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상경”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藜室記述)』 『호보(號譜)』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 영정
    이칭별칭 숙경(叔敬), 경중(敬仲)| 신재(信齋)| 문간(文簡)|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TD_L14_D_3862 인물 登第, 開國, 領相, 天資, 精敏, 律己, 儉約, 詩詞, 讜言 辛禑八年 淸州 叔敬, 信齋, 柳巷脩, 我太祖, 文簡 D_17_02_01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신재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1369~1425)의 영정. [개설] 은 본관이 청주이고, 자는 숙경(叔敬), 호는 신재(信齋),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급제하여 예의좌랑, 우정언, 종부령을
    연계항목신재한상경영정(信齋韓尙敬影幀)
  • 한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03(태종 3)∼1431(세종 13).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호부상서 공의(公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수(脩)이고, 아버지는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상경(尙敬)이다. 종묘서...
  • 이서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府事) ()의 딸이며, 부인은 군사(君事, 군수) 송처공(宋處恭)의 딸이다. [내용] 문음으로 출사(出仕)하고, 1455년(세조 1) 녹사(錄事)로서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세조 3) 녹사로서 친시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종부시주...
    이칭별칭 자충(子忠)| 양간(襄簡)

고서·고문서(8)

  • 君 尹芳祇, 義城君 金英烈, 鷲山君 辛克禮, 淸城君 鄭擢, 長城君 鄭熙, 玉川君 劉敞, 平城君 趙狷, 蓮城君 金定卿, 驪江君 閔無咎, 驪城君 閔無疾, 南陽君 洪吉민(日+文), 興寧君 安景泰, 西川君 , 鷄城君 李來, 義原君 黃肖, 麗山君 金穩, 花城君 張志和, 麻...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防者."欽此.又於永樂八年七月十八日,陪臣等欽奉太宗文皇帝宣諭聖旨,節該"吾良哈這廝每眞箇無禮呵我這里,調遼東軍馬去.儞那里也調軍馬來,把這廝每兩下里,殺得乾淨了,搶去的東西,盡數還.恁知道了.這已後還這般無禮呵,不要饒了.再後不來打攪呵,兩家和親了罷."欽此. 宣德八年三月二十三日,陪臣金乙...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추안급국안 : 경신년(1740, 영조 16) 박동준(朴東峻)의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申飭善饋是白乎旀 刑問 五次訊扙第十度 矣身最初朴桂純與金海運酬酢之前桂純與 宋靑山堯和爲疎戚故桂純與孫光漢數次往見宋靑山而出眎 小錄則初則以爲安知其爲信實乎云則桂純言其信實且欲上 京發告云堯和以爲果然則上京發告爲宜是如爲乎等以矣身 與孫光而不得爲之還爲下去言于桂純則桂純以爲當 呈監營宋...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狷‧金定卿‧閔無咎‧閔無 疾‧洪吉旼‧安景奉‧‧李來‧黃肖‧金承 寬‧張思靖‧徐益‧尹坤‧洪恕‧李敷‧閔汝翼‧尹 子當‧馬天牧‧沈龜齡‧徐愈‧李原‧朴訔‧柳沆‧ 趙涓‧咸傅霖‧韓珪‧李從茂‧延嗣宗‧金字‧趙 希‧尹稷‧文杓‧朴錫命‧李膺‧宋居信등66명의 開國功臣‧定社功臣‧佐命功臣들의 명단...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陽府尹柳爰廷 前知申事李稷 右代言李懃 左常侍吳思忠 右常侍李舒 判司水寺事趙英茂 前禮曹判書李伯由 判軍器寺事李敷 大護軍金輅 供驛署令孫興宗 司憲執義沈孝生 典醫副正高呂 戶曹摠郞張至和 吏曹正郞咸傅霖 右副代言 大護軍黃居正 判司宰寺事任彦忠 護軍韓忠 大護軍張思靖 禮曹議郞閔汝翼 知密...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공의, 아버지는 수, 어머니는 권적의 딸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급제하여, 예의좌랑·우정언·전리정랑·예문응교·공부총랑·종부영을 거쳐, 1392년(공양왕 4) 밀직사우부대언에 승진

  • 이효장 / 李孝長 [종교·철학/유학]

    ?∼1463(세조 9).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정간, 아버지는 사관, 어머니는 의 딸이다. 아버지의 음덕으로 벼슬길에 올라, 1447년(세종 29) 오위사용으로서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예문관대교, 이조참의, 호조참의,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 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 [과학/동물]

    1399년(정종 1)에 편찬된 수의학서(獸醫學書). 1책. 목판본. 편자는 권중화(權仲和)·()·조준(趙浚)·김사형(金士衡)·방사량(房士良) 등이다. 이 책은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과 함께 간행된 것이다. 1399년 강원도에서 초간된 뒤 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