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평암집”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관계된 구절들을 모으고 자기 의견을 부기해놓은 글이다. 특히, 태극도를 비롯하여 천지간일기도 등 여러가지 도(圖)에는 자세한 해설이 붙어 있어 역학(易學)의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조선 후기의 학자...
  • 정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었다. 장악원정(掌樂院正)에 추증되었고, 영빈서원(瀯濱書院)에 제향되었다. 편서로 『심학전결(心學傳訣)』ㆍ『심경속록(心經續錄)』ㆍ『예설집록(禮說集錄)』ㆍ『절요집람(節要集覽)』 등이 있으며, 문집으로는 『평암문집()』 5권이 전한다. ...
    이칭별칭 여기(汝起)| 평암(平巖)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八吾軒集 八友軒集 敝帚遺稿 圃巖集 圃陰集 逋軒集 楓溪集 楓溪

고서·고문서(1)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平巖先生文集序 이가환이 쓴 序文이다. 孟子가 曺交에게 찾고자 한다면 어디든 스승이 있음을 알린 고사로부터 서문을 시작했다. 그 후 정영진의 학통을 상고하여 退溪, 南冥과 師友였던 葛川 林薰, 瞻慕堂 林芸으로부터 그 손자인 林谷 林眞怤 등을 지나 내려온 학통을 이었으...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정영진의 시문집. 5권 2책. <규 12039> 권1은 사 1편과 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2에는 서 12편, 권3에는 기 7편, 잠명 5편, 제문 3편 유사 2편, 묘표 1편, 잡저 18편, 권4에는 연보가 수록, 권5에는 만사 17수, 제문 6편, 행장, 묘갈명,

  • 정영진 / 鄭榮振 [종교·철학/유학]

    후에는 학문과 후진 양성을 위해 노력했다. <> 이외에 <성학편> 저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