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국지명총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2)
사전(258)
- 거촌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만든 글자로서 우리말에 풀을 섶〔薪〕같이 묶은 것을 잘아〔迲〕라 한다.”고 하였으며, ‘잘아촌처’라고도 기록하였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覽)』 한...이칭별칭잘아촌처
- 두잉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 일원과 공주군 일부를 합하여 연기군이 되었으며, 지금의 조치원읍과 남면ㆍ동면ㆍ서면 지역이 여기에 해당된다.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覽)』 한글학회 1974이칭별칭적현성(赤峴城)
- 내혜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토박이말로도 낮골로 불리었다. 『대동지지(大東地志)』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覽)』 경기편 한글학회 1985 『...이칭별칭낮골|백성군(白城郡)|안성현(安城縣)|안성군(安城郡)
- 노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움이 사실상 이곳에서 끝이 났다. 여기에 이순신을 추모하여 세운 충렬사(忠烈祠)가 있다.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覽)』 한글학회 1980
- 대왕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았던 곳이라 하여 이러한 지명이 명명되었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覽)』 한글학회 1974
논문(1)
-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김기혁 | 게재정보 : 민족문화연구
고서·고문서(3)
- 〈한국지명총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지리 〈한국지명총람〉 해제 ■ 정의 한글학회가 1964년~1977년에 진행한 〈한국지명 조사사업〉을 바탕으로 편찬한 지명 사전이다. 남한에 소재한 70만여 개의 지명에 대해 유래를 비롯하여 우리말과 한자 이름, 이칭까지 수록하였다. 북한의 지명이 제외되었으나대표표제어〈한국지명총람〉 해제 | 편저자한글학회 | 권수20책( 18권 )
- 5년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예산, 선생님, 수고, 우리문학연구실, 서적, 기증, 유관당국, 상의, 처리, 필요, 책, 국어사전, 한한대사전, 한국지명총람, 외래어사전, 고전과현대작품, 현대주요한대표작대표표제어5년내 | 성씨최
- 〈한국지명요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조사를 거쳐 1961년에 약 12만 여개의 지명을 고시하였다. 지명 조사때 수집된 자료는 『한국지명총람』(1966~1985) 편찬의 바탕이 되었다. 1960년대 이후 여러 사전이 발간되었으나 고시지명을 대상으로 항목 설정과 내용 구성 등에서 표준화를 시도하여 사전...대표표제어〈한국지명요람〉 해제 | 편저자한국지명요람 편찬위원회 | 권수1책
주제어사전(2)
-
한국지명총람 / [언어/언어/문자]
한글학회에서 우리나라의 고금 지명을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펴낸 총서. 원래 하버드대학의 지원에 의해 연세대학교 동방문화연구소에서 전국 지명 조사가 시작되었지만 사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당시 연세대학교 총장 백낙준과 연세대학교 교수이자 학글학회 이사장이던 최현
-
양재천 / 良才川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과천시에서 발원해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지나 탄천(炭川)으로 유입하는 하천.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양재동은 쓸 만한 인재들이 모여 사는 동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양재천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공수천(公需川),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