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글날”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월’을 양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어, 이 날을 로 정하였다. 1926년 11월 4일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 전신)가 주축이 되어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하였고, 1928년 명칭을 ‘’로 바꾸었다. 193...
  • 박태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국민적 애창곡으로는 「3ㆍ1절노래」ㆍ「노래」ㆍ「애국의노래」가 있다. 『한국의 동요』(한용희, 세광음악출판사, 1994)
    이칭별칭 헌부(獻府)| 회초(悔初)
  • 한글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정 192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반포 480년을 기념하면서, 이 날을 ‘가갸날’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의 시초이다. 그 뒤 1928년에 ‘가갸날’을 ‘’로 고치고, 계속 음력으로 기념하여오다가 1932년에 이르러 이 날을 양력...
    이칭별칭조선어학회
  • 동사구문사전 : 지정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ganization, or people N0-가 N1-로 V [구체물], [추상물] [속성] 지정하다-I-1-vt-2 이 인근은 상업지구로 지정되었다. 이 22년 만에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그의...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온갖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창제 기념가」는 제5절에 “국문창제기념식(國文創製紀念式) 거행(擧行)해보세.”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에 관한 가장 오래된 언급으로 보인다. 품사분류표인 「씨난틀」은 당시 주시경(周時經)의 주재하에 편찬되던 국어사전 『말모이』의 특이한 문법표...

고서·고문서(4)

  • 부인권장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
    원문 1ㄱ 공란 원문 1ㄴ 어와 부인임 이말 들어보소태조이후 오여년 세종대왕 장한사업훈민정음 이안인야 사월구일 은 영원토록 기념된다 원망이요 이조정치관존민비 드다가 성정치 만드려고남존여비 뜨다가...
    가사유형교휸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연세한국어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병문 등 5명의 학부 연구원도 참여하였다. 전산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개발은 이기홍, 장석배, ㅊ윤호, 이기활, 박보영, 최준호 연구원이 맡았고, 이재윤 등도 편찬 실무를 도왔다. ■편찬 경위 1986년 290인의 교수가 한국어 연구와 한글 문화 운동의 견인을...
    대표표제어〈연세한국어사전〉 해제 | 편저자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 권수단권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다. 1942년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어를 연구하는 학술단체의 인사들을 탄압하는 조선어학회 사건이 발생하면서 학회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해방 이후 다시 재개되어 오늘날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가갸날)의 제정과 한글 보급 및 문맹 퇴치 운동, 한...
    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 〈표준국어대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년은 사전 집필, 1996~1998년에는 사전 교열, 1998~1999년에는 사전 교정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래 10년에 걸쳐 완성할 계획이었으나 1994년부터 예산을 대폭으로 늘리고 전문 인력을 확보함으로써 2년을 단축하여 1999년 에 발간을 완료하게 되었다....
    대표표제어〈표준국어대사전〉 해제 | 편저자국립국어연구원 편 | 권수3권(상권 ‘ㄱ-ㅁ’, 중권 ‘ㅂ-ㅇ’/ 하권 ‘ㅈ-ㅎ’)

신문·잡지(15)

  • 민세안재홍전집 : 「」을맞아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651 1930 11 19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을맞아서 온 겨레에 사뢰는 말씀 신문 조선일보 1면1단 석간 사설 사회 직접자료 6권 A19301119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한글文化와 民族精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10 1949 10 9 1 1 한글文化와 民族精神 신문 한성일보 2면 1단 논설 사회 직접자료 2권 한글文化, 民族精神, A19491009한성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표지 및 목차 을 기념하자 1 한글사용에 관하여 이 대통령 담화 2 기사 분할 틀림. 3~4쪽만 해...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9
  • 533돌 기념식 3 신임검사에 임명장 전수 4 79 사무감사 종합보고 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9
  • 표지 및 목차 을 맞이하여 문교부장관 이선근 2 해방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 발족에 제하여 산업박람회 사무총장 임종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5

기타자료(6)

  • (교단만평)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만평) (교단만평) (敎壇漫評)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수동 | 사료철명교육월보
  •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교육이념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정희 | 사료철명문교월보
  •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이단적 주체 사상 과감히 탈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이단적 주체 사상 과감히 탈피 제526돌 박 대통령 담화문-이단적 주체 사상 과감히 탈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정희 | 사료철명문교월보
  • (행사교육) 전통문화의 계승 -개천절과 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행사교육) 전통문화의 계승 -개천절과 을 중심으로- (행사교육) 전통문화의 계승 -개천절과 을 중심으로- (行事敎育) 傳統文化의 繼承 -개천절과 을 중심으로- 교육 문헌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병도 | 사료철명수도교육
  • 520주년 기념 10회 한글 백일장 입선 작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520주년 기념 10회 한글 백일장 입선 작품 520주년 기념 10회 한글 백일장 입선 작품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초등교육 ...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부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한글창제 및 반포를 기념하는 날. 10월 9일.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하여 지정되었다. 1928년 명칭을 ‘’로 바꾸었다. 1946년부터 이 날에 행사를 거행하여 오고 있다. 2005년에 다시 국경일로 지정되었고, 201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世宗大王紀念事業會 [언어/언어/문자]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해 이를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7년 5월 14일에 설립된 공익 법인. 1956년 10월 9일 510돌 에 학계·예술계와 교육계 및 28개 문화 단체 대표들의 발의로 발기 창립되었고, 1957년 5월 14일 문교부장관으

  • 한글의바른길 / [언어/언어/문자]

    래, 2) 문자와 문화, 3) 한글 운동의 본질과 그 발전, 4) 새 받침의 제문제의 해결, 5) 조선말본의 갈말[術語] 문제, 6) 한글 난해의 심리분석, 7) 조선어와 조선문학, 8) 에 대하여, 9) 붙임: 박승빈님의 『기사법(記寫法)』은 과연 평이한 것인가

  • 한글기행 / 한글紀行 [예술·체육/무용]

    현대무용가 이숙재의 한글 소재 작품. 1995년 특별공연으로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초연된 한글 소재의 작품이다. 현대무용가 이숙재가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등의 도움과 자문을 받아 직접 대본을 쓰고 안무를 맡았다. 한글을 소재로 한 현대무용을 통해 대중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