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하라 다카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3)
- 하라 다카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92년 농상무대신을 그만두자 행동을 함께 했으며 그 뒤 곧바로 무츠가 제2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각의 외상에 취임하자 통상국장에 기용되었고 이어서 외무차관에 임명되었다. 그 사이 하라는 영사재판권 철폐, 관세자주권의 일부 회복 등이 포함된 영일통상항해조약을 체결...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다케나카 시게토시(竹中重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191 인물 다케나카 시게토시(竹中重利) 다케나카 시게토시 竹中重利 1562 1615 센고쿠시대(戰國時代) - 에도시대 전기의 무장이자 다이묘(大名). 죽중중리(竹中重利) 별칭은 다케나카 다카시게(竹中隆重). 분고국...유형분류인물
- 가토 마스오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사건이 발각되자 인천을 통해서 시모노세키로 망명하였다. 가토는 동래부(東萊府) 관찰사 지석영(池錫永)과 면담하여 그 정보를 입수하고 본국에 보고하였다. 1896년 7월부터 조선공사관 1등 서기관에 임명되어 서울에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1897년 2월 23일 하라 다...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가토 다카아키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받았고, 입헌동지회가 헌정회로 개조되자 총재에 취임했으나 오랫동안 정권에서는 멀어졌다. 제1차 세계대전 후 하라 다카시(原敬)가 이끄는 입헌정우회 정권의 압박을 받아 당내에서의 지위도 위협을 받았지만 강직함과 재력, 측근의 지지로 위기를 넘겼다. 1922년 보통선거법...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데라우치 마사타케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爵)으로 승격되었다. 1916년 육군 원수(元帥)가 되었다. 1916년 10월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 내각의 뒤를 이어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의 천거로 내각을 조직하였다. 1917년 6월 임시외교조사위원회를 조직하엿다. 하라 다카시(原敬)와 정우회(政友會)...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0)
- 주한일본공사 교체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7658 보고 일본 외무대신에 따르면 주한일본공사 고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郎)가 외무차관에 내정됨. 현 외무차관 하라 다카시(原敬)가 주한일본공사로 임명될 예정. 일본, 주한일본공사, 고무라 주타로, 고무라, 小村壽太郎, 하라 다카시, 하라, 原敬,...대표표제어주한일본공사 교체 보고 | 발신자구트슈미트 | 수신자호엔로에-쉴링스퓌어스트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독일언론에 보도된 조선과 일본 관련 기사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노이에스테 나흐리히텐(Berliner Neueste Nachrichten)지의 보도: 일본과 조선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 하라 다카시(原敬), 오이시 마사미(大石正巳)대표표제어독일언론에 보도된 조선과 일본 관련 기사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 9191 보고 신임 일본 공사 하라 다카시가 이달 7일 서울에 도착했음. 조선의 외부협판 고영희에게 의하면, 전임 일본 공사 고무라 씨는 일본으로 출발하기 직전 외부대신에게 서신을 보내 다음의 사항을 요구하였음: 조선에서 살해된 일본인 42명과 부상당한...대표표제어조선의 정치적 사건들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정치적인 사건들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일어났으며 소요사태가 급증하는 중임. 고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郎), 하라 다카시(原敬), 신기선(申箕善) 1. THE INDEPENDENT의 사설 No. 34(1896. 5. 31)대표표제어정치적인 사건들 | 발신자크리엔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에서 러시아와 일본. 필리핀의 미래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그 후계자 자리에 등장할 자격이 있다는 생각을 하였음. 독일이 풍부한 자산을 놓쳐서는 안 될 것임 하라 다카시(原敬) 11월 22일 페테르부르크 914, 베이징 A. 36에 전달대표표제어조선에서 러시아와 일본. 필리핀의 미래 | 발신자구트슈미트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주제어사전(2)
-
하라 다카시 / 原敬 [정치·법제/외교]
1856-1921. 일본 외무관료 수상. 1876년 사법성법학교에 퇴학당하고 <우편보지신문>의 기자가 되었다. 1881년 <대동일보>의 주필이 되었다. 이노우에 가오루를 알게되어 1882년 대동일보사 퇴사 후 외무성 어용괘로 채용되었다. 이어서 천진 영사, 주불공사관
-
주한일본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루, 미우라 고로, 고무라 주타로, 하라 다카시, 가토 마스오, 햐야시 곤스케 등 13명이며, 임시 대리공사 포함하면 20명이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