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치응” 에 대한 검색결과 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0(영조 36)∼1824(순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혜보(徯甫), 호는 병산(甹山). 종범(宗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장(世章)이고, 아버지는 광적(光廸)이며, 어머니는 민명인(閔命寅)...
    이칭별칭 혜보(?甫)| 병산(?山)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033 인물 () 1760 18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혜보(徯甫), 호는 병산(甹山). 1783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784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지평‧정...
    유형분류인물
  • 오우라 효자에몬(大浦兵左衛門)[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관수(館守)였다. ()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조선에 왔다.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対外関係史総合年表編集委員会,『対外関係史総合年表』, 吉川弘文館, 202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
    유형분류인물
  • 홍시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역임하였다. 시문에 뛰어나 정약용(丁若鏞)‧이유수(李儒修)‧() 등과 함께 죽란시사(竹蘭詩社)의 동우(同友)였다.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이칭별칭 약여(躍汝)
  • 사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안덕린(安德麟)의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1822년(순조 22) 5대손 환(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죽계지도(...

고서·고문서(57)

  • 夏日太學應敎進箋,蒙賜紙墨,諸生共辦酒饌,以昭聖惠,仍述十韻【時金復仁ㆍ沈鳳錫ㆍ韓錫敏ㆍ錫倫ㆍ金秀臣ㆍ李基慶ㆍ洪義浩ㆍㆍ洪樂欽諸公竝與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330 夏日太學應敎進箋,蒙賜紙墨,諸生共辦酒饌,以昭聖惠,仍述十韻【時金復仁ㆍ沈鳳錫ㆍ韓錫敏ㆍ錫倫ㆍ金秀臣ㆍ李基慶ㆍ洪義浩ㆍㆍ洪樂欽諸公竝與焉】 정약용(丁若鏞) 詩類|詩...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영의정 홍언필‧홍섬 묘 치제문(領議政洪彦弼洪暹墓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71598 B07159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卽位年 7月 16日_013 ○備邊司薦望, 東萊府使·申大尹·兪岳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602 B07160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卽位年 7月 16日_015 ○吏曹口傳政事, 東萊府使單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678 B040678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純祖 7年 10月 9日_019 ○以咸鏡監司李晩秀狀啓, 薦新進上生文魚·生大口魚, 限日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于曰, 卿其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0∼1824). 종범 증손, 할아버지는 세장, 아버지는 광적, 어머니는 민명인의 딸이다. 1806년 신유사옥 때 관직추탈 당한 채제공의 신원을 연합 상소하다 삭출, 다시 기용 개성부유수 때 난동을 일으킨 무뢰배 10여명이 곤장에 맞아 죽은 일로

  • 죽로문집 / 竹老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신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1년(순조 1) 4대손 방달(邦達) 등이 수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죽로문집』의 권두에는 조술도(趙述道)와 ()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주원(李周遠)과

  • 남경희 / 南景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8∼1812). 벼슬은 1788년경부터 승문원박사·성균관전적·사헌부감찰·병조좌랑을 거쳐 사간원정언에 이르렀다. 1791년 사직하고 고향에 은거하였다. 이만운과 대대로 맺어온 친분이 있었고, 이기경·이우· 등과 가깝게 지냈다. 저서는《치암

  • 관란유고 / 觀瀾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원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석인본. 1927년 원지상(元持常)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원세신(元世臣)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은 일고(逸稿)로 탄세사(歎世

  • 고성이씨신도비 / 固城李氏神道碑 [예술·체육/서예]

    래 되어 비면 마멸이 심하여 1818년(순조 18) 비문을 일부 개찬(改撰)하고 다시 세운 것이다. 비문은 ()이 지었고 이가순(李家淳)이 글을 썼다.처음에는 월곡면 미질동에 위치하였으나 안동댐 건설로 1974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비는 고성이씨 재사가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