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피립”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笠子). 영조정순후가례(英祖貞純后嘉禮) 시 의장군 57명은 홍의(紅衣)와 청의(靑衣)를 입고 ()을 쓰거나 청두건(靑頭巾)과 홍목대(紅木帶)를 하였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를 보면 의장군 중 을 쓰지 않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일을 맡았다. 入絲匠刻手匠鍍金匠假家各二間擔鞭匠假家一間匠假家二間儀仗庫接朴只邊板十二立朴只五寸釘二十四介大鎖鑰四介圍排五間沙立門一, (국장1776/278ㄴ11~279ㄱ0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색 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청의(靑衣) 등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 만든 대(帶)를 매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목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목면으로 만든 푸른 빛깔의 웃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자의(紫衣)처럼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목면으로 만든 청색 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자의(紫衣)처럼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 만든 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7)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1)

  • / [생활/주생활]

    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 영조정순왕후가례시의 장군 57명은 홍의와 청의를 입고 을 쓰거나 청두건과 홍목대를 하였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보면 의장군 중 을 쓰지 않고 청두건을 쓰는 사람만 홍목대를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을 만드는 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