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글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
사전(129)
- 한글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드러내며, 그 어두운 것을 밝히며, 그 어지러운 것을 간추림으로써 정연한 체계의 한글갈을 세워, 위로는 신경준(申景濬)‧유희(柳僖)의 유업을 잇고, 아래로는 주시경(周時經) 스승의 가르침의 유업을 이루는 데 있다.”고 하였다. 역사편과 이론편의 두 편으로 나누어...이칭별칭정음학(正音學)
- 화약합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분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최현배의 『한글갈』에 간단한 소개와 그 서영(書影)이 있어서 그 편린만을 알 수 있다. 그 서영으로 보아서, 이 책의 부분인 화약합제식은 『화포식언해』의 제약식(劑藥式)의 내용과 그 언해가 매우 유사할 뿐만 아니라 언해양식도 비슷하...
- 이봉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조각, 1982) 『국어학사(國語學史)』(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국어학사(國語學史)』(유창균‧강신항, 민중서관, 1961)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42)
- 동몽선습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근대국어의 자료적 가치와 교과서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규장각 도서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있으며, 1986년 대제각(大提閣)에서 영인된 바 있다.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동...
- 원명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고친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원명이학 이의봉이 편찬한 ≪고금석림≫의 권39와 권40에 수록된 글의 편명. 연세대학교도서관 소장.
고서·고문서(1)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풀이의 마지막에는 '(최현배: 한글갈 335)'와 같이 참고한 원전이 무엇인지를 밝히기도 하였다. 표제어는 한자어 용어와 고유어 용어 등이 두루 포함되어 있다. 뜻풀이에 사용된 용어는 임자말, 씨끝, 말할이, 들을이, 움직씨, 잡음씨 등 고유어 용어를 우선하는 양상을...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주제어사전(4)
-
한글갈 / [언어/언어/문자]
것을 밝히며, 그 어지러운 것을 간추림으로써 정연한 체계의 한글갈을 세워, 위로는 신경준(申景濬)·유희(柳僖)의 유업을 잇고, 아래로는 주시경(周時經) 스승의 가르침의 유업을 이루는 데 있다.”고 하였다. 역사편과 이론편의 두 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역사편」에서는 훈
-
예기대문언두 / 禮記大文諺讀 [언어/언어/문자]
를 위하여 교서관에서 활자로 정해년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 정해년은 『고선책보(古鮮冊譜)』와 국내의 고도서목록에서 1767년(영조 43)으로 비정하고 있으나, 『고친 한글갈』과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따라서 1707년(숙종 33)으로 생각된다. 남학명(南鶴鳴)의
-
중등조선말본교수참고서 / [언어/언어/문자]
주교재로 하면서 이 책이 부교재로 사용된 것이다. 주교재인 『중등조선말본』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최현배의 『우리말본』과 『한글갈』을 함께 보기를 권장하고 있다.
-
화약합제식 / 火藥合劑式 [언어/언어/문자]
로 구결을 달아놓은 원문의 뒤에 언해문이 있다. 언해문은 한자와 한글이 섞여 쓰였는데, 각 한자의 아래에는 그 한자음이 달려 있다. 보성고등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분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최현배의 『한글갈』에 간단한 소개와 그 서영(書影)이 있어서 그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