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정당집”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 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 조선 후기의 학자 송문흠의 시문집. 1788년(정조 12) 사위 김광묵이 편집, 간행하였다. 장서각도서.
  • 성리논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퇴계집』, 권5에 『사계집(沙溪集)』ㆍ『동춘집(同春集)』, 권6에 『송자대전(宋子大全)』, 권7ㆍ8에 『수암집(遂菴集)』, 권9에 『도암집(陶庵集)』ㆍ『미호집(渼湖集)』, 권10에 『역천집(櫟泉集)』ㆍ『()』에 보인 설을 중심으로 논변하였다. 이...
  • 몽두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복 등과 동일 계통의 옷이다. 太宗實錄 世宗實錄 芝峯類說 몽두리 조선시대 여기나 무당이 입던 옷.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
  • 이윤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丹陵遺稿 丹陵散人遺集 凌壺集 江漢集 夢梧集 醇庵集 韓國의 美 12-山水畵 下-(安輝濬, 中央日報社, 1982) 李麟祥畵派의 연구(兪弘濬, 弘益大學校碩...
    이칭별칭 윤지(胤之)| 단릉(丹陵), 담화재(澹華齋), 단릉산인(丹陵山人)
  • 이인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며, 문집인 ≪능호집≫의 발문은 김종수(金鍾秀)가 썼다. 凌壺集 丹陵遺稿 丹陵散人遺集 江漢集 醇庵集 瓛齋集 夢梧集 阮堂集 李麟祥手簡(任昌淳 譯...
    이칭별칭 원령(元靈)| 능호관(凌壺觀), 보산자(寶山子)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4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寒泉堂遺稿 寒圃齋集 涵溪集 涵碧堂集 涵齋遺稿 海錦集 海嶽集 海左集

고서·고문서(1)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外姊權孺人述 (37) 權尙夏의 증손인 孺人 권씨의 述이다. 跋 조카 宋時淵이 지은 본 문집의 跋文이다. 송문흠의 인적 사항, 문집의 간행 경위가 간단히 정리되어 있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문흠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788년(정조 12) 사위 김광묵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카 시연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64수, 권2∼4에 서 88편, 권5∼7에 잡저 32편, 서 4편, 기 7편, 발 2편, 명 13편, 찬 2편, 송

  • 송문흠 / 宋文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잃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동몽교관으로 발탁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이후 종부시주부·형조좌랑·문의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