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종순”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이희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귀향한 조한휘(趙漢輝)ㆍ()ㆍ이찬영(李讚榮) 등에 의하여 계획되었다. 조한휘로부터 서울의 만세운동상황을 전해들은 그는 이 계획에 적극 찬성하였다. 대산면의 한문교사인 안지호(安智鎬)와 연락을 취하면서 함안읍 장날을 이용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 안지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지청에서 3개월형에, 2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1919년 3월 이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당시 한문교사로 있으면서 조한휘(趙漢輝)‧()‧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박건병(朴建秉)‧강기수(姜琪秀)‧한관열(韓灌烈)...
    이칭별칭 운익(雲翼)| 우봉(藕峯)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893-193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1919년 강기수(姜琪秀)·박건병(朴建秉)·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조한휘(趙漢輝)·한관열(韓灌烈) 등과 함께 고종 황제 국장(國葬)에 참여하였다가 서울에서 시행된 독립선언식을 목격

  • 한일동 / 韓一東 [역사/근대사]

    1891-1934년 4월 3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강기수(姜琪秀)·박건병(朴建秉)·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조한휘(趙漢輝)·한관열(韓灌烈)·() 등이 고종 황제 국장(國葬)을 다녀오면서 서울에서 시행된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