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하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88)
사전(158)
- 하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부마도위 진왕으로, 진국에서 호병이 황성을 침범한 소식을 듣고 황성으로 오다가 호병에게 잡힌 벽성선과 소청을 구해 태후궁 시녀인 줄 알고 진국으로 보내 진국공주와 지내게 한다. 태후의 허락을 받아 벽성선 대신 태후의 시녀를 소개해 준다며 양창곡을시험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하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진백(晉伯), 호는 태계(台溪). 대사간 결(潔)의 7세손이며, 기곤(起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공조참의 한(瀚)이고, 아버지는 공효(...이칭별칭 진백(晋伯)| 태계(台溪)
- 윤하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5(고종 32)∼?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의주 출신. 일명 학승(學昇). 1919년 3ㆍ1운동 후 오동진(吳東振)ㆍ장덕진(張德震)ㆍ박태열(朴泰烈) 등과 독립운동단체인 광제청년단(廣濟靑年團)을 조직하여 재무부장으로...이칭별칭학승(學昇)
- 이하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8(인조 6)∼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매산(梅山) 또는 육우당(六寓堂). 우인(友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찬성 상의(尙毅)이고, 아버지는 지평 지안(志安)...이칭별칭 하경(夏卿)| 매산(梅山), 육우당(六寓堂)
- 송하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죽음을 완곡히 이르는 말. 무덤에 흔히 소나무를 심은 데서 나온 말. 金溝老人 爲松下塵 業已知之 其子若孫 見在何處, 기정진(奇正鎭), 31-7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822)
- 甫乙下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9권, 중종 4년 8월 2일 임술 4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중종 4년 8월 2일 임술(1509) 1509 甫乙下鎭 野人 군사 ○兵曹啓曰"今新設甫乙下鎭,乃賊路要害之地,況城底野人,多數聚居,...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甫乙下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190권, 선조 38년 8월 10일 임자 6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38년 8월 10일 임자(1605) 1605 甫乙下鎭 平安 滿浦 甫乙下 甫乙下 胡人 甫乙...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甫乙下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44권, 연산 8년 5월 16일 정해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연산 8년 5월 16일 정해(1502) 1502 甫乙下鎭 富寧鎭 政丞波吾達 雙靑堡 金昌歧 政丞波吾達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乶下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71권, 영조 26년 2월 4일 정축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영조 26년 2월 4일 정축(1750) 1750 乶下鎭 乶下鎭 金人 宋 宋 冷山 三水 永柔...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乶下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8권, 고종 8년 9월 7일 갑오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고종실록 8권, 고종 8년 9월 7일 갑오(1871) 1871 乶下鎭 淸道郡 醴泉郡 高靈縣 英陽縣 吉州牧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53)
- 단양군 하진의 왜군 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금성면 근처에 말무덤과 관련한 이야기를 묻자, 금성면에는 없다고 하면서 단양군 하진마을의 왜군 무덤에 대해서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09. 07. 22(수) | 조사장소제보자(이종환)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날기실11 | 제보자이종환
- 단양군 하진에서 태어난 아기장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수산면 괴곡리 지역에 장수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느냐고 묻자, 단양군 하진리에 있다고 하면서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09. 04. 23(목) | 조사장소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 제보자오병호
- 경상남도 창원시_치나 칭칭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칭.mp3 신감리에서는 마자막 논매고 소타고 들어오거나 하진 않았다. 논맬 때 북이나 꽹쇠 치지않고 그냥 소리했다고 함. 참고로 게재함.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옛 의창군 내서읍 신감리) | 녹음날짜2004.1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창녕군_장원질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하진 않았다. 세벌맨 후에 소타고 들어온다고 하여 채보자가 장원질소리로 곡목을 붙였다. 명리1리에서는 양력 6월25일이나 7월10일까지 모심었다. 18~20일 후에 손으로 초벌을 맸다. 열흘 내지 15일만에 두벌, 또 15일 후에 세벌논을 맸다. 9월말 이후에 추수하였녹음지역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명리 우만 | 녹음날짜2004.11.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전라북도 부안군_동전리 논매기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2. ♩. = 60 ~ 67 (부안 08) 동전리 논매기소리.jpg ‘부안 CD [부안 8] 1. 부안읍 옹중리의 초벌지심소리[부안 1]와 궤를 같이 한다. 2. 혼자 가창하여 받음구가 분명하진 않으나 반복구인 “휘휘 둘러라”를 받음구로 하는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동전리 | 녹음날짜1987.1.28 | 가창방식1. 멕받형 (선후창)
기초학문(11)
- 활판본 〈하진양문록〉 동미서시본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광수, 게재일 : 201459480 유광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4 활판본 〈하진양문록〉 동미서시본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하진양문록〉의 작가의식과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광수, 게재일 : 201558903 유광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5 〈하진양문록〉의 작가의식과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9세기 장편소설 「하진양문록」의 대중적 변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대형, 게재일 : 200926928 이대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학회 2009 19세기 장편소설 「하진양문록」의 대중적 변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하진양문록〉의 애정갈등과 여성독자의 자기검열 - 남자주인공을 위한 변(辯)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71624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하진양문록〉의 애정갈등과 여성독자의 자기검열 - 남자주인공을 위한 변(辯)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여성 인물의 정체성 구현 방식을 통해 본 젠더 수사의 경계와 여성 독자의 취향 -서울지역 세책본 〈하진양문록〉의 서사와 수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기숙, 게재일 : 200941011 최기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여성 인물의 정체성 구현 방식을 통해 본 젠더 수사의 경계와 여성 독자의 취향 -서울지역 세책본 〈하진양문록〉의 서사와 수사 분석을 중심으로- http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21)
- 詔下賑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로 쳐분이 나리시기를 흉년궁민의 졍샹을 각지 아니치못지라 그즁에 우심곳은 비단 먹기어려울아니라 농를당야 락죵슈가 업실터이니 엇지 츄슈기를 발알슈가 잇스리오 츙쳥북도 역둔토에 슈봉 작년도죠를 쟝원으로 야금 특별히 진휼야 케엿다가 츄슈후...게재일1902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金夏璡(金夏璡)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夏璡(金夏璡) 서울 金夏璡 金夏璡 瑞麟町 92 기타 - 연초(煙草) 소매 40.3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夏璡(金夏璡)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연초(煙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河津長藏(河津長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河津長藏(河津長藏) 서울 河津長藏 河津長藏 黃金町 3-30 건축재료 - 창호(建具) 제작 2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河津長藏(河津長藏) | 지역서울 | 품목건축재료 | 영업종목창호(建具)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電氣料引下陳情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電氣料引下陳情 1911년 10월17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와사회사(瓦斯會社)의 전기료 인하 건으로 총독에게대표표제어電氣料引下陳情 | 연월일1911년 10월17일 | 지역서울
- 창원항춍슌 리상의에 츙쥬춍슌 리하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창원항춍슌 리상의에 츙쥬춍슌 리하진으로 임고 젼의관 졍환슉으로 츙쥬춍슌을 임다 三月卄五日 졍삼피 리긔영으로 부시찰관을 임고 길쥬감리 권익상 임고 졍삼품 심후으로 셩진감리를 임고 뎐화과쥬 신광호 리셕영 문응셥 현병뎍 한귀셕 졍셕쥬 신현쥬 김창권에 졍...게재일1903년 4월 1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100)
- 셀러-상호텍스트성: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10주차. SF: 김초엽 [우리가 빛의속도로 갈 수 없다면] 05 키워드로 읽는 현대문학_1주차.pdf 서덕순(서하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설가 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전통_ 김동리 [무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 셀러-상호텍스트성: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11주차. SF: 김초엽 [우리가 빛의속도로 갈 수 없다면] 05 키워드로 읽는 현대문학_1주차.pdf 서덕순(서하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설가 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전통_ 김동리 [무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 셀러-상호텍스트성: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12주차. SF: 김초엽 [우리가 빛의속도로 갈 수 없다면] 05 키워드로 읽는 현대문학_1주차.pdf 서덕순(서하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설가 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전통_ 김동리 [무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 셀러-상호텍스트성: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13주차. SF: 김초엽 [우리가 빛의속도로 갈 수 없다면] 05 키워드로 읽는 현대문학_1주차.pdf 서덕순(서하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설가 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전통_ 김동리 [무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 셀러-상호텍스트성: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14주차. SF: 김초엽 [우리가 빛의속도로 갈 수 없다면] 05 키워드로 읽는 현대문학_1주차.pdf 서덕순(서하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설가 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전통_ 김동리 [무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전통_ 김동리 [무녀도]_1주차
기타자료(123)
- 유하진;劉河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874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유하진;劉河鎭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하진;金河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616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6면 김하진;金河鎭 경성제국대학 부속의원 제13회 193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하진;李河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026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1면 이하진;李河鎭 전북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55 제1회 193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하진;梁夏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04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0면 양하진;梁夏鎭 제3회 1935년 9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하진필;河鎭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57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1면 하진필;河鎭弼 제11회 1944-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하진 / 河溍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결 7세손, 기곤의 증손, 할아버지는 한, 아버지는 공효, 어머니는 윤기의 딸이다. 163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낭관, 헌납, 지평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태계문집』 4책이 있다.
-
이하진 / 李夏鎭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인의 증손, 할아버지는 상의, 아버지는 지안, 어머니는 이석령의 딸이다. 실학자 이익의 아버지이다. 1666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이듬해 가주서·사옹원직장·전적, 예조좌랑·병조좌랑, 도승지, 대사헌 등
-
하진양문록 / 河陳兩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전 25권 25책. 국문 필사본. 목판본은 없고, 활자본으로는 1925년 경성 동양대학당, 광복 이후 1954년 공동문화사 발행의 상·중·하권 3권 3책이 있다. 「하진양문록」은 당시의 국문소설로는 드물게 보는 25권의 장편으로, 178
-
변하진특증문서 / 卞河璡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전 중추원의관 변하진(卞河璡)을 정3품 통정대부 규장각부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1899년 1월 2일《고종실록》에는 전사과 심상희가 올린 상소가 있다. 이후 1910년 7월 18일 순종은 조령을 내려 83명을 특증하였다. 이때 고 6품 변하
-
이도백하 / 二道白河 [지리/자연지리]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흐르는 하천. 이도백하가 흐르는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은 백두산 관광의 출발지이자 경유지로서 관광기지 역할을 한다. 안도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백두산 북파 방면 해발 500m 지점에 자리 잡은 작은 도시이다. 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