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풍계집”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판하였다. 이 몇 편의 소들을 통하여 효종 당시 청서파(淸西派)와 공서파(功西派)간의 대립과 북벌문제(北伐問題) 등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승려 명찰의 문집. 저자가 죽은 뒤 4년 만인 1711년(숙종 37) 문인 한일이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규장각도서.
  • 승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문신인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청풍계(淸風溪)에 대해 쓴 글.
    정의조선 후기 문신인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청풍계(淸風溪)에 대해 쓴 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Punggye jipseunggi | MR표기P’unggye chipsŭng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명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돌아와 6월 2일 다음날 죽을 것을 예언하였고 6월 3일 임종게(臨終偈)를 남긴 뒤 서쪽을 향하여 합장한 자세로 앉아서 입적하였다. 시문으로도 크게 이름을 떨쳤으며, 저서로는 문집인 『()』 3권이 있다. 『(...
    이칭별칭 취월(醉月)| 풍계(楓溪)
  • 이경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으며, 침구(鍼灸)에 능하고 경사백가(經史百家)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 廣濟祕笈≫과 ≪≫이 있다. 肅宗實錄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八吾軒集 八友軒集 平庵集 平巖集 敝帚遺稿 圃巖集 圃陰集 逋軒集

고서·고문서(2)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門人들을 불러모아 ‘幻海浮沈度幾春 棚頭又作弄傀人’이라는 임종게를 남겼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을 비롯하여 法弟와 孫弟, 門弟 等 80人이 遺稿 7篇을 裒集하였는데 財力이 殘薄하여 겨우 3편만 새기고 나머지는 亂帙상태로 後日을 기약하고자 한다고 하여 을 간행...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序 고종 때 좌의정을 지냈던 宋近洙가 지었다. 어릴 때부터 李景華의 명성을 들었고 커서는 乙丑年의 疏를 보고 감탄했는데, 그 6세손인 李東奎가 선조의 유적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문집을 편찬하게 되었다는 경위를 서술하였다. 또한 尹拯과 宋時烈의 대립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경화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68년(고종 5) 6대손 동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근수의 서문과 연보가 있고, 권말에 이민덕·동규 등의 발문이 있다. 1868년(고종 5) 6대손 동규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근수의 서문과

  • 이경화 / 李景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의학자. 송시열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생원이 되었으며, 침구에 능하고 경사백가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과 ≪≫이 있다.

  • 명찰 / 明察 [종교·철학/유학]

    련암으로 옮겨 그곳을 열반지로 정하였다. 저서로는 문집인『』3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