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하나부사 요시모토” 에 대한 검색결과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58)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다. 이 당시 는 조선 사정을 연구하였다. 1876년 조선으로 파견되었으며 부산의 왜관(倭館) 땅을 특별거류지로 설정하고 공사로서 조선에 머물렀다. 1877년 11월 25일부터 12월 21일까지 상주공관설치문제와 개항장의 선정문제를 해결하는 데 노력하여 서울...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花房義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791 인물 (花房義質) 花房義質 1842 1917 메이지(明治)시대의 정치가. 화방의질(花房義質). 오카야마현(岡山縣) 출신이다.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에게 사숙하여 유학을 배...
    유형분류인물
  • 일본인문답잡록(日本人問答雜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422 문헌 일본인문답잡록(日本人問答雜錄) 일본인문답잡록 日本人問答雜錄 강화도조약에 의거해 1879년(고종 16) 인천 개항의 실무교섭을 위해 내한한 일본인 대리공사 (花房義質)와의 회담 내용을 기록한 책. 1책....
    유형분류문헌
  • 화방외무대승조선국행사무발췌(花房外務大丞朝鮮國行事務拔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389 문헌 화방외무대승조선국행사무발췌(花房外務大丞朝鮮國行事務拔萃) 화방외무대승조선국행사무발췌 花房外務大丞朝鮮國行事務拔萃 1872년 일본 외무대승 (花房義質)가 사무 관계 문서를 필사하여 엮은 책. 1책(62장)...
    유형분류문헌
  • 오쿠야마 이와(奧山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이 일본을 방문하였는데, 11월 14일 도쿄에 머물렀던 수신사 일행은 오전에 (花房義質)와 점심 식사를 한 후, 오쿠야마 이와에게 조선의 예물로써 미선(尾扇) 1병 ‧ 접선(摺扇) 2병 ‧ 면주(綿紬) 1필을 전달하였다. 朴泳孝,『使和記略』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1)

  • 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의 조선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쿨레라 때문에 귀환. (위의 문서와 동일) (花房義質), 개항, 콜레라, 부산, 나가사키, 조선인, 반일, 거류지, 소문 독일제국 관보용 비공식 자료 정계 소식들
    대표표제어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하나부사의 조선행 | 발신지베를린
  • 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의 조선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er Bülow 1877.10.15 1877.12.00 도코 베를린 No.141 A.7301 보고 개항 문제 교섭을 위해 떠났던 가 쿨레라 때문에 귀환. (花房義質), 개항, 콜레라, 부산, 나가사키, 조선인,...
    대표표제어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하나부사의 조선행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도코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파견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w 1878.02.09 1878.03.20 도쿄 베를린 No.174 A.1878 보고 조선의 추가 개항 문제는 지역 조건과 측량 문제로 결정을 당분간 보류. (花房義質), 개항, 교섭, 부산, 무역, 통계자료, 일본외무성...
    대표표제어조선의 추가 개항을 위한 하나부사 파견에 관한 건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ülow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일본공사취직연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명치 10년 9월 부임한 (花房義質) 명치 32년 6월 부임한 하야시 곤스케(林權助) 특명전권공사까지 14명의 일본공사의 취임일과 공사관명(公使官名)을 기재하였으며, 주요대리공사의 인명도 함께 정리한 것으로 총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기타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조선의 두모진 수세 철회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223 사본 는 조선의 관세규정을 철회하는 데 성공했으며, 조선 정부는 작년 10월부터 분쟁 가능성을 예측하고 청 정부에 지원여부를 문의. 조일관계, 두모진수세사건, (花房義質)(花房義質), 야마노시로 유쵸, 야마노조 스케나가, 군함파...
    대표표제어조선의 두모진 수세 철회에 관한 건 | 발신지베를린 (외무부) | 수신지베를린 (관보 편집국)

주제어사전(3)

  • / 花房義質 [정치·법제/외교]

    1842-1917. 일본 외교관. 임오군란 당시 조선 주재 일본공사. 일본적십자 사장. 1872년 외무대승으로 승진. 이때 청국과 조선에 파견되었다. 1873년 러시아공사관 서기관 임명, 에노모토 다케아키 공사를 도와서 사할린, 쿠릴열도 교환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당시

  • 김석규 / 金碩奎 [종교·철학/유학]

    1826년(순조 26)∼1883년(고종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김휘경이다. 정재 유치명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책문을 잘 썼지만 과거에 네 차례 응시하여 모두 낙방하자 이후 과거시험을 보지 않았다. 1881년(고종 18) 일본공사 를 추방하

  • 주한일본공사관 / [정치·법제/외교]

    1880년에 서울데 설립된 일본 외교기관으로서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로 이관됨. 역대 주한 공사를 역임한 사람은 초대 , 다케조에 신이치로, 곤도 마스케, 가와키타 도시스케, 가지야마 데이스케, 오이시 마사미, 오토리 게이스케, 이노우에 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