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한계진” 에 대한 검색결과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1)

  • 동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김시민(金時敏)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1761년(영조 37) 아들 만행(晩行)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윤봉조(尹鳳朝)와 ()의 서문 2편이 있고, 권말에 신경(申暻)ㆍ김원...

고서·고문서(33)

  • 丙午(1726) 奉訓郞行司諫院正言 韓啓震의 丙午年 녹패이다. 수령일은 병오 4월 27일이다. 좌하단에 由無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수 인계가 끝났다는 표시로 해창의 관리 ‘韓’이 수결을 하였다. 越無라는 것은 감봉이 없다는 표시로 쓴 것인데 해창의 관리는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4장의 제문이 점연되어 있다. 제문의 찬가가 확인되는 것은 3건으로 한원진의 형 한태진의 3자가 숙부인 한원진의 영전에 올리는 제문이다. 구체적으로는 1751년(신미) 3월 28일에 甲山守 韓啓震(한원진의 弟)이 韓元震의 영전에 올리는 제문, 1751년(신미) 2월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규환이 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皮封 季舅主前 上書 阻信許久 伏不審祖母主氣候 一向平復 而侍餘視篆起居候 若何 伏慕不任下誠 甥姪近聞大庭宿患添劇 乍愈乍發 只以科事 尙未歸省 而遠外憂煎 曷可形喩 就伏達 此去郭鎭衡甫 卽甥之從叔 而郭伯剛之堂從也 素以赤貧 又遭賊害 塡壑在卽迫 不得已以推奴事受書以去 向日慈氏已發端於舅主...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庚午五月十四日 舍弟 啓震上書 炎熱漸熾 伏不審氣度若何 眩憊諸症 想有所加 重經感氣之後 又復如何 懸念切切 舍弟 卄六日子 經過於圓扉中 今日始脫出 而以白放之故 又將爲北行 十五肅謝 仍爲歷辭之役 過五六日 可以出場 卽爲發程 必欲於潦水前 到官爲計耳 甲山人馬 亦已來到 一馬以病留置金城 只...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庚午四月卄二日 舍弟 啓震拜 今月十四日 林崖書後 不得聞信 氣度諸節若何 日氣漸熱 眩憊諸症 能無復發之患耶 不勝憂慮之至 舍弟 昨日才入原情 而判金吾之遞改出代 似在晦間 脫出甚遠 愁惱奈何 律官來言 當爲白放 預爲治行乃可云 故玆以送伻 屋轎諸具 使之斯速上送耳 弟之此行 可謂萬萬切近 而北路...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2)

  • 즁츄원 의관 권유셥 림로봉 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 의관 권유셥 림로봉 졍운 윤동찬 박챵훈 권경 갈닌에 졍삼품 송영대 오품 민영헌 륙품 오달영 박제텰 조익영 젼일 김낙현으로 임고 장례원 상례 김영직에 시강원 시도 한상학으로 임고 홍문관시독 심계 리병교에 품 김쥰 오품 죠충하로 임고
    게재일1900년 5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 즁츄원의관 리경직 김영모 리덕션 김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의관 리경직 김영모 리덕션 김진달 리승욱 김셕 갈닌에 졍삼품 림로봉 륙품 졍운 박챵훈 권경 구품 윤병찬으로 임교 젼쥬 진위 부위 젼영헌은 갈니고 홍문관시독 리죵영에 품 리병교로 임고 상의쥬 한경회에 영션쥬 신쥰으로 임고 쥬뎐주...
    게재일1900년 5월 9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한필적, 조부는 한여익, 부친은 한종기이다. 생부는 한유기, 모친은 박숭부의 딸이다. 형은 한태진‧한원진이다. 수암 권상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19년(숙종 45) 증광시 문과에서 을과 7위로 급제하였다. 예

  • 이심전 / 李心傳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미상. 조선 후기 문신. 고조는 이중번, 증조는 이태즙, 조부는 이언후. 부친 통정대부 사간원대사간 이성수 모친 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경전이다. 1771년(영조 47)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73년

  • 한유기 / 韓有箕 [종교·철학/유학]

    집의 딸이다. 3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통덕랑 한태진·한원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