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하해관”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일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04년 8세 손 경락(經洛)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곽종석(郭鍾錫)과 경락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4(인조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한경(漢卿), 호는 일헌(一軒). 증공조참의 한(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효(公孝)이고, 아버지는 집의 진(溍)이다. 13세에 ...
    이칭별칭 한경(漢卿)| 일헌(一軒)

고서·고문서(5)

  • 疏所謂, 停罷、蠲除、征繕等事, 無非今日憂患之圖, 豈聖上留念否? 臣又謂, 朝廷大臣莫不惕念震動, 若寇賊之已至, 倡義修德, 明我刑政, 毋或受人之侮予。 如體府選將、揀卒, 造車船、修器械等事, 俱宜別思區畫; 如江都上, 西北沿江近處, 亦宜別思防備, 然此等事, 亦宜得人宣力。 臣...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守敵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旗,用喇叭,則大書‘日觀靑旗,夜聽喇叭’八字於垜牆。第四號十垜,用白旗,用木梆,則大書‘日觀白旗,夜聽木梆’八字於垜牆。其餘敵臺ㆍ垜口皆然。倘日賊犯天字第一號信垜,城敵臺上揺紅旗,夜犯天字第一號信垜,城敵臺上起鼓信,守兵夫一齊戒嚴俟撃,左右城樓各游兵到彼應援,兩邊敵臺相向,互爲摧撃。其餘...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備禦撮要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人事履歷、請獎:光緒十五年-十七年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
    洋海軍精練左營游擊官帶康濟練船. 須至履歷者. 三代 曾祖父秉鴻/曾祖母閔氏/朱氏 祖父九疇/祖母陳氏 父怡臣/母曹氏俱歿 98면 慰廷仁兄大人閣一事誠屬華商之不韙徹底懲辦並恕稅司之人亦心稅司人望分堂函知墨君以佈 感意也此頌 ◇◇ 弟◇ 廿六日 99면 His Corean Majesty...
    문서명人事履歷、請獎:光緒十五年-十七年 | 자료생산總理各國事務衙門 | 관련인물袁世凱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34∼1686)의 문집인 『일헌유고』의 서문이다. 서문에서는, 이 河溍의 아들임을 강조하였다. 南川遺集序 (13) 權斗文(1543∼1617)의 문집인 『남천유집』의 서문이다. 서문에서는 특히 권두문의 「虎口錄」을 비교적 상세히 언급하였다. 권...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書院(경남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소재)에 제향되고, 판서에 추증되고, 義敏과 義肅이란 시호를 받았다. 쌍충록 (4권 2책)은 바로 이 형제의 구국충절을 기리기 위해 후손이 편찬한 기록물이다. 一軒遺藁序 12 1826년(순조 26)에 쓴 一軒(1634∼ 1686...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학자. 한 증손, 할아버지는 공효, 아버지는 진이다. 13세에 허목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성년이 되어서는 하홍도 문하에 출입하면서 조식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효행도 뛰어났으며,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을 중심으로

  • 일헌유고 / 一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04년 8세 손 경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의 서문, 권말에 곽종석과 경락의 발문이 있다. 권상에 시 108수, 부 3편, 서 4편, 잡저 2편, 권하에 부록으로 제현증유·사문묵첩·만사·제문·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