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필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10)
사전(797)
- 필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정4품 관직. 세자시강원은 조선 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관청이다.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 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 때 처음 만들었고 좌, 우 2명을 두었다. 이후 조선 태조 때의 관제에도 좌ㆍ우필...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필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독립관직으로 성립되기 전에는 보통 사헌부집의나 사간원사간이 이를 겸임하였다. 1392년(태조 1)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처음 정하면서 좌우필선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에는...
- 필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붓으로 그린 선정의붓으로 그린 선 | 문광부표기pilseon | MR표기p’il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필선(弼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필선 필선 弼善 세자관속(世子官屬),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황태자시강원(皇太子侍講院) 겸필선(兼弼善), 우필선(右弼善), 좌필선(左弼善) 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상위어세자관속(世子官屬),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황태자시강원(皇太子侍講院) | 하위어겸필선(兼弼善), 우필선(右弼善), 좌필선(左弼善) | 관련어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
- 오필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63) 歷代의 人物(李起庸, 韓國政經社, 1971) 韓國法官史(大法院, 1975) 韓國辯護士史(大韓辯護士協會, 1979) 韓國法曹人大觀(法律新聞社, 1982) 오필선(1887-1...이칭별칭 소계(小溪)
고서·고문서(1,553)
- 筆洗說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說 筆洗說 筆洗說 有鬻古器而三年不售者, 質頑然石也. 以爲飮器也, 則外窳而內卷, 垢膩之掩其光也. 遍國中, 未有顧之者, 更歷貴富家, 價愈益下至數百. 一日有持而示徐君汝五者, 汝五曰: “此筆洗也. 石産於福州壽山...대표표제어筆洗說 | 목차孔雀舘文稿○說
- 念佛船(념불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393 창가 조선동요집 22161 1924 嚴弼鎭 彰文社 吉川文太郞 朴仁煥 四十錢 念佛船(념불선) 〈ad〉東萊〈/ad〉 〈#73〉 우리 錦珠(금주) 심은 나무 금강水(수)― 물을 주어 六判書(륙판서) 버든 가지 各邑(각읍)구분창가 | 편저자嚴弼鎭
- 5 第五統統首金必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범서면(凡西面) 1699년 범서면(凡西面) 第一官門里 5 第五統統首金必善 統第一戶病人金必善年參拾貳戊申本金海父通政大夫還男祖驛吏好得曾祖驛吏孫伊外祖正兵金得成本金海妻良女 召史年參拾陸甲辰本慶州父正兵好生祖正兵士龍曾祖應世外祖定虜衛金英立本金海戶口准 第...연도_면이름169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一官門里
- 1 第一統統首李必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범서면(凡西面) 1699년 범서면(凡西面) 第三沙良里 1 第一統統首李必先 統第一戶府案付水軍別武士李必善年肆拾肆丙申本慶州父正兵昌益祖訓鍊院奉事逸奉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主簿仁良 外祖正兵全彦男本慶州妻朴召史年參拾壹己酉本梁山父武學有立祖定虜衛五雲曾祖正益外祖...연도_면이름169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三沙良里
- 6 第六統統首私奴必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十八高安里 6 第六統統首私奴必善 統第一戶 私奴必善年伍拾捌癸未本蔚山上典大丘居都愼守父定虜衛許正龍祖正兵奉春曾祖山伊外祖鄭介進本蔚山妻私 婢順牙年肆拾壹庚寅本蔚山上典金山居私奴永男父斗甲祖億守曾祖億宗外祖注叱金本...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十八高安里
기초학문(1)
- 「한국 염불선(念佛禪)의 전통과 마음공부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8632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철학학회 2012 「한국 염불선(念佛禪)의 전통과 마음공부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4)
- 內訓朔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삭령군슈 리강우씨의게 훈령기를 이왕에 본군셔긔등이 긔료일로 도타쟈를 곳포착야 샤실보고라고 임의신칙얏더니 엇지야 지완지심히 탄거니와 이졔 안쥰의 소장을거즉 슈창자 우필선 등의게 피상사이 삼십이인이오 견실 물건이 갑스로 엽쳔 일만오쳔...게재일1906년 3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개성신문_1952_101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것이다. 저격수들의 보복의 탄환 한 알 한 알은 매일 원쑤 놈들을 무찔렀다. 동 부대 김인철 구분대 저격수들의 빛나는 저격성과는 김룡림 부대 관하 다른 구분대들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리 계선방어구역에서 저격활동에 분기한 김필선 구분대 저격수들의 활동은 높은 성...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1010_03 | 날짜1952년 10월 10일 | 책임주필김명호
- 함남인민보_1948_07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4 림상준 함흥시 중앙리 3구 36번지 함남인민보사 문인택, 김혁, 김연섭, 김임소, 한몽검, 리응협, 리필선, 원승훈, 김사숙, 도경덕, 한운진 함주군주서면인민위원회, 북조선민주당, 북조선로동당, 북조선농민동맹, 함주군천원면인민위원회, 북조...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721_02 | 책임주필림상준
- 황해일보_1953_112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동순 황해일보사 재령군, 내림리 리윤동, 박필선 재령군 내림리 리윤동 농민은 다년간의 창발적 로력으로써 벼의 우량종자를 확보하고 있다. 리윤동 농민은 매년 상급 인민위원회에서 조직하는 영농기술강습회에 빠짐없이 참가하였으며 종자를 개선할...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1128_03 | 책임주필한동순
- 외환연구_1966_01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서독의 수출금융제도 이필선 4 외환증서제도에 따르는 법적 문제점 최규철 10 케네디라운드와 GATT체제의 변화 1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기타자료(35)
- 이필선;李弼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이필선;李弼瑄 경상남도 함안 소화13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필선;吳弼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54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41면 오필선;吳弼善 전남 장성군 삼계면 덕산리;광주부 명치정5정목 102 제2회 192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필선;洪弼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025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昭和16年度 1941―12―28 161면 홍필선;洪弼善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필선;洪泌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991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4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j. 1938년 3월 졸업 홍필선;洪泌善 (본적)충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필선;洪泌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41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7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j. 1938년 3월 졸업(33명) 홍필선;洪泌善 (본적)충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송재소 | 다산학술문화재단 | 2009 | 국내 | 서울
-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최영진 | 성균관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9)
-
필선 / 弼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독립관직으로 성립되기 전에는 보통 사헌부집의나 사간원사간이 이를 겸임하였다. 1392년(태조 1)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처음 정하면서 좌우필선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에는 집현전 관원들이 이를 겸직하였다.
-
겸필선 / 兼弼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보통 집의나 사간으로 겸직케 하였다. 원래 좌·우필선 2인이 있었으나, ≪경국대전≫ 편찬과정에서 우필선이 겸직하도록 하여 관제에서 빠지게 되었다.
-
민병한 / 閔丙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61∼?). 1889년(고종 26) 문과에 병과로 급제 후, 세자시강원 겸설서·겸필선·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왕태자시강원첨사·궁내부특진관·경효전제조·중추원찬의·궁내부대신의 임시서리 등을 지냈다.
-
손덕승 / 孫德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59∼1725). 사헌부지평을 거쳐 김천도역승을 지냈다. 만년에는 향리로 돌아와 후학을 기르며, 《심경》, 《근사록》 등에 심취하였다. 1725년(영조 1) 67세의 나이로 졸한 뒤, 필선의 증직이 내려졌다.
-
윤유기 / 尹唯幾 [종교·철학/유학]
1554년(명종 9)~미상.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윤홍중, 생부는 윤의중이다. 형은 윤유심이다. 부인은 구운한의 딸이다. 세자시강원필선, 사간원헌납, 병조참지, 경주부윤, 남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