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하위지” 에 대한 검색결과 3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1)

사전(134)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정시중[정몽주]과 사선생(四先生)이 요청한 사로(四老) 중 한 사람이다. 치관을 쓰고 기상이 강개하다. 서쪽 서열의 두 번째 자리에 앉는다. 임금을 향한 충혼의 시를 지으니 사람들이 눈물짓는다. 이맹전의 시를 듣고 취사(取捨)가 같다며 함께 시를 지어 미진한 뜻을 풀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음을 당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단종을 모시고 관풍루에 이르고, 건문황제를 알현한다. 성승과 성삼문이 시를 읊은 뒤바로 시를 지어 노래한다. 단종뿐 아니라 명나라 황제를 위해서 의리를 지키고, 반역자라는오명에 혀를 깨물고 자결했다고 말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고 체포돼동료들과 함께 처형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사육신의 일인이다. 본관은 진주, 자는 중장(仲章)이며 호는 단계(丹溪)이다. 세종 무오년(1438)에 아우 기지(紀地)와 함께 문관 시험을 보아 형제가 연벽 장원을 하여 집현전으로 뽑혀 들어간다. 단종이 임금이 되었을 때 여러 학사들의 추천으로 직제학이 되나, 수양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사육신 중의 한 명으로, 처형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47)

  • 人事門8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六臣之死, 獨朴氏有後, 成氏有外孫, 其餘無聞. 《張旅軒集》有《河公碣銘》云: “墓在善山府西古方山. 公之兄綱地, 先公登第, 公及弟紀地同榜及第, 季弟紹地及子漣皆生員, 同死於丙子之禍. 其一女適李惟義, 李之女適縣監金仲卿, 仲卿之曾孫曰崑云.” 按, 《東文選》有公《送徐剛中...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692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1758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1758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1456년 () 유서(遺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6년에 작성된 ()의 유서이다. 는 세종시대에 활약한 관료로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이 문서는 옥에 갇혀 죽음을 앞둔 가 그 조카 하원(河源)에게 소와 말, 농기구, 각종 가재도구를 상속한다는 유언을 담은...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11)

  • / [종교·철학/유학]

    1412(태종 12)∼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윤 증손, 할아버지는 지백, 아버지는 담, 어머니는 유면의 딸이다. 143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현전부수찬에 임명되었다. 집현전부제학, 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노량진의 민절서원, 영월의 창절사,

  • 월암서원 / 月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에 있었던 서원. 1630년(인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주(金澍)·()·이맹전(李孟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7년(인조 15)()를 추가배향하였고, 1694년(숙종 20)

  • 육신묘 / 六臣墓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사육신의 묘. 육신은 바로 참판 박팽년(朴彭年), 승지 성삼문(成三問), 교리 이개(李塏), 사예 유성원(柳誠源), 참판 ()를 지칭한다. 노량진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데 육신 가운데 5기의 표석이 세워져 있고 박, 유, 이

  • 창절서원 / 彰節書院 [교육/교육]

    源)·()·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사우에는 박팽년·성삼문·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사육신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 낙빈서원 / 洛濱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서원. 1679년(숙종 5)에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의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