현총재는 관응(觀應), 이사장은 현성(玄性)이 각각 맡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에 있다. 大總覽(大振興院, 1998)
  • 묘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낙산(駱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관음종(大觀音宗)의 총본산이다. 대한불교관음종은 처음 대한불교불입종(大佛入宗)이었는데 1988년에 명칭 변경하고, 19...
  • 안양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원효종(大元曉宗)의 총본산이다. 1926년 이태준(李泰俊)이 칠성각을 짓고 창건한 뒤 차례로 당우들을 지어 사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고서·고문서(11)

  • 28448 B028448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5年 3月 23日_017 ○再政。 以朴齊寅爲知敦寧, 申泰恒爲同敦寧, 爲工曹參判, 李基正爲兵曹參議, 金羽均爲工曹參議, 趙鳳夏·曺錫輿爲知經筵, 李正魯爲知春秋, 李珪永·李晩運爲同經筵, 崔在澈·裵殷星爲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028 B036028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5年 6月 29日_033 秉淵爲濟用副奉事, 李羲敎爲典籍, 李羲準爲知經筵, 洪稚圭爲同經筵, 爲禮賓主簿, 李晉會爲大興縣監, 尹致膺爲鎭川縣監, 李濟夏爲禮山縣監, 嚴錫鼎爲唐津縣監, 李翊會爲大司憲, 韓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將, 李冕榮·尹錫五爲曹司衛將, 鄭寅觀爲忠翊將, 洪鍾運·朴來冕爲文兼, 朴準鎔爲守門將, 朴順昌爲部將, 洪在羲爲德積僉使, 同知單李元根, 上護軍申應朝, 護軍·徐兢輔·金魯瞻, 副護軍尹致聖·洪澈周·尹錫五·金駿求·李容復, 以上竝單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韓國 佛敎 史學大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韓國 佛敎 史學大事典 인문학 불교학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韓國 佛敎 史學大事典 조명기 趙明基 大文化振興會 서울 1991 ...
    대표표제어韓國 佛敎 史學大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 韓國佛敎 史學大事典(2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韓國佛敎 史學大事典(2권) 인문학 불교학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韓國佛敎 史學大事典(2권) 趙明基 編著 趙明基博士遺稿編纂委員會 大文...
    대표표제어韓國佛敎 史學大事典(2권)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807∼1878). 1833년(순조 33) 성균관 진사시에 합격하고 목릉참봉에 기용된 후 호조참의·돈령부도정·오위도총부부총관·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자신이 근무했던 관아들을 그린《숙천제아도》화집을 편찬했다.

  • 대한불교미륵종 / 大彌勒宗 [종교·철학/불교]

    미륵세존의 종지를 갖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42년 김계주(金桂朱)가 전남 광산에서 무교(戊敎)로 포교를 시작하여 1946년 무을교(戊乙敎)로 개칭하였다. 1959년 김홍현(金洪玄)이 교주로 추대되어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 미륵세존의 교리를 종지로 삼는다.

  • 대한불교법상종 / 大法相宗 [종교·철학/불교]

    진표(眞表)를 종조로 삼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63년 김영동(金英東)이 전북 금산사(金山寺)에서 창립하였다. 진표(眞表)를 종조로 삼는다. 1977년 3월 8일 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에서 대한불교법상종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본사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 구복암(龜福庵)에

  • 대한불교법화종 / 大法華宗 [종교·철학/불교]

    의천을 종조로 삼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46년 정각(正刻)이 서울 성북동에 무량사(無量寺)를 세우고 창립.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로 삼는다. 1969년 4월 8일 대한불교법화종으로 불교단체등록을 하였다. 근본경전은 <법화경>이다. <법화경>을 중심으로 일요일에 사찰

  • 대한불교보문종 / 大普門宗 [종교·철학/불교]

    이긍탄(李亘坦)이 만든 불교 종단의 일종. 1972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보문사(普門寺)에서 창립하였다. 석가모니의 이모인 대애도니(大愛道尼)를 종조로 삼으며, 신라의 법류니(法流尼)를 중흥조로 삼는다. 근본경전은 <관음경>이며, 다른 대승경전을 겸수한다. 본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