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원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1)
사전(151)
- 의례경전통해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韓元震)이 편찬한 예설서. [내용] 11권 7책. 목판본. 1742년(영조 18)에 간행되었다. 주희(朱熹)가 통해(通解)한 『의례(儀禮)』와, 황간(黃榦)의 『의례집전집주(儀禮集傳集注)』‧『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
- 장자변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韓元震)이 1716년(숙종 42)에 편찬한 노장 사상 비판서. [내용] 1책. 필사본. 성군각(成君覺)이라는 사람과 함께 『장자』를 강독한 뒤, 사람들로 하여금 잘못된 사상에 미혹되는 일이 없도록 하자는 그의 청...
- 김한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우의정 관주(觀柱)의 아버지이다. 한원진(韓元震)의 문인이다. [내용] 종질녀가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되자 그 후광을 업고 중앙의 명사들과 교유하고 노론벽파(老論僻派)의 당론을 조종하는 등 당쟁에 깊이 관여하였다. 관직은...이칭별칭 여수(汝綏)| 한간(寒澗)
-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49) 한원진(1682-1751) 1682(숙종 8)∼1751(영조 27).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1682-1751)이칭별칭 덕소(德昭)| 남당(南塘)| 문순(文純)
- 정혁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딸이다. 한원진(韓元震)의 사숙문인이다. 1780년(정조 4) 학행으로 천거되어 광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임천(林泉)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노래한 산중시를 많이 남겼고,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을 강론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그의...이칭별칭 명준(明峻)| 성당(性堂)|덕구(德耉)
단행본(2)
- 남당 한원진가 고문서자료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1단계) | 충남대학교]저자 : 김상기(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장), 이병찬(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박우훈... | 출판사 : 도서출판 문진 | 출판일 : 2012.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간행사 해제 남당 한원진가 고문서 교령류 소차계장류 첩관통보류 명문문기류 호적류 시문류 간찰 자료
- 충청지역 재지사족의 학문과 활동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저자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1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죽찬 강주의 한시 연구 雪峰 姜栢年의 漢詩 硏究 復泉 姜鶴年家의 古文書 現況과 性格 震澤 申光河의 《四郡紀行》 硏究 南塘 韓元震의 학문적 소통과 교유 18~19
고서·고문서(156)
- 한원진 전령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戊申(1728) 4월 11일에 湖西按撫使가 前司禦韓元震에게 내린 전령이다. 湖西按撫使가 前司禦韓元震을 道從事官으로 임명하였으니(自辟) 전령이 도착한 즉 말을 타고 속히 오라는 전령이다. 傳令은 관원이 관하의 官吏‧面任‧民 등에게 내리는 명령서이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 유지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26년(擁正4) 11월 23일에 世子翊衛司司禦韓元震에게 네가 가서 없은지가 한달여가 지났는데, 너를 생각하는 마음이 어찌 조금이라도 느슨해 졌겠느냐. 매번 경연에서 강을 할 때에 네가 經史를 토론 하는 것이 생각이 난다. 나에게 이르라는 것이니 즉일로 길에 오르라...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유지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26년(擁正4) 2월 9일에 영조가 前主簿韓元震에 보낸 유지이다. 내용은 國王의 덕을 성취하는 책임은 경연에 있지, 경학을 하는 선비는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경연을 열어 강론할 시에 宿儒와 莊士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즉 일로 조정에 나와 나를 도우...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유지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27년(옹정4) 6월 15일에 前主簿 韓元震에게 내린 유지이다. 내용은 고 선철과 왕은 經史을 토론하고 治道를 강구하는데 뜻을 둘때에는 반드시 경술지사가 경연에 출입하면서 왕을 깨우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이에 내가 경연관으로 별도로 뽑았으니 속히 올라와서...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유지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27년(옹정5) 6월 9일에 영조가 經筵官 韓元震에게 보낸 유지이다. 내용은 경연관을 뽑은 것이 여러번이나 나의 성의가 부족하여 초지하지 못하였다. 강관들이 진언한 문의 사람마다 각기 異見이 있는데, 이는 여염집에서 아이를 가르키는 것과 같다. 그러니 반드시 師傅...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8)
-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선열, 게재일 : 201347351 이선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해숙, 게재일 : 201665581 최해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6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한원진과 홍대용의 정학이단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3911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한원진과 홍대용의 정학이단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09
- 韓元震의 人物性 異論과 『주역』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은수, 게재일 : 200409676 안은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04 韓元震의 人物性 異論과 『주역』 이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남당 한원진과 다산 정약용의 미발론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단윤진, 게재일 : 201616139 단윤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6 남당 한원진과 다산 정약용의 미발론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6
멀티미디어(80)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기타자료(4)
- 한원진;韓元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663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3면 한원진;韓元鎭 함남 북청읍 東里 196 1939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원진;韓元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91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24면 한원진;韓元鎭 함남 북청읍 東里 196 1939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원진(항륵);韓元鎭(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43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1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0) 제28회 153명(1932년 3월 졸업) 한원진(항륵);韓元鎭(伉■)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원진(항륵);韓元鎭(伉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2846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41면 (30) 제28회 153명(1932년 3월 졸업) 한원진(항륵);韓元鎭(伉玏) 명치대학 법학부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4)
-
한원진 / 韓元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82∼1751). 호락논쟁에서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다. 이이·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학통을 계승하여 기발이승일도설을 지지하였고, 《주역》을 중심으로 하는 역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저서에 《남당집》《주자언론동이고》 등이 있다.
-
이간 / 李柬 [종교·철학/유학]
1677-1727. 조선 숙종때의 유학자. 권상하의 제자이다. 인물성동론과 미발순선설을 주장하여 동문인 한원진과 일대 논쟁을 벌였다. 이것이 유명한 호락논쟁이다. 그의 입장이 낙론이고 한원진과 그 스승인 권상하의 입장이 호론이다. 저서에 <외암집>이 있다.
-
노강서원 / 老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에 있는 서원. 1712년(숙종 3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윤봉구(尹鳳九)·송환기(宋煥箕)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
-
김정묵 / 金正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9∼1799). 김장생의 후손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힘쓰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성리학 예설에 밝았으며 한원진의 논술이 이이·송시열에 위배됨을 지적하였다. 저서로는《과재유고》가 있다.
-
이제삼 / 李齊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6∼1773). 이석형의 후손이다. 한원진, 이간, 윤봉구 등과 친하게 지냈다. 1723년(경종 3) 계묘 증광시 진사 3등 39위로 합격하였다. 영조 37년(1761)에 침랑에 제수되었고, 80세에는 중추부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