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하례” 에 대한 검색결과 9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1)

사전(395)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축하하는 의식. 대표적인 로 정월 초하룻날 백관이 임금에게 새해를 축하하는 정조 (正朝)를 들 수 있으며, 정조 가 끝나면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最恨瞻光罕猶聞養德精仁天還有慼瑕不祐純明保姆裁添縷宮臣講待筵幸同英考月纔過懿昭年...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고대 왕조인 하(夏)나라의 예(禮).
    정의중국 고대 왕조인 하(夏)나라의 예(禮).[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a rye | MR표기Ha 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정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설날 조신(朝臣)이 임금에게 올리는 . [내용] 정월 초하룻날에는 위로는 조정에서부터 아래로는 일반국민들까지 두루 신년을 축하하는 인사를 해왔다. 이러한 정조에 대한 분명한 왕권국가다운 기록은 7세기의 『수서(隋書)』ㆍ『당서(唐書...
  • (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Harry Smith Parkes 갑신정변(甲申政變), 북경조약(北京條約), 애로호사건[Arrow War],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천진조약(天津條約) 정치외교/외교사안 인물 영국/중국/일...
    동의어Harry Smith Parkes | 관련어갑신정변(甲申政變), 북경조약(北京條約), 애로호사건[Arrow War],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천진조약(天津條約)
  • 은문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사는 앞에서 절하고 문생은 그 뒤에서 절하였다. 여러 빈객들은 비록 존장(尊長)이라 하더라도 모두 당(堂) 아래의 뜰에 섰다가 예를 마치면 예를 차려 사양하면서 올라가 ()를 하면 학사가 그의 집으로 맞이하여 잔을 올려 축수(祝壽)하였다. 그런데...

고서·고문서(415)

  • 子曰吾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10 中庸自箴 ITKC_MP_0597A_0310_030_0120 子曰吾說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中庸自箴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子曰吾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20 中庸講義補 ITKC_MP_0597A_0320_010_0450 子曰吾說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中庸講義補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익위사각도행목신정절목(翊衛司各道行木新定節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자명부, [날짜 미상]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
    15705 우남C-6-5-0008 자명부, [날짜 미상] 문서 [날짜 미상] 2 한국어 1948년 이후 국방 기타
    자료명하례자명부, [날짜 미상]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날짜 미상] | 작성언어한국어
  • 하려선생문집(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14)

  • ): 심봉사 황성 올라가는 데 날이 차차 밝어지니 주인 불러 를 하고 황성길을 올라갈 적 주막 밖을 나서드니 그래도 생각나서~소리 김정옥 북 나성엽 A-058 김정옥 대담.pdf pdf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나성엽(나원집)
  • ): 심봉사 황성 올라가는 데 날이 차차 밝어지니 주인 불러 를 하고 황성길을 올라갈 적 주막 밖을 나서드니 그래도 생각나서~소리 김정옥 북 나성엽 A-058 김정옥 대담.pdf pdf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옥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읍 우산리) 2) 물레노래(06:02)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리) 3) 아이 재우는 소리(09:58) (경기도 평택) 4) 고사소리(17:27) (전라남도) 5) 진도씻김굿 중 제석굿(21:24)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중림리 상암마을) 6) 밤다래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희봉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읍 우산리) 2) 물레노래(06:02)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리) 3) 아이 재우는 소리(09:58) (경기도 평택) 4) 고사소리(17:27) (전라남도) 5) 진도씻김굿 중 제석굿(21:24)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중림리 상암마을) 6) 밤다래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광수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읍 우산리) 2) 물레노래(06:02)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리) 3) 아이 재우는 소리(09:58) (경기도 평택) 4) 고사소리(17:27) (전라남도) 5) 진도씻김굿 중 제석굿(21:24)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중림리 상암마을) 6) 밤다래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정순

신문·잡지(65)

  • 셩교육총회를  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광무십일년 륙월 이십일은 셩 교육 춍회를 창셜 일쥬년 긔념일이라 이날 경덕궁「敬德宮」에셔 셩대 긔념식을  회원 슈명과 보챵학교「普昌學校」의학고 (培義學校) 영챵학교「永昌學校」광명학교「光明學校」강남학교「江南學校」량합보챵학교「兩合普昌學校」츈우학당「春雨學堂」...
    게재일1907년 6월 25일 | 기사분류논설
  • 진명부인회를 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월 십오일은 음력단오가졀이라 이날진명부인회 회식을 장츙단에셔 셜엿 오후두시에군악소가 진 가온 회 후에 회쟝 신소당씨 회 취지를 셜명고 춍무 박영씨진명부인회의 챵셜 근본과쟝에 엇더케지 방침을 연셜고 양규의슉 녀학도 슈십명은 챵가...
    게재일1907년 6월 18일 | 기사분류논설
  • 部隸削髮의紛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각부에셔 고원 사령등 일반도 일병 단발 식히기로 협의즁인 부에셔 그 들을 단발케 랴 일에 야 머리에 쓰것은 각기유로게 기도며 혹은 일지게 고모를 쓰게자기도며 혹은 비단 라 일반관리도 고모를 쓸 형편인즉 그 모에
    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特派大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쳐분을나리사 의양군 리각으로 특파대를 명야 일본에 젼왕야 승젼을 라 섯더라
    게재일1905년 3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親電德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덕국황 혼례 칭경례식에야 대황뎨폐하게셔 친셔로 뎐보 시을 표셧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2)

  • 하예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774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69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1)법과 제3학년 하예용;容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하예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59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4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1) 제29회 150명(1933년 3월 졸업) 하예용;容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하예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13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44면 (31) 제29회 150명(1933년 3월 졸업) 하예용;容 인천부 사정 5-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고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고 방물을 바치다. 교류담당 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례하고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고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고 토산물을 바치다. 교역물품 645년(乙巳/신라 선덕왕(宣德王)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太宗...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하례하고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宣德王)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太宗 貞觀 19/倭 皇極天皇 4, 孝德天皇 大化 1)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5)

  • / [정치·법제]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축하하는 의식. 대표적인 로 정월 초하룻날 백관이 임금에게 새해를 축하하는 정조 를 들 수 있으며, 정조 가 끝나면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 파크스 / Harry Smith Parkes [정치·법제/외교]

    1828-1885. 19세기 영국 외교관. 초대 조선 주재 영국공사. 1842년 선교사 모리슨의 사무실에 취직하였다. 1842년 8월 29일 남경조약의 체결 현장을 목격하였다. 1855년 홍콩총독 보우링을 수행해서 시암에서 통상조약을 체결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188

  • 효정현황후전시진하예부자 / 孝貞顯皇后奠諡進部咨 [정치·법제]

    자문 1882년 고종이 청 효정현황후 존시 진하 표문을 청 황제에게 전달해주기를 요청하기 위해 청 예부에 보낸 자문이다. 자문 뒤로는 황세저포 30필로부터 백면지 2,000권에 이르기까지 총 10종의 방물 목록이 적혀 있다.

  • 효정현황후전시진하표·방물표 / 孝貞顯皇后奠諡進賀表·方物表 [정치·법제]

    1882년 고종이 청 효정현황후의 시호를 올린 것을 하기 위해 본낸 진하표와 방물표. 지제교 이응진(李應辰)이 지었다.

  • 경과 / 慶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한 과거.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백관의 를 받으며 모든 사람들이 같이 경축하기 위해 전국에 포고한 뒤 과거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