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품서용법”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에 있어서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品階)를 제한하여 관리를 서용하는 제도. [내용] 의 기원은 이미 신라의 골품제(骨品制)와 고려시대의 관리서용법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대체로 조선 초기에 이르러 정비되었다.
  • 서얼(庶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얼 서얼 庶孽 적자(嫡子), 적손(嫡孫) 서자(庶子), 얼자(孽子) 서자(庶子) 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중서(中庶), 첩(妾), 양첩(良妾), 천첩(賤妾), 처첩제(妻妾制), () 사회사회구성원 개념용어
    하위어서자(庶子), 얼자(孽子) | 동의어서자(庶子) | 관련어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중서(中庶), 첩(妾), 양첩(良妾), 천첩(賤妾), 처첩제(妻妾制), 한품서용법(限品敍用法)
  • 내수사(內需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6품을 한계로 하는 ()의 대상자로 삼은 결과였다. 조선시대에 6품을 한계로 하는 관계는 천인들이 받는 잡직계(雜織階)였는데, 내수사의 관원들도 근본적으로 환관이나 노비 등 천인들이 많았기에 이 같은 의 적용을 받도록 한 것이었다. 따라서...
    상위어정오품(正五品) 아문(衙門), 궁내부 | 하위어내농포(內農圃), 부전수(副典需), 전곡(典穀), 전수(典需), 전화(典貨), 전회(典會), 별좌(別坐), 별제(別提), 서제(書題), 서제체아직(書題遞兒職) | 동의어내사(內司), 내탕(內帑), 본궁(本宮) | 관련어내수별좌(內需別坐), 일사칠궁(一司七宮), 내노비(內奴婢), 내노비공(內奴婢貢), 내사옥(內司獄), 내수사장리(內需司長利), 내수사전(內需司田), 내수소(內需所), 내장원(內藏院), 내탕고(內帑庫), 잠저(潛邸), 선두안(宣頭案), 이왕직(李王職) 회계계(會計係), 내장원(內藏院), 공노비(公奴婢) 혁파(革罷)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서용하는 제도. 조선 초기에 신분제도와 관직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신분과 직종에 따른 이 발달하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 있어서 한품의 구애를 받지 않고 종9품에서 정1품까지 올라갈 수 있는 신분은 양반뿐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