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품팔이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6)
- 품팔이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작인 등이 관습적으로 중농경영 또는 촌락의 공동사업에 ‘품’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품삯’을 받는 관행이 성립한 이래 일시적‧계절적인 품팔이가 성행하였다. 초기에 다분히 신분적‧관습적 규범률에 따라 성립한 품팔이꾼의 노역 제공은 도시화‧산업화로 발생한 유휴...
- 서원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었으나 모두 격퇴하였다. 그 뒤 평원군 어느 마을에 들어가 품팔이꾼으로 가장하고 쉬는 사이 밀고자의 연락을 받고 출동한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1935년 평양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東亞日報이칭별칭 황파(荒波)
- 내성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들이 망라되며, 신분상으로도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재상에서부터 엄흥도(嚴興道)와 영월 군민들, 건문의 일과 관련된 어부, 나무꾼, 품팔이꾼, 불승 등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일정한 삽화와 연관된 인물들이다...
- 흥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흥부는 소작의 기회마저 얻지 못하고 모든 생산수단을 상실하여 품팔이꾼으로 전락한 영세농민을 반영한 인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견해차가 있어도 <흥부전>이 당시 서민사회의 양상을 반영하고 있고, 서민계층의 삶과 생각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라는 사실...
- 길림조선상민수시무역장정(吉林朝鮮商民隨時貿易章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물건 값과 품팔이꾼을 고용하는 데는 흔히 돈을 쓰지 않고 베를 사용하는데 이를 소포(小布)라고 한다. 역시 시장에서 통용되므로 돈과 다름이 없다. 수레나 낙타로 100필을 1묶음으로 하여 나르는 것이 아닌 경우는 세금을 면제해 주어 옛 풍습을 보존한다. 요즘에는 서...관련어번국(藩國), 조공국(朝貢國), 토문강(土門江), 화룡골[和龍峪], 세무국(稅務局), 만국공법(萬國公法), 통상(通商)
고서·고문서(1)
- 대구부회 회의록(大邱府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료는 쌀이 1평 6전, 고물과 음식점, 철물점 류가 1평 4전, 가축, 야채류가 3전, 소가 1짐에 3전, 품팔이꾼 기타는 1전입니다. 이상의 외에 새로 가축시장을 설치한다면 현재 서문시장에서 취인되는 수량의 3분의 1이 동문시장으로 올 예상이라서 소 마리수는 1년 약...대표표제어대구부회 회의록(大邱府會會議錄) | 건명소화7년도대구부일반경제세입출추가경정예산의건(제7제8제9회)-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2년 11월 | 회의일07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주제어사전(1)
-
품팔이꾼 / [사회/사회구조]
동사업에 ‘품’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품삯’을 받는 관행이 성립한 이래 일시적·계절적인 품팔이가 성행하였다. 초기에 다분히 신분적·관습적 규범률에 따라 성립한 품팔이꾼의 노역 제공은 도시화·산업화로 발생한 유휴 노동력으로서 전업적인 품팔이꾼을 낳게 되었다. 이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