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규상”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3)

  • 학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장만영(張萬榮)ㆍ이병기(李秉岐) 등의 문인들과 김태준(金台俊)ㆍ유치진(柳致眞)ㆍ송석하(宋錫夏)ㆍ김진섭(金晉燮)ㆍ임화(林和)ㆍ최현배(崔鉉培)ㆍ박영희(朴英熙)ㆍ오천석(吳天錫)ㆍ이선근(李瑄根) 등이 활약하였다. 이 문예지는 ()이 대표이고 김윤식(金允植...
  • 안서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안서(岸曙) 김억(金億)의 시집. [개설] A6판. 200면. 작자의 네 번째 창작 시집으로 1929년 4월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을 편집겸 발행인으로 하여 출간하였다. 서문이나 발문(跋文)운 없고, 다만 책머리에 “백사장(...
  • 한성도서주식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駿), 취체역에 ()‧장도빈‧박태련(朴泰鍊), 감사역에 한윤호(韓潤鎬)‧허헌(許憲) 등이었고, 고문으로는 김윤식(金允植)‧양기탁(梁起鐸)을 추대하였다. 이 밖에 출판부장 장도빈은 월간 언론잡지 ≪서울≫의 주간을 겸하였으며, ≪학생계≫ 주간은 오천석(吳...

고서·고문서(1)

  • 추안급국안 : 을해년(1755, 영조 31) 2월 일 역적 윤지(尹志)등의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等 志之書札自鄕上來則矣身知所傳之處故知其所親家矣 三門外芹洞居李三嘉柳承旨綏南門外居李載夏師 尙之侄曾經司評者及師尙聖時家子侄最親而李三嘉不 記名卽士人得一之祖李載夏卽進士偉之子矣光哲又與柳綎 之子侄漢箕親往來光哲上京時矣身曾見漢箕之一 次來訪寫給篆字又見光哲作書借冊於漢箕而矣身未見 其來...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신문·잡지(7)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宋漢奎(宋店) 서울 宋漢奎 宋店 靑葉町 1-158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4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宋漢奎(宋漢奎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학등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학등 학등(學燈) 22호 추가분 미기재 () 경성(京城) 조선_1935년 12월 18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학등 이유 전편에 걸쳐 조선 내 각지에...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학등 | 출판물명학등(學燈) 22호 추가분
  • 조선출판경찰월보 070호 학등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70호 학등 학등(學燈) 7월호 미기재 () 경성(京城) 조선_1934년 6월 27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학등, 학문 혐오 학문 혐오의 기풍을 배격하다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70호 학등 | 출판물명학등(學燈) 7월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군상 삼봉이네 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군상 삼봉이네 집 군상(群像) 삼봉이네 집 미기재 () 경성(京城) 조선_1935년 5월 29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군상 삼봉이네 집, 동척 농장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군상 삼봉이네 집 | 출판물명군상(群像) 삼봉이네 집
  • 조선출판경찰월보 114호 유정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14호 유정 유정(有情) 미기재 () 경성부(京城府) 견지정 32 조선_1938년 2월 삭제 안녕 미기재 유정, 안중근 이등박문 사살 -이유 “나는 조선인이다...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4호 유정 | 출판물명유정(有情)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96-197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한판도(韓判道)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진주(晉州)이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강달영(姜達永)·강상호(姜相鎬)·김재화(金在華)·박용근(朴龍根)·박진환(朴進煥)·이강우(李康雨) 등과 함께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