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피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1)
- 피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笠子). 영조정순후가례(英祖貞純后嘉禮) 시 의장군 57명은 홍의(紅衣)와 청의(靑衣)를 입고 피립(皮笠)을 쓰거나 청두건(靑頭巾)과 홍목대(紅木帶)를 하였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를 보면 의장군 중 피립을 쓰지 않고...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피립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일을 맡았다. 入絲匠刻手匠鍍金匠假家各二間擔鞭匠假家一間皮笠匠假家二間儀仗庫接朴只邊板十二立朴只五寸釘二十四介大鎖鑰四介圍排五間沙立門一, (국장1776/278ㄴ11~279ㄱ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자색 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청의(靑衣) 등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피립(皮笠)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 만든 대(帶)를 매고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목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목면으로 만든 푸른 빛깔의 웃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자의(紫衣)처럼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피립(皮笠)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목면으로 만든 청색 옷. 의장군(儀仗軍)이나 여연(輿輦) 담배군(擔陪軍)이 착용한 옷으로 옆트임이 있는 소창의(小氅衣) 형태이다. 역할에 따라 홍의(紅衣)ㆍ자의(紫衣)처럼 다른 색을 입기도 했다. 관모로는 피립(皮笠)이나 두건(頭巾)을 쓰고, 허리에 목면으로 만든 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7)
- 帝王編年記_帝王編年記26 文永十一年十一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207 일본 편저 帝王編年記 120 충렬왕(忠烈王) 0 1274 11 7 帝王編年記26 文永十一年十一月 七日 依蒙古事被立十六社奉弊 일본, 대외정벌, 文永 11년은 충렬왕 즉위년(1294)에 해당하므로, 충렬왕 즉위년국가일본 | 서명帝王編年記 | 왕대충렬왕(忠烈王) 0
- 帝王編年記_帝王編年記26 文永十一年十一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208 일본 편저 帝王編年記 121 충렬왕(忠烈王) 0 1274 11 13 帝王編年記26 文永十一年十一月 十三日 被立[三]社奉弊 일본, 대외정벌, 文永 11년은 충렬왕 즉위년(1294)에 해당하므로, 충렬왕 즉위년 1...국가일본 | 서명帝王編年記 | 왕대충렬왕(忠烈王) 0
- 일기_小右記 寬仁三年四月 卄一日[戊申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345 일본 고기록 일기 小右記 258 현종(顯宗) 10 1019 4 21 小右記 寬仁三年四月 卄一日[戊申] 依異國凶賊着鎭西之事 被立諸社御幣使 [大納言公任卿行之] 攝政今日可被參賀茂 而依公家奉幣延引云云 宰相來云 今日奉幣使宰相申...국가일본 | 서명일기 | 왕대현종(顯宗) 10
- 萬物門2_立耘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利於撥土, 如犁之有壁, 甚宜於坐耘. 考諸錢銚等器, 蓋不見有此制, 天下之利器也. 彼立耘者, 亦疏疏: 동양문고본에는 ‘迹’으로 되어 있다. 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帝王編年記_帝王編年記26 文永五年二月 十五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197 일본 편저 帝王編年記 110 원종(元宗) 9 1268 2 15 帝王編年記26 文永五年二月 十五日 異國事於仙洞評定 是日 自關東被進神馬幷御劒於賀茂社 廿五日 依蒙古事被立臨時二十二社奉幣使 일본, 일본, 文永 5년은 원종...국가일본 | 서명帝王編年記 | 왕대원종(元宗) 9
신문·잡지(2)
- 여원_1957_03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33 허리웃드 연사 137 뉴스 다이제스트 144 주한 피립핀 공사 부인과의 인터뷰 - 당신의 고...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 여원_1957_03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풍속 - 피립핀 이문홍 159 특집 한국여성의 연애사 162 삼국시대의 연애 이모저모 양주동 16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주제어사전(1)
-
피립 / 皮笠 [생활/주생활]
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 영조정순왕후가례시의 장군 57명은 홍의와 청의를 입고 피립을 쓰거나 청두건과 홍목대를 하였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보면 의장군 중 피립을 쓰지 않고 청두건을 쓰는 사람만 홍목대를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립을 만드는 피립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