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평시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
사전(106)
- 평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시전(市廛)과 도량형, 그리고 물가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경시서(京市署)를 설치하였다가 1466년(세조 12)에 이르러 평시서로 명칭을 바꾸었다. 조선 전기에...
- 평시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시전(市廛)과 도량형, 그리고 물가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시전(市廛)과 도량형, 그리고 물가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Pyeongsiseo | MR표기P’yŏngsi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평시서(平市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시서 평시서 平市署 시사(市司), 평시(平市) 경시서(京市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근호 1466년(세조 12)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시대동의어시사(市司), 평시(平市) | 관련어경시서(京市署)
- 경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승함에 따라 경시서도 이에 따랐으며, 물가의 조절 및 상인들의 감독, 세금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 뒤 문물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화폐의 유통과 도량형에 관한 업무도 관장하였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혁할 때 평시서(平市署)로 개칭하였고, 성...
- 귀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솔의 한 가지. 옻칠을 하거나 풀을 바를 때 쓰는 붓이다. 주로 돼지털이나 말총을 넓적하게 묶어 만든다. 平市署納家猪毛三斤一兩內十二兩屛風匠歸也實入十五兩丹靑畵師實入一斤六兩漆匠所用實入, (혼전1701/084ㄴ10~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40)
- 平市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30_0080 平市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평시서등급(平市署謄給)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평시서등급(平市署謄給)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한후현 평시서 주부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낱장 일부편이다. 韓後賢을 朝奉大夫 行平市署 主簿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朝奉大夫 종4품계의 동반 품계로 이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조봉대부는 종4품 下階의 품계인데...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도거(島居)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825 B050825 도거 島居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7年 6月 3日_025 ○又以備邊司言啓曰, 一自年前料理路絶之後, 京中牟利之輩, 百計生奸, 圖奪平民之業者, 比比有之, 事極痛惋矣。 自前纛島居民, 無他生理, 賣柴爲業。 一邊酬應平市署公用, 家家設廛, 全以此資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평시서 / 平市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시전과 도량형, 그리고 물가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본받아 경시서(京市署)를 설치하였다가 1466년(세조 12)에 이르러 평시서로 명칭을 바꾸었다. 조선 전기에는 대체로 물가를 통제, 조절하고 상도의를 바로잡는
-
나장 / 羅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병조 소속의 중앙 서리. 의금부·형조·사헌부·사간원·오위도총부·전옥서·평시서 등 중앙의 사정(司正)·형사업무를 맡는 관서에 배속되어 죄인을 문초할 때 매를 때리거나 귀양가는 죄인을 압송하는 일 등을 맡았다.
-
남치원 / 南致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성종의 부마. 충간공 지 증손, 아버지는 선산부사 경이다. 성종의 넷째딸 경순옹주를 맞아들여 의성위에 봉해지고 성동의 저택을 하사받았다. 평시서제조, 훈련원첨정을 역임하였다.
-
현방 / 懸房 [역사/조선시대사]
금지되었던만큼, 현방은 비록 평시서(平市署)의 시안에는 등록되지 않았지만, 거의 시전의 특권을 누리는 상인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
영 / 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서의 정5품 관직. 소격서·종묘서·사직서·평시서·사온서·의영고·장흥고 등의 장관이다. 한편, 종친부에 소속된 영은 정5품직으로, 이는 1443년(세종 25) 12월에 종친의 관계를 정하면서 경(卿)·윤(尹)·정(正)·영·감(監)·장(長)의 관직을 정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