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림소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1)
- 이정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80년(고종 17) 한권(翰圈)에 들었으며, 1882년에는 한림소시(翰林召試)에 합격하였고, 정언을 지냈다. 1884년에는 관록(館錄)과 도당록(都堂錄)에 들었다. 이 해에 겸문...이칭별칭 여원(汝元)
- 김희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1(철종 1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문재(聞載). 아버지는 영학(永學)이다. 1879년(고종 1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출사하였다. 1884년에는 다시 한림소시(翰林召試)에 선발되었다. ...이칭별칭 문재(聞載)
- 김학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49(헌종 1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경기도 여주 출신. 은산현감(殷山縣監) 영수(永秀)의 아들이다. 1885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출사(出仕)한 뒤, 1887년에는 다시 한림소시(翰林召試)에...
- 정지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 1807년(순조 7) 생원시에 합격한 뒤 1813년(순조 1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17년 한권(翰圈)에서 3점을 얻었으나 한림소시(翰林召試)에서 낙방하고, 다시 2년 뒤에 한권에서 3점을 얻고 이듬해 한림소시에 김정희...
- 김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5(헌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대사헌 노(鏴)의 손자이며 병조판서 시연(始淵)의 아들이다.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한 뒤 1861년 한림소시(翰林召試)에
고서·고문서(11)
- 翰林召試被選,就院中夜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170 翰林召試被選,就院中夜直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702014300170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101호 李熹公從宦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33 1864년 5월 25일(음력) 翰林召試를 행하여 李載冕(改名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712014300171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102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34 1864년 5월 25일(음력) 仁政殿에서 翰林召試를 행하여 李載冕(...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덕적첨사(德積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以本館事, 有所仰達者矣。 翰林召試被選人, 閒月付職, 自是古規, 而若値左右史不備之時, 則不待月限, 經稟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弘文錄亦如翰林召試, 以熄傾軋之弊。 王曰: “譬如防水, 壅于東則決于西, 豈更法可矯乎? 況玉堂人君所以講學求助者, 不可召試也。” 八月, 王親政, 飭兩銓恢公, 歎曰: “政與學, 只在爲 人、爲己之分。 苟其爲人也, 雖公亦私, 唯濟人, 不可避要譽之嫌。 所謂作之不已乃成君子是也。” 九...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한림소시 / 翰林召試 [문학]
예문관검열 후보자에 대한 특별 시험. 적임자를 선발하여 임금께 아뢰면, 왕명으로 시•부•논•책문 등의 시험을 보아 합격자를 임용하였음.
-
정기선 / 鄭基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4∼1839). 1815년 한림소시에 선발된 뒤 함경도암행어사로 발탁되어 문란한 지방행정을 바로잡았다. 1829년 경상도관찰사로, 왜인들을 방어하는 대책을 수립하고 기민들을 구제하였다. 1833년에 예조판서에 올랐고, 이듬해는 대사헌이 되었다
-
조운익 / 趙雲翊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문명, 조부는 조재호이다. 부친 조관진과 모친 유성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득일의 딸이다. 1802년(순조 2) 한림소시에 참여하여, 김시근‧서유순‧홍병철 등과 함께 선발되었고, 1804년(순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