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청통상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0)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조선과 청국의 국교가 단절되었다. 청국은 한국의 대등조약 체결을 위한 지속적 요구, 러시아와 일본 열강의 압력, 자국 상인 보호 문제 등에 직면하자 조약 체결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1898년 8월 청국은 한국과의 조약 체...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 대한제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통상조약의 조약정문.
    정의1899년 대한제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통상조약의 조약정문.[두산백과] | 문광부표기Han-Cheong Tongsang Joyak | MR표기Han-Ch’ŏng T’ongsang Cho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역장정(貿易章程), 병권대신(秉權大臣), 영사재판권(領事裁判權),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 해관장정(海關章程) 정치외교/외교사안|경제/산업 법제 정책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대...
    관련어무역장정(貿易章程), 병권대신(秉權大臣), 영사재판권(領事裁判權),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 해관장정(海關章程)
  •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겉표지 포함 총 21쪽. 한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0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 조약은 총 15개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명 ( : Treaty of Commerce between Korea and China)이라 부른...
    이칭별칭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 중국공사관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이었지만, 1893년에는 97명으로 늘어나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본래적 의미로 양국 간 상주 외교사절의 명문화는 1899년 8월에 체결된 ()에 근거한다. 의 체결을 주도한 서수붕(徐壽朋)이 대한제국 주재 초대 공사로 부임하였고...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

  • 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부임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No.12 A.4177 보고 체결을 목적으로 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이 조선에 도착. 2월 1일 고종 알현해 신임장 제출, 서수붕은 워싱턴 체류경험 있음. 조선 신문들이 청 황제가 조선 왕에 보내는 신임장 첨부. 신임장에 국호를 대한제...
    대표표제어신임 주한청국공사 서수붕 부임 보고 | 발신자라인스도르프 | 수신자호엔로에-쉴링스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1)

  • 〉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韓-淸의 외교 분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구범진, 게재일 : 2006
    32067 구범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구사학회 2006 〈〉 일부 條文의 해석을 둘러싼 韓-淸의 외교 분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연구과제(1)

  • 한국 근대 국제법 전문용어 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유바다 | 고려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외교]

    1899년 한국과 청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문 1899년 9월 11일 대한국의 전권(全權) 박제순(朴齊純)과 대청국의 전권 서수붕(徐壽朋) 사이에 체결된 한·청 양국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해 조약하였다. 이 조약은 당시 한청이 서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알려준다.

  • 주한중국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1882년 8월에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이후 조선에 파견된 상무위원이 주한 외교사절의 역할을 수행. 의 체결을 주도한 서수붕이 대한제국주재 초대 공사로 부임하였고, 하태신 증광전이 후임이었다. 1905년 일본의 통감부 설치로 중국 외교사절은 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