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표음문자”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글자 하나하나가 대표하는 단위가 음소(音素)나 음절(音節)과 같은 음(音)의 단위인 문자 체계. [내용] 는 음소문자와 음절문자를 묶어 부르는 용어이기도 하다. 표의문자가 의미 단위인 형태소 및 단어를 각 글자의 단위로 하는 문자...
  • 표의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글자 하나하나가 형태소(形態素) 각각을 대표하는 문자체계. [내용] 글자 하나하나가 어떠한 음(音)의 단위를 대표하는 ()와는 달리 글자 하나가 의미의 단위인 형태소(대개는 단어) 하나씩을, 더 정확히 말하면 그 형태소(및...
  • 쌍성(雙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는 특히 시(詩)에서 많이 나타난다. 쌍성의 예인 ‘관관(關關)’은 ‘닫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겹쳐진 첩자(疊字)임에도 불구하고, 원래 의미와는 상관없이 ‘물수리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로 사용된다. 이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어가 필요에 따라 (...
    상위어연선자(連線字) | 관련어첩운(疊韻)
  • 상형(象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이처럼 고대 문자의 발생기에는 주로 상형이 제자(制字)의 기본 원리로 적용되었으며, 특히 생활과 자연에 밀접한 사물들을 묘사하는 데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글도 상형과 관련이 적지 않다. 한글은 ()이지만,...
    상위어육서(六書) | 관련어상형문자(象形文字), 회화문자(繪畫文字)
  • 유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서 훌륭함을 정확히 설파하며, 정음에 대한 천대를 한탄한 것은 후대의 학자를 기대하는 뜻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편, 그의 ≪물명유고≫는 당시의 다양한 국어어휘 7,000여 물명을 수집하여 해박하게 주석한 물보류(物譜類)로서, 그 주석에 쓰인 우리 어휘...
    이칭별칭 계중(戒仲)| 서파(西陂), 방편자(方便子), 남악(南嶽)

고서·고문서(2)

  • 사전, 같이, 보냈다는데, 받아보지못하여, 섭섭, 전번, 예법사전, 애창가요, 반세기, 발송, 받지못하였고, 이번, 한가지, 받지못하였습니다, 오늘, 문제풀이, 답안, 적어보냅니다, 한글, , 소리글자, 요청, 선생님, 건강, 축원, 이만, 끝입니다, 안녕히
    대표표제어그리운목소리 | 성씨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를 어떤 방식으로 화하여 한국어의 어휘와 문법 형태를 표기하였는지 이해해야 한다. 이두의 표기법에 대한 이해가 이두 해독의 선결 과제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두를 전문적으로 다룬 사전에서는 대체로 이두의 표기법을 소개하는 부분이 들어가 있는데, 〈이두사전〉에서...
    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신문·잡지(1)

  • 기본 되는 글자를 만들고 이것을 획을 하나씩 더하거나 모양을 약간 고친다든가 해서 만들어낸 것입니다. 이와 같이 그 근본이 되는 감은 여섯 바께 안 되는 것을 가지고 조화 스럽게 꾸몃다는 기술문제입니다. 둘째 한글은 이기 때문에 즉 소리대로 쓰는 글자이기 때문에...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11_04 | 날짜1947년 10월 11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주제어사전(3)

  • / [언어/언어/문자]

    tic alphabet)라 하여 음소문자와 구별하는데, 이는 특수용도의 기호로서, 일반인이 사용하는 문자의 기능은 하지 못한다. 한편, 음장(音長)이나 악센트 등이 음소의 자격을 가진 언어가 많으나 일반적으로 이들을 문자화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는 분절음소(分

  • 한자 / 漢字 [언어/언어/문자]

    중국어를 표기하는 중국 고유의 문자.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으로 뜻을 드러내지는 못한다. 그러나 표의문자는

  • 언문지 / 諺文志 [언어/언어/문자]

    되도록 교정(校定)하기에 힘썼다. 그는 이러한 과정에서 로서의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한자음뿐만 아니라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를 다 적을 수 있도록 하여, 당시의 국어에 대한 예리한 관찰을 보여주고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로서의 한글의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