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준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1)
사전(91)
- 유천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한준겸(韓浚謙)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639년(인조 17) 아들 회일(會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익성(申翊聖)‧이식(李植)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동국대학교 도서...
- 한준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준겸 1557(명종 12)∼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 중 그의 필적.이칭별칭 익지(益之)| 유천(柳川)| 문익(文翼)
- 한회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0(선조 13)∼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형보(亨甫), 호는 협소(愜素). 할아버지는 좌랑 효윤(孝胤)이고, 아버지는 국구(國舅)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준겸(浚謙)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형보(亨甫)| 협소(?素)
- 성우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하고, 1620년 호조판서에 올랐다. 1622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로 있을 때 도원수 한준겸(韓浚謙)이 인조반정에 가담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이를 거절하고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갔다. 1623년 인조반정 후 황현(黃玹)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장살되었다. 이듬해 이귀(...이칭별칭 자수(自受)
- 이세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녕부사 한준겸(韓浚謙)의 딸로 인조의 비 인열왕후(仁烈王后)의 이복동생孽妹]이다. [내용] 어려서부터 국량이 탁월하고, 비단옷 같은 화려한 의복을 입지 않았으며, 의지가 강하고 정의심이 넘쳐 고인(古人)의 풍도가 있었다 한다. 처음 진원부수(珍原副守)를...이칭별칭 자고(子固)|진원군(珍原君)
고서·고문서(39)
- 을묘년 한준겸(韓浚謙)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서평부원군한준겸회산부부인황씨 치제문(西平府院君韓浚謙檜山府夫人黃氏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서화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643 B00464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5年 1月 21日_004 ○右議政吳允謙及韓俊謙·李弘胄·徐渻·李德泂·金瑬, 侍慈殿行, 出去于江都。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02 B00480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5年 1月 21日_004 ○右議政吳允謙及韓俊謙·李弘胄·徐渻·李德泂·金瑬, 侍慈殿行, 出去于江都。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한준겸;韓俊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675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102면 1. 숭전·숭실 졸업생;10) 하行部 한준겸;韓俊謙 평원군 용여면 운봉리;선천...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한준겸 / 韓浚謙 [종교·철학/유학]
1557(명종 12)∼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승원의 증손, 할아버지는 여필, 아버지는 효윤, 어머니는 신건의 딸이다. 인조의 장인이다. 15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고, 예문관검열, 함경도관찰사, 지중추부사, 겸지춘춘관사 등을 역임하였다. 함흥의
-
기묘제현수필 / 己卯諸賢手筆 [예술·체육/서예]
비롯한 동료·친우들이 송별의 뜻에서 서(序)·시(詩) 등을 지어준 것이다. 아들 안록(安琭)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모두 24명의 필적이 48면에 실려있다. 이 수필첩에는 김인후(金麟厚)가 1549년 7월에 쓴 발문과 호남 안찰사 한준겸(韓浚謙)이 1603년에 쓴 발문이
-
인조 / 仁祖 [역사/조선시대사]
1595(선조 28)∼1649(인조 27). 조선 제16대 왕. 선조의 손자, 정원군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구사맹의 딸인 인헌왕후이다. 비는 한준겸의 딸인 인열왕후이다. 계비는 영돈녕부사 조창원의 딸인 장렬왕후이다. 1607년(선조 40) 능양도정에 봉해졌다. 이
-
복천서원 / 福川書院 [교육/교육]
영전(影殿)을 옮겨짓고 이듬해에 공자의 화상을 이전할 때 군수 성환(成瑍)이 복천원(福川院)이라 현판을 달고 서원으로 불렀으며, 이것이 향교와 서원으로 갈라지는 시초가 되었다. 이계손(李繼孫)·유강(兪絳)·이후백(李後白)·한준겸(韓浚謙)·남구만(南九萬)·이안눌(李安訥)
-
기묘제현수첩 / 己昴諸賢手帖 [예술·체육/서예]
것이다.수첩 앞쪽에는 한준겸(韓浚謙)의 지문(識文)이 있고 뒤쪽에는 조광조의 11대손 조성교(趙性敎)가 쓴 1875년의 발문이 있다. 조성교의 발문에 의하면, 자신이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이곳에 부임하여 이 서첩을 열람하고 전라감영에서 수리했다는 등의 경위가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