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10)
- 한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97) 『한민족의 독립운동사』(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90) 『독립유공자공훈록』6(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한징(1887-1944)이칭별칭 효창(曉蒼)
- 근대신어 : 건축학(建築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1446 건축학 가항 建築學 『잉글랜드와웨일쓰의美 』며其他有用한建築學書를著한 ‧ 리톤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미』며 기타 유용한 건축학 책을 쓴 존 브리턴은 崔南善 自助論 新文館 1918 1...출전自助論[新文館] | 계통분류 [사회생활] 건축 [과학지식] 공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권세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07(숙종 33)∼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무숙(茂叔), 호는 도계(道溪). 기(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흠(以欽)이고, 아버지는 진사 한징(漢徵)이며, 어머니는 정백행(鄭百...이칭별칭 무숙(茂叔)| 도계(道溪)
- 문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준말 사정위원, 1936년 그 수정위원을 지냈다. 1938년 7월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이칭별칭 청람(靑嵐)
- 큰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최현배(崔鉉培) 등 5명을 집행위원으로 선정하였으며 이극로‧이윤재‧한징(韓澄)‧이용기‧김선기(金善琪) 등 5명을 편찬원으로 선정하였다. 1936년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선어학회에 통합된 뒤, 전임 집필위원으로 이극로‧이윤재‧정인승(鄭寅承)‧한징‧이중...
고서·고문서(59)
- 7 第七統統首舟師敎師金汗徵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미상 1726년 미상 第二十二黃巖外 7 第七統統首舟師敎師金汗徵 第一戶 舟師敎師金萬世改名汗徵年肆拾伍壬戌本金海父別破陣重江祖定虜 衛斗生曾祖軍功守門將天外祖折衝將軍鄭仁起本東萊妻李召史年參 拾伍壬申本慶州父驛吏芿叱同祖驛吏進成曾祖驛吏重記外祖業武張芿叱 同本...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二十二黃巖外
- 黃海道 庄土文績_제58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 125. 康熙三十六年丁丑三月二十四日長子任漢徵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156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58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 58-125 125. 康熙三十六年丁丑三月二十四日長子任漢徵處明文 분재기 1 30x36.5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0x3...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니포(泥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066 B038066 니포 泥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3月 6日_002 ○下直, 靈巖郡守金墰, 平山浦萬戶金世榮, 唐浦萬戶吳漢徵, 助泥浦萬戶李賢宅, 金甲島萬戶盧世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니포(泥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080 B038080 니포 泥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3月 6日_002 ○下直, 靈巖郡守金墰, 平山浦萬戶金世榮, 唐浦萬戶吳漢徵, 助泥浦萬戶李賢宅, 金甲島萬戶盧世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58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 126. 康熙三十八年-己卯-三月初八日韓昌赤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9.7x38.3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699년(숙종 25) 3월 8일 任漢徵 전주 任漢徵 전주 韓昌赤 韓昌赤 朴枝興 任漢徵 황해 장연 도리방 二道道里 황해도 장연(군/현) 도리방(면/방) 二道道...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4)
- 報請寛限徵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부여군 현면군슈리에셔 작년슈에 가옥표퇴된것이 슈십여호요 뎐답이디무여되여 그인민등의 류리졍경은 목불인견이더니 본년츈궁을당야 젼학을 면치못고 아 자가 삼명이라 동인민등이셰무소에 호소고 결셰를 보리나기지 관한을 호소외라 슈에피 홍...게재일1907년 5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訓督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륙군법원에셔 대참령 리태씨를 심샤한즉 쟝젼이 쳔여원인 삼쳔원은 츙납하고 쳔여원은 각병뎡의게 공용한징거가 소연한지라 그 공용의허실을 샤실하는즁인 원수부에셔 연훈령하야 즉위죠률하라 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請禁立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셔경무관 류기양씨가 경무쳥에 보고기를 남일이등디에 일인등이 표목셰워 뎡계일은 이왕보고얏거니와 근일이로 표목셰우곳을 져져허젹간한즉 일인등의쇼답이 혹군용디라도며 혹한셩부인허가 잇다고도며 로이유엿다고도야 한아로뎍실한징거 븨이지아니고 한셩부...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민족해방운동의 탄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학회에서 조선어사전을 편찬하는 사무를 하고 있던 정태진을 고문하여 조선어학회가 민족주주의자 단체라는 자백을 강제함. 1943년까지 33명을 체포함. 취조 과정에서 이윤재, 한징이 사망함. 조선학회가 학술단체를 가장한 독립단체라 하여 다수 징역에 처함 일제는 1931년...대표표제어민족해방운동의 탄압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박경식 | 출처日本帝国主義の朝鮮支配(下)(1973)(pp.197-236) | 키워드조선민족해방투쟁, 언론출판 검열, 내선일체 강화
기타자료(1)
- 이리시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료에관한징수조례중개정조례공포(이리시조례47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이리시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료에관한징수조례중개정조례공포(이리시조례479호) 이리시교육비특별회계소관제증명수수료에관한징수조례중개정조례공포(이리시조례479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이리시교육청 | 사료철명조례규칙원본
주제어사전(3)
-
한징 / 韓澄 [언어/언어·문자]
1887-1944. 항일기의 한글학자·독립운동가. 호는 효창(曉蒼). 시대일보·조선중앙일보 등의 기자로 민족언론창달에 노력했다. 조선어학회에 가입하여 이윤재(李允宰)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편찬전임위원이 되었고,〈한글맞춤법〉을 제정하고 조선표준어사정위원이 되어 표준어제정
-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언어/언어/문자]
각고 끝에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주석·체재·인쇄·교정 과정에서는 편자와 교분이 있었던 이윤재(李允宰)·한징(韓澄) 등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문세영 / 文世榮 [언어/언어/문자]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 사설은 “이제야 조선말로 주석한 조선말의 사전을 조선사람의 손으로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