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평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9)
사전(814)
- 평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넓은 널로 된 천판(天板)을 가진 상. 국장(國葬)과 같은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서 사용되었던 상으로 넓은 널로 된 천판(天板)을 가지고 있으며 난간은 없는 형태이다. 국장 시에 사용되었던 평상은 영조척(營造尺)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상의 길이가 8척, 넓...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평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천판(天板)이 넓은 상. 평상은 왕실의 국장이 있을 때 교의를 안치하는 용도로 설치하였다. 주로 주칠(朱漆)을 한다. 평상(平床)과 같다. 排白紋二十五張付地衣四浮白木縇神輦下排白紋十六張付地衣一浮靑木縇平牀下排別紋六張付地衣二浮靑木縇褥上排彩花單席二張紫的縇是如, (국장1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평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나무 또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그 위에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만든 대(臺). [내용] 방 안에 놓고 주로 잠을 자는 데 사용하는 침상과 마당이나 뜰에 놓고 사람이 앉거나 걸터앉는 데 사용하는 뜰마루가 있다. 평상은 고구려 고분벽화...
- 평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무로 만든 침상의 하나.정의나무로 만든 침상의 하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pyeongsang | MR표기p’yŏngs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난간평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난간으로 두른 평상. 평상의 주변을 둘러가면서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평상이다. 평상은 왕실의 국장이 있을 때 교의를 안치하는 용도로 설치하였다. 주로 주칠(朱漆)을 한다. 一卽接二房稟目則輪臺板一欄干平牀一箭平牀一等所排褥席三件則載於二房謄錄故造作計料是如爲有旀, (국장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01)
- 남성의 평상복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3191 P-SDK-03191-P-M-08-04 P-SDK-03191-P-M-08-04-1 P-SDK-03191-P-M-08-04-2 남성의 평상복 朝鮮風俗, 男子通常服裝 조선 경성 쓰무라 조선관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자료명남성의 평상복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평상약안계후서(坪上約案契後叙)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계는 스승인 정재 류치명(定齋 柳致明)의 제사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동문계이다. 이 글의 제목이 말해 주듯이 이 계는 오늘날 양산시평상리에 살고 있던 유치명의 제자들이 주관이 된 모임이었다. 이 글의 지은이 이운정은 경주에 살고 있어서 계를 만...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奉旨英艦續到著問其來意和平商酌事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영국함정 계속 도착,,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北京第一歷史檔案館 | 발신일1897.11.28
- ○삭제(朔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6_384_326 1536년12월 ○삭제(朔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1536년 12월 1일 임오, 맑음. 계동(季冬) 12월 큰달 신축 ○삭제(朔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나는 아픈 몸을 이끌고 제사에 참석...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망제(望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6_384_311 1536년11월 ○망제(望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1536년 11월 15일 정묘, 맑음. ○망제(望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계선(季先)이 국수‧떡‧과일을 가지고 서울에서 아침 일찍 나왔다...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27)
- 최헌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주회사, 평상, 평양 제1중, 평양 제2중, 강서중학교, 진지 고급 중학교, 6.25, 문교부, 홍용선, 대성, 기암, 교도대대, 보안성, 내무성, 황해도 곡산, 중공군, 유엔군, 사리원, 신주막, 김숙권, 해주군인병원, 웅진, 연백, 강화도, 인천, 방위군, 구포,구술자최헌일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미얀마의 음식문화와 불교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집마다 그렇게 부처님 모시는 그 방이 따로 있어요. 거기에 매일 꽃이나 과일, 물 바치고 매일매일 절해요. 이렇게 절하고 그날에는 특히 뭐 여러 과일 이런 거해서 잘 그렇게 모셔요, 부처님. [조사자: 그러면 그 부처님 모셔놓은 방에서는 평상시에도 뭐를 계속 하죠?]국가미얀마 | 제보자쏘딴따아웅 [미얀마, 여, 1982년생, 결혼이주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정덕훈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경기상업고등학교, 광주제일고, 금강산 관광, 대동상업고등학교, 대한생명(前 인천미두), 대한청년단, 동서울대학교, 동양정밀(OPC), 리라초등학교, 문천군, 박연호장학회, 심계원, 영도부대,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종근당, 지평상업고등학교, 켈로(KLO) 부대, 하야리야구술자정덕훈 | 직업교사 | 지역함경도
- 공명과 거문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사람도 마찬가지에요. 만약에 일반사람한테 어떤 전문용어 써도 해봤자 그 사람한테 들리겠어요. 안 들리겠잖아요. 그리고 우리 평상시도 그런 농담도 해요. 만약에 대화불가하면, ‘아 진짜 이 사람은 말 안 통하네.’ 할 때 이 단어 쓴 거예요.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박영숙 [중국(한국계),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여자 내장 귀신 크라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그러니까 평상시에는 사람 모습으로 되어 있다가 밤에만 되면 내장이랑 머리만 쏙 빠져가지고 돌아다니다가 다시, 아침에 다시 돌아온다는 거지? 그럼 바로 옆에 사람이 그 귀신일 수도 있겠네.] 네. 그래서 막 이렇게 아마 옛날에 이렇게 어떤 마을에서 막 이렇게 이 여자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
- 晴窓軟談의 批評樣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19957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시학회 2005 晴窓軟談의 批評樣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高麗朝 中‧後期의 漢文學 批評樣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수천, 게재일 : 200109728 박수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시학회 2001 高麗朝 中‧後期의 漢文學 批評樣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1
- 朝鮮 漢詩文獻 編纂과 批評樣相에 대한 考察 -19世紀 淸代文人을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Liu Jing, 게재일 : 201556611 Liu Jing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5 朝鮮 漢詩文獻 編纂과 批評樣相에 대한 考察 -19世紀 淸代文人을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29)
- 평상개점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평상개점 1907년 7월31일 평양 평양 관찰사가 상업회의소 소장을 불러 평양 종로 한국 상인의 개점을 설득케 함...대표표제어평상개점 | 연월일1907년 7월31일 | 지역평양
- 砥平霜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평군에는 거월 이십오일에 셔리가 왓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大平常雄(大平常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平常雄(大平常雄) 서울 大平常雄 大平常雄 彌生町 8 청부업 - 건축 청부 3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大平常雄(大平常雄)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건축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平商 臨時會議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平商 臨時會議 1922년 5월13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에서 임시평의원회를 개최하고 정관개정, 전기조사위원 선정,...대표표제어平商 臨時會議 | 연월일1922년 5월13일 | 지역평양
- 平商議 협의회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平商議 협의회 1924년 5월26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 평의원협의회가 조선총독부 토목부로부터 의뢰한 평양 부내대표표제어平商議 협의회 | 연월일1924년 5월26일 | 지역평양
기타자료(45)
- 김승식;金承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58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61면 김승식;金承植 평양부 경상리 (대평상회) 제31회 1937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내원;朴來遠;율림내원;栗林來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722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17면 박내원;朴來遠;율림내원;栗林來遠 괴산군 증평면 증평상공회의소 제7회 1919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일본 사신 임동인이 발해에서 돌아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해→일본 【번역】 겨울 10월 계해일(2)에 정6위상 임숙녜동인 등이 발해로부터 이르러 “그 나라 왕의 계문은 평상의 예에 의거하지 않았으므로 이 때문에 버리고 가지고 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녹사(錄事) 대초위하 상모야공사익 등이 탄 두 번째 배는 떠나던 날에 서...대표표제어일본 사신 임동인이 발해에서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1년(辛卯/신라 헌덕왕 3/발해 定王 永德 3/唐 憲宗 元和 6/日本 嵯峨天皇 弘仁 2)
- 재원업평을 홍려관으로 보내 발해 사신을 위로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頭在原朝臣業平向鴻臚館 勞問渤海客 是日賜客徒時服 (『日本三代實錄』 21 淸和紀) 【원문】 (五月)十七日丙戌 敕遣正五位下 行右馬頭在原朝臣業平向鴻臚館 勞問渤海客 是日 賜客徒時服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대표표제어재원업평을 홍려관으로 보내 발해 사신을 위로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 일본 사신 임동인이 발해에서 돌아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겨울 10월 계해일(2)에 정6위상 임숙녜동인 등이 발해로부터 이르러 “그 나라 왕의 계문은 평상의 예에 의거하지 않았으므로 이 때문에 버리고 가지고 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녹사(錄事) 대초위하 상모야공사익 등이 탄 두 번 째 배는 떠나던 날에 서로 잃어버려...대표표제어일본 사신 임동인이 발해에서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1년(辛卯/신라 헌덕왕 3/발해 定王 永德 3/唐 元和 6/日本 弘仁 2)
주제어사전(34)
-
평상 / 平床 [생활/식생활]
넓은 널로 된 천판을 가진 상. 국장과 같은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서 사용되었던 상으로 넓은 널로 된 천판을 가지고 있으며 난간은 없는 형태이다. 국장 시에 사용되었던 평상은 영조척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상의 길이가 8척, 넓이는 4척이었다. 높이는 족부까
-
갈근부평탕 / 葛根浮萍湯 [과학/의약학]
태음인(太陰人) 체질을 가진 사람의 부종(浮腫)이나 이열증(裏熱証)에 사용하는 처방. 1894년에 이제마(李濟馬)가 쓴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에서 처음 쓰였다. 태음인의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장국(臟局)은 금(金)과 목(木)이 상극이므로 조열(燥熱)이 성해져 중완
-
고종의누비저고리 / 高宗의누비저고리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고종이 평상복으로 입었던 오목누비(五目縷緋) 저고리. 고종이 평상복으로 입었던 누비저고리 1점으로 고종의 질녀(姪女)인 안동김씨 김인규의 부인이 입궐하였을 때 하사받은 유물이다. 오늘날 전하는 한말의 왕실유물들이 대부분 예복임에 반해 이 옷은 고종이 평상복
-
길복 / 吉服 [정치·법제]
상을 마친 후 입는 평상시의 복식. 국상의 경우 발인 때에는 포단령, 포직령, 최질복, 삼베융복, 백두건에 백호의 등 각자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상복을 착용하였다가, 반우 때에는 상례에 의해 길복으로 갈아입게 된다. 즉 흑단령ㆍ오사모ㆍ흑각대 차림이나 흑두건에 흑호의
-
소주방 / 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내소주방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