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하겸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65)
- 하겸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0(고종 7)∼1946. 근대의 유학자. [내용]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숙형(叔亨), 호는 회봉(晦峯) 또는 외재(畏齋). 진양 출생. 아버지는 재익(載翼)이며, 어머니는 김해허씨(金海許氏)다. 13세에 사서‧오경의 요의(要義)...이칭별칭 숙형(叔亨)| 회봉(晦峯), 외재(畏齋)
- 박장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년시절 고향의 보성학원(普成學院)에서 신학문을 배웠고, 18세 때부터는 조긍섭(曺兢燮)의 문하에서 도학(道學)에 정진하였다. 청년시절 송준필(宋浚弼)‧하겸진(河謙鎭) 등 당시의 명망 있는 유학자들을 방문했으며, 시흥(始興)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서 열린 학술 강습회에...이칭별칭 문경(文卿)| 중산(中山)
- 수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인쇄. 貴省諸君子 出義醵金 繡梓而公之天下 安知其意不出於此乎, 하겸진(河謙鎭), 37-14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뇌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돌려서 읽게 함. 회람(回覽). 편지를 읽고 난 후 다른 사람에게도 전달하여 읽게 함. 王斯文粹煥氏 經座下回納 朴權二兄斯文 亦雷覽如何, 하겸진(河謙鎭), 37-144 (봉투)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경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경서(經書)를 공부하는 사람에게 보내는 편지의 겉봉에 쓰는 말. 王斯文粹煥氏 經座下 回納 朴權二兄斯文 亦雷覽如何, 하겸진(河謙鎭), 37-144(봉투)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
- 조태극(趙泰克)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金麟燮)의 둘째 아들인 김기로(金基老)(1861~1922)의 호이다. 김수로(金壽老)의 호는 중계(重溪)라고 그 집안 족보에 나와 있으나, 중계(中溪)로도 쓴 것을,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문집인 『회봉선생유서(晦峯先生遺書)』 제 5권에 「만금중계수로(...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夏山三世稿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의 자는 仲珍, 호는 鵲溪이다. 成好正(1589-1652)의 자는 尙夫, 호는 疆齋이다. 成好晋(1598-1658)의 자는 詢之, 호는 性窩이다. 책의 말미에 河謙鎭이 丁巳年(1917)에 쓴 발문이 있어서 책의 내용과 간행과정을 알 수 있다. 1917년에 후손 成鳳庠...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정태륜 등 판결문 권숙린 등 판결문(鄭泰侖 等 判決文(대구복심법원/ 고등법원) 權肅麟 等 判決文(대구복심법원/ 고등법원))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載貞)이다. 형은 권숙린(權肅麟)이다.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의 문하에서 학문을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20일 독립만세시위운동을 하다 체포되어 단성주재소(丹城駐在所)에 유치되었다. 그의 문집으로 《소계선생문집(小溪先生文集)》이 있다. 이 대정 8년(1919년...제목정태륜 등 판결문 권숙린 등 판결문(鄭泰侖 等 判決文(대구복심법원/ 고등법원) 權肅麟 等 判決文(대구복심법원/ 고등법원)) | 사건유형소요 및 보안법위반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수촌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학의 老母가 다리가 붓는 병으로 보름 정도 일상사를 못하였는데, 며느리(권명섭의 딸)가 주방에서 시모를 잘 공궤하여 병이 나았다는 것과, 同人들과 죽령을 넘어 단양지역을 유람한 감상 등이 내용이다. 答權春樊 56 與權春樊 57 歲暮의 인사와 함께 월초에 晦峯河謙鎭...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원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晦峯河謙鎭에게 답장한 편지이다. 걱정하 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무작정 걱정하는 것보다는 공자가 春秋를 지을 때와 자사가 中庸을 지을 때처럼 걱정과 두려움 속에서도 환난을 막는 방법을 찾으라는 내용이다. 答李德純(漢杰) 2 李漢杰(字德純)에게 답장한 편지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2)
-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와 東坡 蘇軾의 「和陶詩」 比較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숙, 게재일 : 201345602 이영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남문화연구원 2013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와 東坡 蘇軾의 「和陶詩」 比較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 장지연(張志淵)과 하겸진(河謙鎭)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성희, 게재일 : 201347040 정성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3 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 장지연(張志淵)과 하겸진(河謙鎭)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 https://www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16)
-
하겸진 / 河謙鎭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1946년. 근세의 유학자. 아버지는 재익, 어머니는 김해허씨이다. 17세에 당대의 명유 허유를 만났다. 27세 때 스스로 곽종석을 찾아가 제자가 되었고, 29세 때에는 이승희·장석영·송준필 등과 교유, 선현들의 유허지를 순례하고 많은 선비들과
-
강예조 / 姜叡祚 [종교·철학/유학]
) 하겸진(河謙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그의 문집으로 <만은유고(晩隱遺稿)>가 있다.
-
동시화 / 東詩話 [문학/한문학]
유학자 하겸진(河謙鎭)이 편집한 시화집. 2권 1책. 필사본. 활자본에는 성환혁의 발문이 추가되어 있다. 본문은 수록(隨錄) 형식으로 권1에 시화 143칙(則), 권2에 105칙이 실려 있다. 「후지」에서 밝혔듯이, 저자는 시의 공졸(工拙)과 고사(故事)의 역사적인
-
일수헌집 / 一樹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정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97년 정장의 5대손 정광표(鄭光杓)가 정서하였고, 1921년 정장의 8대손 정태희(鄭泰希)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인섭(金麟燮)·장석영(張錫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하겸진(河謙鎭)
-
경재실기 / 敬齋實記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세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2권 1책. 목활자본. 1928년 후손 규정(圭貞)·규량(圭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하겸진(河謙鎭)의 서문과 김영극(金永克)·이준섭(李埈燮), 후손 득소(得韶)·규정 등의 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