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평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0)
사전(171)
- 평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무사하다는 소식. 適憑新迎下人之去 寄此平信 兼付.缸及魚封, 이덕운(李德運), 35-5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평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살마주 땅에 사는 일본 귀족이다. 중국 강남 땅의 박수평의아내 임씨부인을 잡아와 아내로 삼는다. 얼마 후 임씨부인이 사내아이를 낳자 수평의 아이인 줄도 모르고 매우 기뻐하며 이름을 수길이라 짓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평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신(1819-1896) 1819(순조 19)∼1896. 승려. 경남 합천군 해인사 홍제암 소장.이칭별칭 예봉(禮峯)
- 평신도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직자가 아닌 일반 교인들의 모임정의성직자가 아닌 일반 교인들의 모임 | 문광부표기Pyeongsindohoe | MR표기P’yŏngsindo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평신진(平薪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신진 평신진 平薪鎭 주진(主鎭), 수영(水營), 순영(巡營) 거진(巨鎭), 평신진관(平薪鎭管)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순찰사(巡察使), 항금진(亢金鎭)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상위어주진(主鎭), 수영(水營), 순영(巡營) | 동의어거진(巨鎭), 평신진관(平薪鎭管) | 관련어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순찰사(巡察使), 항금진(亢金鎭)
고서·고문서(429)
- 평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평신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해림현(海林县) 복흥량고 2 2 평신, 책임, 예측, 중국, 중...대표표제어평신 | 성씨김
- 平新艇(평신정)탈출경위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平新艇(평신정)탈출경위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망명, 일본, 어선, 송환 ...대표표제어平新艇(평신정)탈출경위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망명, 일본, 어선, 송환
- 平新艇北傀(평신정북괴)에引渡(인도)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平新艇北傀(평신정북괴)에引渡(인도)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괴, 인도,대표표제어平新艇北傀(평신정북괴)에引渡(인도)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인도, 어선, 망명, 일본
- 임오년 사백(舍伯) 평신(平信)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기독교平信徒聯(평신도련)서 승객救出(구출)협조요청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기독교平信徒聯(평신도련)서 승객救出(구출)협조요청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2...대표표제어기독교平信徒聯(평신도련)서 승객救出(구출)협조요청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납치, 월북, 휴전선, 간첩
구술자료(1)
- 이계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삼음 - 구술자의 신학은 토착적이면서도 사회지향적, 복음적인 종합신학의 구축을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음 - 1987년 민주화 이후 교회의 역할은 자유를 기반으로 한 크르스챤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함 - 21세기에는 목사 중심이 아닌 평신구술자이계준 | 직업목사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2)
- 평신도 여성 중심의 신사참배 거부 항일 투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중호, 게재일 : 200511376 정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5 평신도 여성 중심의 신사참배 거부 항일 투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경남지역 여성 평신도 중심 신사참배 거부 공동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중호, 게재일 : 200721067 정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신학연구소 2007 경남지역 여성 평신도 중심 신사참배 거부 공동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95)
- 松平新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松平新助(-) 부산 松平新助 - 富平町3-45 - - 인쇄 - 1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松平新助(-)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인쇄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출판경찰보 090호 북평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90호 북평신보 북평신보(北平晨報) 1932년 12월 30일 미기재 미기재 북평(北平) 일본_1936년 2월 4일 금지 안녕 중국어 반전, 자체강화, 군사독재 ‘일본 군부...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90호 북평신보 | 출판물명북평신보(北平晨報) 1932년 12월 30일
- 출판경찰보 077호 북평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77호 북평신보 북평신보(北平晨報) 미기재 미기재 북평(北平) 일본_1935년 1월 18일 금지 안녕 미기재 북평신보 “일본이 몽고군을 조직하는 중요성”이라는 기사에 있어...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7호 북평신보 | 출판물명북평신보(北平晨報)
- 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북평신보(北平晨報) 1933년 5월 30일 미기재 미기재 북평(北平) 일본_1935년 2월 13일 금지 안녕 미기재 북평신보, 노지 폭로 「노지(露紙),...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 출판물명북평신보(北平晨報) 1933년 5월 30일
- 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북평신보(北平新報) 1934년 4월 28일 미기재 미기재 북평(北平) 일본_1935년 2월 14일 금지 안녕 미기재 북평신보, 남지 교란 「일본은 이미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8호 북평신보 | 출판물명북평신보(北平新報) 1934년 4월 28일
멀티미디어(60)
-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_2주차_1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톨릭 소개 2주차.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 3주차. 조선왕조와 천주교의 세계관 갈등 4주차. 신앙의 열정과 박해의 시작 5주차.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목활동 6주차. 조선대목구 설정(1831) 7주차. 정조대왕과 조선 천주교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Ⅰ | 강의자조한건 -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_2주차_2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톨릭 소개 2주차.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 3주차. 조선왕조와 천주교의 세계관 갈등 4주차. 신앙의 열정과 박해의 시작 5주차.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목활동 6주차. 조선대목구 설정(1831) 7주차. 정조대왕과 조선 천주교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Ⅰ | 강의자조한건 -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_2주차_3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톨릭 소개 2주차.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 3주차. 조선왕조와 천주교의 세계관 갈등 4주차. 신앙의 열정과 박해의 시작 5주차.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목활동 6주차. 조선대목구 설정(1831) 7주차. 정조대왕과 조선 천주교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Ⅰ | 강의자조한건 -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_2주차_4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톨릭 소개 2주차.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 3주차. 조선왕조와 천주교의 세계관 갈등 4주차. 신앙의 열정과 박해의 시작 5주차.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목활동 6주차. 조선대목구 설정(1831) 7주차. 정조대왕과 조선 천주교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Ⅰ | 강의자조한건 -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_2주차_5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톨릭 소개 2주차. 조선 천주교의 시작: 자생적 평신도 교회 3주차. 조선왕조와 천주교의 세계관 갈등 4주차. 신앙의 열정과 박해의 시작 5주차.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목활동 6주차. 조선대목구 설정(1831) 7주차. 정조대왕과 조선 천주교강좌제목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기도하는 한국 천주교Ⅰ | 강의자조한건
기타자료(22)
- 신홍철;申鴻澈;평신철;平申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68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38면 신홍철;申鴻澈;평신철;平申澈 당진군 당진면 읍내리 제11회 1936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옛날 등원조신진순이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天皇 天平神護 2) 발해 발해→일본 【번역】 (3월) 정묘(12일), 대납언 정3위 등원조신진순(藤原朝臣眞楯, 후지와라노아손마타테)이 죽었다. 나라조의 증 정1위 태정대신 방전(房前, 후사사카)의 셋째 아들이다. 승보 초년에 종4위상을 제수 받고 참의에 올랐...대표표제어옛날 등원조신진순이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66년(丙午/신라 혜공왕 2/발해 문왕 大興 30/唐 代宗 永泰 2, 大曆 1/日本 稱德天皇 天平神護 2)
-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錄事) 고문선(高文宣)·고평신(高平信)·안환희(安歡喜) 3사람에게 모두 종5위하를 주고 그밖에 역어(譯語) 이하 수령(首領) 이상 13사람에게는 공복(公服)의 색(色)에 따라 관위를 더하여 주었다. 우소변(右少辨) 겸(兼) 우근위소장(右近衛少將) 종5위하 등원조신씨종(...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2년(壬戌/신라 문성왕 4/발해 이진 13 咸和 13/唐 會昌 2/日本 承和 9)
- 옛날 후지와라노 아손 마타테(藤原朝臣眞楯)가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2·大曆1/日本 稱德 天平神護 2) 발해 발해→일본 【번역】 (3월) 정묘(12일), 대납언 정3위 후지와라노 아손 마타테(藤原朝臣眞楯)가 죽었다. 나라조의 증 정1위 태정대신 후사사카(房前)의 셋째 아들이다. 승보 초년에 종4위상을 제수 받고 참의에 올랐고...대표표제어옛날 후지와라노 아손 마타테(藤原朝臣眞楯)가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66년(丙午/신라 혜공왕 2/발해 문왕 30 大興 30/唐 永泰2·大曆1/日本 稱德 天平神護 2)
- 발해가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가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교역물품 767년(丁未/신라 혜공왕 3/발해 문왕 大興 31/唐 代宗 大曆 2/日本 稱德天皇 天平神護 3, 神護景雲 1) ...대표표제어발해가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67년(丁未/신라 혜공왕 3/발해 문왕 大興 31/唐 代宗 大曆 2/日本 稱德天皇 天平神護 3, 神護景雲 1)
주제어사전(8)
-
평신 / 平信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편지를 쓸때 '보통 때의 소식은', '무사한 소식은' 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
지곡 / 地谷 [지리/인문지리]
부를 합쳐 지곡면(地谷面)이 되었다. 지곡은 이곳의 지형이 북쪽으로는 해안을 끼고 중심부에는 산간지대가 많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 지역은 가로림만 동쪽에 위치한 긴 반도로서 조선시대에는 서산에서 이곳을 거쳐 평신진(平薪鎭)에 이르렀다. 당시에는 이 지역에 목장이
-
신학월보 / 神學月報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신학잡지. 1900년 12월에 발간된 한국 최초의 신학잡지이다. 한국인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들을 훈련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이 잡지에는 기초적인 신학논문과 성경공부의 자료 등이 실렸다. 이 잡지는 1910년까지 속간되다가 1916년 2월 <신학세계>가 발간되면
-
레지오 마리에 / Legio Mariae [종교·철학/천주교]
카톨릭의 평신도 단체 가운데 하나. 1921년 아일랜드에서 젊은 여성들이 모여 빈민원의 환자들을 방문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1953년에 진출하였다. 당시 광주교구장 헨리(Henry) 주교의 지도 아래 광주교구 소속 일부본당에서 자립지부의 성격을 지닌 프
-
장로 / 長老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교회조직의 일종. 목사를 도와 교회치리를 담당하는 평신도를 말한다. 한국개신교에서는 장로교만이 해방 전부터 이 직제를 사용, 다른 교파들은 해방이후에 이 직제를 사용하였다. 장로는 교회의 택함을 받고 치리회원이 되어 목사와 협력하여 교회행정을 담당할 뿐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