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표의문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표의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어)의 의미를 대표하는 문자체계를 일컫는다.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로는 한자를 들 수 있다. ‘衣, 木, 東, 學, 不’ 등은 각각 어떠한 의미를 대표하는 글자들이어서 한글의 ‘ㄱ, ㅂ, ㅗ’ 등이 단순히 어떠한 음을 대표하기 위한 글자들임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 쌍성(雙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서는 특히 시(詩)에서 많이 나타난다. 쌍성의 예인 ‘관관(關關)’은 ‘닫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겹쳐진 첩자(疊字)임에도 불구하고, 원래 의미와는 상관없이 ‘물수리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로 사용된다. 이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어가 필요에 따라 표음문자(表音...상위어연선자(連線字) | 관련어첩운(疊韻)
- 표음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글자 하나하나가 대표하는 단위가 음소(音素)나 음절(音節)과 같은 음(音)의 단위인 문자 체계. [내용] 표음문자는 음소문자와 음절문자를 묶어 부르는 용어이기도 하다. 표의문자가 의미 단위인 형태소 및 단어를 각 글자의 단위로 하는 문자...
- 한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뜻을 단위로 먼저 글자를 만들어 놓고 그 뜻에 맞는 소리대로 읽을 수 있다.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음문자(表音文字)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표음문자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
- 서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자의 결구와 집필 및 운필 방법(運筆方法). [내용] 문자는 형(形)과 음(音)과 뜻이 있는 일종의 부호로서, 표음문자는 표의문자보다 단순하고 문자 자체에는 아무런 뜻이 없어 하나의 간단한 부호에 지나지 않지만, 표의문자는 이와 반대로...
고서·고문서(1)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형태소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고립어(孤立語)에 속한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어순, 음소 체계, 음절 유형의 측면에서도 매우 이질적인 언어이다. 따라서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표의문자인 한자(漢字)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한 이두(吏讀)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자...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주제어사전(2)
-
표의문자 / 表意文字 [언어/언어/문자]
글자 하나하나가 형태소(形態素) 각각을 대표하는 문자체계. 글자 하나가 의미의 단위인 형태소(대개는 단어) 하나씩을, 더 정확히 말하면 그 형태소(및 단어)의 의미를 대표하는 문자체계를 일컫는다.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로는 한자를 들 수 있다. ‘衣, 木, 東, 學,
-
한자 / 漢字 [언어/언어/문자]
중국어를 표기하는 중국 고유의 문자.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음문자(表音文字)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표음문자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으로 뜻을 드러내지는 못한다. 그러나 표의문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