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풍유법”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擬人化)의 수법을 이용하여 풍자 내지는 교훈의 성격을 보이는 우화(寓話) 역시 에 속한다. 「토끼전」, 「장끼전」, 「이솝 우화」 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 경우는 한 편의 글 전체가 풍유의 기법으로 쓰여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풍유는 표현된 것의 이면에 어...
    이칭별칭우언법(寓言法)
  • 수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으로써 특수한 의미나 효과를 성취하는 수사법이다. 비유법에는 직유법(直喩法)‧은유법(隱喩法)‧대유법(代喩法)‧제유법(提喩法)‧환유법(換喩法)‧의인법(擬人法)‧활유법(活喩法)‧()‧의성법(擬聲法)‧의태법(擬態法) 등이 있다. 직유법(simile...

고서·고문서(5)

  • 中等朝鮮語作文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흣터저ᄯᅥ러지다라고하던지 無情한暴風에 죽엇다라하면 이는適當한比喩가 아닌類이외다. 三, 은 句의裡面에 그 目的意思를 裝置하야 그 表面에 露出하지안케함이니卽使用하는文句는 一器具에 不過하야 其文意를 即解할時에는 何等意는味가업는者이니 即人事上諷刺이다 訓戒又는 勸告...
    서명中等朝鮮語作文 | 자료명第一課 感想表現의方法(一)
  • 實地應用作文大方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虛字, ■語虛字 第一 轉語虗字 第二 櫬語虗字 第三 束語虗字 第四 歇語虗字 第三章 文章總則 第一節 修辭法 第一 主客法 第二 簡用法 第三 含蓄法 第四 咏嘆法 第五 反語法 第六 交錯法 第七 警句法 第八 第九 取喩法 (一) 直喩法 (二) 隱喩法 (三) 類喩法 (四) 誥...
    서명實地應用作文大方 | 자료명實地應用作文大方目次
  •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유법(譬喩法)의 경우를 예로 들면, 직유법(直喩法), 은유법(隱喩法), 유유법(類喩法), 힐유법(詰喩法), 대유법(對喩法), 박유법(博喩法), 간유법(簡喩法), 상유법(詳喩法), 인유법(引喩法), 허유법(虛喩法), 제유법(提喩法), 환유법(換喩法), (),...
    서명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
  • 實地應用作文法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代ᄒᆞᆷ이라 (十三) 諷喩ᄂᆞᆫ 他事物을 借ᄒᆞ야 本事物을 影射ᄒᆞᆷ이라 은 隱喩法과 不同ᄒᆞ니 隱喩ᄂᆞᆫ 想像上作用이오 諷喩ᄂᆞᆫ 辭의 外面은 不同ᄒᆞ나 意義ᄂᆞᆫ 切合ᄒᆞᆷ이며 且 은 擬人法으로도 不同ᄒᆞ니 擬人法은 物로 人에게 比ᄒᆞᆷ이오 은...
    서명實地應用作文法 | 자료명正例
  • 實地應用作文大方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閣記) 木生於山ᄒᆞ고 水流於淵이로ᄃᆡ 山與淵이 且不得有는 而人이 以爲己有ᄒᆞ니 不亦惑歟 (論語)不知謂不知ㅣ 是知也 第八 此法은 文章 句語中에 他의 意義를 包含ᄒᆞ야 言外의 意로써 人事上是非, 得失, 善惡을 批評勸懲ᄒᆞᄂᆞᆫ者ㅣ니 用意가 得當ᄒᆞᆯ時ᄂᆞᆫ 筆下에...
    서명實地應用作文大方 | 자료명第三章 文章總則

주제어사전(1)

  • / [언어/언어/문자]

    보이는 우화(寓話) 역시 에 속한다. 「토끼전」, 「장끼전」, 「이솝 우화」 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 경우는 한 편의 글 전체가 풍유의 기법으로 쓰여진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