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풍고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0)
- 풍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조순(金祖淳)의 시문집. [개설] 16권 8책. 고활자본. 1868년(고종 5) 그의 문중에서 간행하였다. 『풍고집』 권두에는 고종의 친필 어제(御製) 서문과 총목이 있다. 권말에는 정원용(鄭元容)‧김흥근(金興根)‧조...
- 신정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인물지(國朝人物志)』 『풍고집(楓皐集)』 신정하(1680-1715) 1680(숙종 6)∼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근묵≫에서.이칭별칭 정보(正甫)| 서암(恕菴)
- 이유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풍고집(楓皐集)』이칭별칭 덕유(德裕)| 정민(貞敏)
- 이익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풍고집(楓皐集)』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이익회(1767-1843) 1767(영조...이칭별칭 좌보(左甫)| 고동(古東)| 문간(文簡)
- 심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풍고집(楓皐集)』(김조순)이칭별칭 사상(士常)| 기기재(??齋)| 정정(貞定)
고서·고문서(5)
- 풍고집(楓皐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풍고집(楓皐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풍고집(楓皐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金祖淳의 서원을 짓는 데 소나무를 매매하는 明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대손이며, 할아버지는 金達行이고, 아버지는 부사 金履中이며, 어머니는 申思迪의 딸이다. 순조의 장인이다. 저서로 『楓皐集』이 있다. 정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石室書院, 여주의 玄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忠文이다.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경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업적을 평가한 발문이다. 先考遺稿跋(44) 저자의 부친인 鄭東晩(1753∼1822)의 문집 편찬의 경위와 부친의 성품과 업적을 평가한 발문이다. 楓臯集跋 (45) 金祖淳(1765∼1832)의 문집인『楓臯集』의 편찬 경위와 김조순의 성품과 업적을 평가한 발문이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풍고집 / 楓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김조순의 시문집. 16권 8책. 고활자본. 권두에는 고종의 친필 어제 서문과 총목이 있다. 권말에는 정원용·김흥근·조두순 등의 발문이 있다. 권1∼6에 1,032수의 시, 권7·8은 소차 60편, 권9는 주 3편, 계 2편, 응제문 14편, 제문 20
-
김조순 / 金祖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5∼1832). 딸이 순조의 비로 봉해지자 영돈령부사로 영안부원군에 봉해지고, 이어 훈련대장·호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시책문·옥책문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저서로《풍고집》이 있다. 양주 석실서원, 여주 현암서원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