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포폄단자”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3)

  • 공좌부(公座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사이동에서도 출근 일수의 계산은 점차 부수적인 인사 기준이 되었고, 특별히 공과가 있거나 확연하게 드러나는 근태 상황을 가지고 인사행정을 운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지방관에 있어서는 ‘()’상의 근무 실태에 대한 관찰사의 평가에 의해 지금까...
    동의어출근부(出勤簿) | 관련어고공사(考功司), 도목정사(都目政事), 사만(仕滿), 사일(仕日), 사일단자(仕日單子)
  • 단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子)‧호구단자(戶口單子)‧천단자(薦單子)‧()‧진상단자(進上單子)‧하직단자(下直單子)‧사은단자(謝恩單子)‧육행단자(六行單子)‧문안단자(問安單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지수단자(祗受單子)‧처녀단자(處女單子)‧서경단자(署經單子)‧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 단자(單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녀단자(處女單子)·진상단자(進上單子)·보단자(保單子)·보거단자(保擧單子)·선사장단자(繕寫長單子)·군직단자(軍職單子)·잡탈단자(雜頉單子)·장단자(長單子)·물선단자(物膳單子)·호구단자(戶口單子) 등 다양한 형태의 단자들이 있다. 그리고 어떠한 일에...
    상위어행정문서(行政文書) | 하위어공신자손세계단자(功臣子孫世系單子), 금기단자(禁忌單字), 망단자(望單子), 묘유사단(卯酉仕單), 문안단자(問安單子), 문안물종단자(問安物種單子), 보단자(保單子), 부의단자(賻儀單子), 사단자(赦單子), 사은단자(謝恩單子), 사조단자(四祖單子), 사주단자(四柱單子), 서경단자(署經單子), 성변측후단자(星變測候單子), 시사단자(試射單子),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정단(呈單), 제물단자(祭物單子), 주의단자(注擬單子), 지수단자(祗受單子), 진상단자(進上單子), 처녀단자(處女單子), 천신단자(薦新單字), 하정단자(下程單子), 하직단자(下直單子), 호구단자(戶口單子) | 관련어품목(品目), 소지류(所志類), 유서필지(儒胥必知)

고서·고문서(5)

  •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1794년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나주 회진 나주임씨 창계 후손가
  • 1724년 권이진(權以鎭)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1792년 권상희(權尙熺)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1792년 권상희(權尙熺) ()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함경도 지역 관원에 대한 . 먼저 해당 지역명과 인명을 명시하고 하단에 8자로 평가를 한 후 마지막으로 성적을 상, 중, 하로 기록하였다. 모두 32명의 관원에 대해 포폄을 한 것으로, 함경도 관찰사 예하의 중군부터 도사를 비롯해 함흥부사 등의 지방관과 심약,

  • 단자 / 單子 [정치·법제/법제·행정]

    타인에게 보낼 물품이나 어떠한 사실을 조목조목 적어 받을 사람에게 올리는 문서. 대개는 매 조목을 별행으로 썼다. 단자의 명칭이 붙은 문서로는 단자·선원록세계단자·돈녕단자·공신자손세계단자·호구단자·천단자··진상단자·하직단자·사은단자·육행단자·문안단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