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포세” 에 대한 검색결과 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7)

사전(55)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수건’을 의인화한 것이다. 여용국의 무위(武衛)장군195)이다. 195) 한글본 [녀용국평난긔](『文學思想』24, 1974. 9)에는 ‘전군교위(前軍校尉)’로 되어 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이래로 점포에 대해 세를 물리는 것.
    정의고려시대 이래로 점포에 대해 세를 물리는 것.[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pose | MR표기p’os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잡세(雜稅) ① 해세(海稅) ② 포구세(浦口稅) 균역법(均役法), 여객주인(旅客主人), 구문(口文), 궁방절수(宮房折受) 경제재정/잡세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이욱
    상위어잡세(雜稅) | 동의어① 해세(海稅) ② 포구세(浦口稅) | 관련어균역법(均役法), 여객주인(旅客主人), 구문(口文), 궁방절수(宮房折受)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후기‧조선시대 호(戶)를 단위로 베를 징수하던 세(稅).
    정의고려 후기‧조선시대 호(戶)를 단위로 베를 징수하던 세(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opose | MR표기hop’os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당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군사들이 훈련한 도수 기예로서 머리 위를 막는 자세
    정의조선 후기 군사들이 훈련한 도수 기예로서 머리 위를 막는 자세 | 문광부표기dangdupose | MR표기tangdup’os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29)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孝子圖 薛掃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薛包汝南人父娶後妻憎包分出之包日夜號泣不去至被毆扑不得已廬于外早入灑掃父怒又逐之乃廬于里門晨昏不廢歲餘父母慚而還之父母亡弟求分財異居包不能止奴婢引老者曰與我共事久若不能使也田廬取荒頓者曰少時所治意所戀也器物取朽敗者曰素所...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絞帶變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nk_0005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小斂 絞帶變 絞帶變 이익(李瀷, 1681~1763) 絞帶變 DRAC_2:1:12:12 《喪服傳》云: “絞帶者, 繩帶也.” “冠繩纓, 條屬”《疏》云: “絰帶至虞後, 變麻服葛. 絞帶雖不...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해서 는 군흥 주향으로 인한 것이니, 해주부의 현재 토병 사람 수와 응당 내려야 할 지방을 마련하여 보고하고, 는 해주부에서 함부로 거두지 말고 포민이 응당 납부할 수효를 타정하여 탁지부로 휘납하도록 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內需司]庄土文績_제9책 : 圖書文績類 123-124. 光武九年五月日瑞興郡各宮各司田畓蘆竹楮田稅湺稅堰稅旅閣稅有無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5303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9책 : 圖書文績類 09-048 123-124. 光武九年五月日瑞興郡各宮各司田畓蘆竹楮田稅湺稅堰稅旅閣稅有無成冊 수세성책류 2 18.9x28.8 판심(瑞興郡), 관인 2장, 18.9...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갑오동란 당시 홍주 초계영 군관 이종태가 가사전답을 팔아 군수로 대용한 돈과 각 민에게 빚진 돈 중 미추조를 1893년도 전 400여 량에서 우선 지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남포군 거주 李鍾泰이 訴狀으로, 甲午動亂 때 洪州 招計營 軍官으로 家舍田畓을 팔아 軍需로 貸用한 돈과 각 民에게 빚진 돈의 일부는 公錢에서 除減하였고 未推條가 엽전 621兩 1戔 6分이 남았는데, 1896년 겨울의 탁지부 훈령에 “남포군에 1893년도 錢 400여...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구술자료(1)

  • 열여섯 명의 일가족이 자신이 죽을 구덩이를 스스로 파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도 살았어요, 그 노인네가. 그러고 또 고 바로 그전에 실은 저짝 건너에 있어요, 귀미집이라고 그러는데, [조사자 : 비 미집이요?] 귀미집, 귀미집이라고 그러는데, 귀미집이라고 있는데 거기에 인민군이 와가지고선 인 제 불렀는데 이종배라는 사람이 나갔어, 이종배가
    조사지역경기 가평 | 조사일2013년 2월 17일

기초학문(1)

  • 운동훈련이 Ovalbumin으로 유도된 천식모델 생쥐의 Cytokine 및 기관지폐척액내의 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태동, 게재일 : 2010
    38769 권태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운동영양학회 2010 운동훈련이 Ovalbumin으로 유도된 천식모델 생쥐의 Cytokine 및 기관지폐척액내의 세포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4)

  • 無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안남도 즁화 함죵등 십여군에 일본병참소로 곳곳시 포쥬를셜시야 관포명은 영업이 죠잔야 포셰금을 슈랍기어렵다고 도관찰가 보고로 셜명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加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동군거 김도길등이 농상공부에 쳥원기를 본인이포쥬인으로 갑오이후에 본군경 포의슈효 불계고 셰랍을 엽젼 일쳔십량식 상납얏 홀연작년이월부터 본군슈가 이쳔오오십량식 밧치라독봉고로 임의본부에 호소야 엄졔를엇엇스나 만일 관찰부에 도부계드면 필경문구로 ...
    게재일1906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善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선산군슈 유진찬씨 군경 포셰금 십년도죠를 엽젼으로슈봉야 엽젼십량에 지화일원오십젼식가계야도합일칠십원칠십젼을농상공부로상납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訓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샹공부에셔 젼쥬관찰에게 훈령기 포셰금은 그규칙을 샹 쥬가야 국고의 졍으로 마련지 임의 십년인데 소위 회민등이 져희다니 그 소습이 극히 통나 하방 례셩을 먼져 효유난거시 맛당니 이로 고시라고 각군에 훈칙며 포셰금은 일일이 독랍야 ...
    게재일1905년 10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오셔에 뎐당포를 됴샤즉 도합이 일구십팔쳐인 한셩부에 삭셰입이 이십삼원오십젼이라더라
    게재일1903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7)

  • 강세형;姜世馨;산형;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259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4면 강세형;姜世馨;산형;山馨 전북 192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가 보낸 김동엄에게 왜가 신라왕에게 배 1척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신라→왜 【번역】 (가을 9월) 경술일에 신이마려(臣耳麻呂)를 사신으로 보내, 신라왕에게 조선(調船) 1척을 내렸는데, 동엄 등에게 딸려보냈다. (󰡔日本書紀󰡕 27 天智紀) 【원문】 (秋九月) 庚戌 使臣耳麻呂 賜新羅王輸御調船一隻 付東嚴等 (...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김동엄에게 왜가 신라왕에게 배 1척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 신라가 일본에 보낸 신라사가 입경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12월) 기묘일(26) 신라사신이 입경하니 종6위하 조신인(朝臣人), 정7위상 대야조신동인(大野朝臣東人)을 보내 기병 170명으로 삼기(三崎)에서 맞이하게 하였다. (󰡔續日本紀󰡕 6 元明紀) 【원문】 (十二月)己卯(26) 新羅使·入京 遣從六位下朝臣人...
    대표표제어신라가 일본에 보낸 신라사가 입경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14년(甲寅/신라 성덕왕 13/발해 고왕 16/唐 開元 2/일본和銅 7)
  • 송영호;宋永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240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04면 송영호;宋永浩 경성부 종로5정목 143;木務署 제13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가 보낸 김동엄에게 왜가 신라왕에게 배 1척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신라→왜, 왜→신라 【번역】 (가을 9월) 경술일(29)에 신이마려(臣耳麻呂)를 사신으로 보내, 신라왕에게 조선(調船) 조선(調船) : 調를 실은 배를 말한다. ‘調’는 원래 지방에서 거두어 왕경으로 보내는 수취물을 가리키는 말로, 신라가 일본에 보...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김동엄에게 왜가 신라왕에게 배 1척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경제]

    포물로 납부하는 세. 평안·함경도의 경우, 이때까지 아직 면포·마포의 생산이 적어 미로 납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그것을 관에서 포로 환산하여 요구하지 못하게 하는 규정으로 이행된다.

  • 광포설화 / 廣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광포의 지명 유래에 관한 설화. 이 전설의 분포 지역은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장연호(長淵湖),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곡동의 영감바위, 전라북도 군산 앞바다인 고군산 열도(古群山列島), 전라북도 부안군의 계화도(界火島) 등 주로 서해안 일대에

  • 의견설화 / 義犬說話 [문학/구비문학]

    하는 광포설화(廣話)였음을 짐작할 수 있으나, 실제로 지명의 변천을 정리하면 최자의 생존 당시보다 200∼300년 전인 고려 초기의 사건으로 추정된다. 이 이야기는 그 뒤 『신증동국여지승람』·『지봉유설』·『증보문헌비고』, 그리고 『남원읍지』·『용성지 龍城誌』·『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