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47)
사전(539)
- 신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5(영조 21)∼1806(순조 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원(子元), 호는 한수재(寒秀齋). 아버지는 증 사복시정(贈司僕寺正) 건(睷)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順興安氏)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이칭별칭 자원(子元)| 한수재(寒秀齋)
- 한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감기. 鎬以家中喪禍及病故 滾汨三四朔 訖無開霽時刻 身家亦以寒. 長在伏枕 悶事何喩, 박문호(朴文鎬), 37-8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33(충숙왕 복위 2)∼1384(우왕 10).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맹운(孟雲), 호는 유항(柳巷). 중찬(中贊) 악(渥)의 손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부터 문재(文才)가 뛰어나...이칭별칭 맹운(孟雲)| 유항(柳巷)| 문경(文敬)
- 漢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J_0035 漢壽 지방 漢壽地名, 野草, 亭侯, 鄕侯 蜀, 葭萌, 漢壽城 關羽, 漢壽亭侯, 劉備, 劉禹錫 晉書, 漢壽城春望詩 J_06_01_07 지봉유설 6권 1장 7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6권 1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韓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671 韓脩 인물 密啓, 用事, 非正人, 致亂, 先見之明 辛旽, 李仁復 麗史 D_10_02_20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3)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제1부 재중 조선인의 이주와 정착 (1)1930년대 초반 북간도 지역 한인자치운동과 중국공산당 대응 (2)1930년대 초반 만주 지역 안전농촌의 설치와 성격 (3)'민족협화'와 '자치'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3-5, 충청북도 제천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이창식, 최명환, 장호순, 김영선...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3.10.28.분야문학 | 유형단행본9. 신백동 10. 의림동 11. 자작동 12. 한수면 13. 화산동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鶴皐遺稿 鶴巖集 鶴庵集 寒溪集 寒水齋集
논문(1)
- 중한수교 후 한국문학의 중국에서의 전파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조유평 | 게재정보 : 아시아문화
고서·고문서(1,692)
- 漢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30_0170 漢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한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수 박 남자 경상남도 밀양시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흥안맹오난호특시(兴安盟伍兰浩特市) 자라트기 작동공사 선광학교 ...대표표제어한수 | 성씨박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寒水齋集序 (1) 1761. 권상하가 이이-김장생-송시열의 嫡傳임을 천명하고, 특히 理氣 心性에 대한 공이 크다는 것을 강조한 내용이다. 卷一 詩 濟民樓-戊戌(1658), 謾吟, 清涼途中-己亥(1659), 鶯, 觀日出-壬寅(1662), 鏡浦臺次崔楊浦澱韻,분야문학 | 유형문헌
- 중한수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한수교 박 여자 평안북도 박천군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관성구(宽城区) 오송로 18-1 4 3 중한...대표표제어중한수교 | 성씨박
- 시한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시한수 조 남자 전라남도 곡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릉현(穆稜县) 마도석진 홍성촌 2 1 시한수, 문제풀이,...대표표제어시한수 | 성씨조
구술자료(72)
- 명당 한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명한 점쟁이 이야기에서 자료가 끊어진 듯하므로, 이번엔 유명한 풍수 이야기로 돌렸다. 그래서 명당 이야기를 꺼내고 이야기를 요청했더니 이 이야기가 나왔다. 한수란 서김녕리에 있는 지명이요, 수명(水明)이다. 이 곳이 명당이었는데, 지금은 도로확장 때문에 다 파헤...조사일시1979-04-01 | 조사장소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 제보자안용인
- 강한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강한수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416 113 전남 음악조사자료 1) 강한수가 피리 등 국악기 학습이력과 진도 지역의 삼현육각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한수
- 시 한수로 남편을 얻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3이 끝나고 한참 사이를 두고 나온 얘긴데 전설이라고 해야 할지 어떨"<page id="676"/>지 모르겠다며 시작했다.*조사일시1980-02-25 | 조사장소충청남도 대덕군 회덕면 | 제보자정인운
- 제주도 한림 한수영등굿_개관-제청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지내는 장소이다.분야제청 | 지역제주도
- 제주도 한림 한수영등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을 할 때 무녀가 착용하는 옷으로 신복이라고 할 수 있다.분야무복 | 지역제주도
기초학문(87)
- 유가공부론과명상-퇴계〈활인심방〉을응용한수양치료모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6290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유가공부론과명상-퇴계〈활인심방〉을응용한수양치료모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한수산의 〈부초〉에 나타난 하층민 서사 구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1394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수산의 〈부초〉에 나타난 하층민 서사 구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바흐의 《요한수난곡》 입문: 요한의 기록, 루터의 신학, 그리고 바흐의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가영, 게재일 : 201428898 이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양음악연구소 2014 바흐의 《요한수난곡》 입문: 요한의 기록, 루터의 신학, 그리고 바흐의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고려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와 시(詩) - 『목은시고』, 『유항시집』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주, 게재일 : 201715830 김윤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회 2017 고려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와 시(詩) - 『목은시고』, 『유항시집』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아파트 내외부공간 수요패턴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한수, 게재일 : 199500449 김한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 1995 아파트 내외부공간 수요패턴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1995
신문·잡지(313)
- 金漢洙(-)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漢洙(-) 해주 金漢洙 - 海州面 南本町 - - 요리점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漢洙(-)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요리점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於本吉次(寒水堂)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於本吉次(寒水堂) 서울 於本吉次 寒水堂 永樂町 2-58 식료품 - 과자 제조 49.74 금융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於本吉次(寒水堂)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鄭漢洙(昌永家具店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漢洙(昌永家具店 ) 수원 鄭漢洙 昌永家具店 本町 2町目 90 - - 가구점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鄭漢洙(昌永家具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가구점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이택돈·김한수·오세응 신민 세 의원 사퇴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이택돈·김한수·오세응 신민 세 의원 사퇴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1년 12월 28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2 이 글은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통과 이후 신민당의 의원이 사퇴서를 제출...대표표제어이택돈·김한수·오세응 신민 세 의원 사퇴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가보위특별조치법, 국가비상사태, 신민당 의원 사퇴, 신민당, 이택돈, 김한수, 오세응
- 운양함포격, 일한수호조약체결 및 조선속방론에 관한 청정부와 교섭한 일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 조선의 지위문제 운양함포격, 일한수호조약체결 및 조선속방론에 관한 청정부와 교섭한 일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75년 9월 외무성 『일한교섭약사』(동경: 외무성, 1894)(pp.1-18.) 서신/정책보고서 19 해당 기사에...대표표제어운양함포격, 일한수호조약체결 및 조선속방론에 관한 청정부와 교섭한 일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외무성 | 출처『일한교섭약사』(동경: 외무성, 1894)(pp.1-18.) | 키워드속방, 조일수호조규, 일청수호조규, 독립국, 자주
멀티미디어(68)
-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불적분야-제원 傳정금사지 발굴조사 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불적분야-제원 傳정금사지 발굴조사 보고- h2-0092_#1 유구 사진1. 한수역리 전 정금사지 발굴상황 2013-08-05_0.4685785_사진1. 한수역리 전 정금사지 발굴상황.jpg h2-00제목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불적분야-제원 傳정금사지 발굴조사 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82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약보고서 h2-0071_#1 유구 청풍 신담 도면 2013-07-24_7.485598E-02_청풍 신담 도면.jpg h2-0071_#2 유구 5. 한수역리 전정금사지 법당건물지 추정지역 2013제목82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약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학 개관 한국어학 개관 학문으로서의한국어학을처음접하는학습자들이한국어가세계의한언어로서 어떠한특질을가지고있는지넓은시각으로조망할수있도록평이한수준에서한국어학의연구영역과연구 방법을탐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학 개관 한국어학 개관 학문으로서의한국어학을처음접하는학습자들이한국어가세계의한언어로서 어떠한특질을가지고있는지넓은시각으로조망할수있도록평이한수준에서한국어학의연구영역과연구 방법을탐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어학 개관 한국어학 개관 학문으로서의한국어학을처음접하는학습자들이한국어가세계의한언어로서 어떠한특질을가지고있는지넓은시각으로조망할수있도록평이한수준에서한국어학의연구영역과연구 방법을탐강좌제목한국어학 개관 | 강의자박진호 교수
기타자료(172)
- 박한수;朴漢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410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3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4) 제14회(1925년) 박한수;朴漢壽 함경선 居山驛前 예수...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한수;朴漢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294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35면 박한수;朴漢銖 尙州경찰서 제7회 192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한수;吳漢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451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0면 오한수;吳漢洙 의성군 의성면 도동동 857 제10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수임;韓壽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345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3면 (2) 졸업생일람 한수임;韓壽任 개성부 만월정 328-21 고보14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수산;韓壽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916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2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5)송도고보 제8회(소화2년 3월) 93명 한수산;韓壽...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권수 | 서울대학교 | 2008 | 국내 | 서울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0)
-
한수 / 韓脩 [종교·철학/유학]
1333(충숙왕 복위 2)∼1384(우왕 10). 고려 후기의 문신. 악의 손자이다. 1347년(충목왕 3) 15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전리좌랑, 성균사예, 비서소감, 병부시랑, 국자감좨주 등을 역임하였다. 이색과는 일찍부터 교분이 깊었고,
-
강한수 / 姜漢秀 [역사/근대사]
1921-1944. 독립운동가. 전라남도 담양 출신. 학생비밀결사인 무등회(無等會)를 조직,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옥사한 애국지사이다. 1938년 광주서중학교 3학년 재학중 학우 주만우(朱萬尤)·유몽룡(劉夢龍) 등과 함께 서중독서회(西中讀書會)를 조직하여 배일운동에 참가
-
임한수 / 林翰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1886). 1846년(헌종 12) 식년시에 병과로 급제, 1848년 정언·교리·종부시정을 지냈다. 1868년에 대사간과 이조참판을 역임, 1875년 진하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의주부윤과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는데 일본인들이
-
한수동 / 韓壽同 [예술·체육/국악]
1895년∼1940년. 가야금산조 및 풍류의 명인. 전라남도 해남(海南) 출생. 대금·시나위·가야금의 명인이던 숙구(淑求)의 아들이다. 화순군 동복(同福)에서 살았다. 아버지에게서 가야금·풍류 및 산조를 배워 어려서부터 신동(神童)으로 이름이 났고 역대 가야금산조 명
-
한수재집 / 寒水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권상하의 시문집. 35권 15책. 목판본. 1761년(영조 37)에 손자 진응에 의하여 경상감영에서 간행되었다. 윤봉구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시 307수, 권2·3에 소 26편, 권4∼20에 서 187편, 권21에 잡저 9편, 권22에 서 3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