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성전보총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한성전보총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한말조약휘찬』(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1965) 한성전보총국 1877년 전기 통신을 전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조선전보총국의 전신이었던 한성전보총국.
- 남로전신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로. [내용]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선로는 1885년 9월 28일 개통된 한성∼제물포(지금의 인천)간의 전신선이다. 이 전신선은 청나라의 주도 아래 가설되었고 한성전보총국이...
- 조선전보총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신부호와 요금 등이 명시된 독자적인 <전보장정 電報章程>을 제정하여 초창기 전신사업의 확고한 기틀을 다지기도 하였다. 1885년에 서로전신선이 가설되었으나 청나라의 관할하에 있던 한성전보총국(화전국)에서 대신 관리, 운영했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 전신(電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신 전신 電信 전보(電報),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 남로전신선(南路電信線), 북로전신선(北路電信線),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 전보장정(電報章程), 청일전쟁(淸日戰爭), 러일전쟁(露日戰爭) 경...관련어전보(電報),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 남로전신선(南路電信線), 북로전신선(北路電信線),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 전보장정(電報章程), 청일전쟁(淸日戰爭), 러일전쟁(露日戰爭)
- 전신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즉, 1885년 9월 28일에 한성전보총국과 인천 분국이 개국되고 평양(1.29.)과 의주(11.20.)분국이 개국되는 등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국이 설립되었다. 이어서 1887년에 남로전신선이 개통되고, 조선전보총국(4.6.)과 공주‧전주‧대구 및 부산 분국이 속속...
고서·고문서(1)
- 조선시대 한글편지:명성황후가 민영소에게 보낸 편지(89)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성황후 생가 명성황후 편지글(이기대, 2007, 다운샘) 명성황후 생가 영인사항 : 명성황후 편지글(이기대, 2007, 다운샘) 이 편지는 명성황후가 민영소에게 보낸 것이다. 본문에 “향항 젼보”가 언급된 것으로 미루어, 한성전보총국이 개설된 1885년 이후...발신자명성황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주제어사전(4)
-
한성전보총국 / 漢城電報總局 [역사/근대사]
1885년 서로전선을 운영하기 위하여 서울에 설치된 전보국. 1885년 6월 조선과 청 사이 조청전선조약이 체결되어, 8월 인천부터 서울간 전선가설공사가 완료되었다. 이에 따라서 전선의 전보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한성전보총국이 설치되었고, 인천, 평양, 의주에 분국을
-
남로전신선 / 南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로.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선로는 1885년 9월 28일 개통된 한성∼제물포(지금의 인천)간의 전신선이다. 이 전신선은 청나라의 주도 아래 가설되었고 한성전보총국이라는 청나라의 기구에 의하여 운영되었으나, 남로전
-
전신 / 電信 [경제·산업/통신]
서로 떨어진 곳에서 전류나 전파를 이용하여 약정된 부호 신호의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우리 나라에 최초로 전신이 도입된 것은 1885년 9월 28일로, 서울과 인천에 최초의 전신이 가설되고 이를 관할하기 위해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이 개국되면서 전신이 시
-
전신국 / 電信局 [경제·산업/통신]
1885년 전보를 접수하여 전송하고 배달해 주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우리나라도 전신이 처음 도입된 1885년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이 개통되면서 국영으로 운영되는 관청조직인 전신국이 세워졌다. 즉, 1885년 9월 28일에 한성전보총국과 인천 분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