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평난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내용] 589년 10월에 황해도관찰사 한준(韓準), 재령군수 박충간(朴忠侃) 등이 상고(上告)하여 정여립 등이 모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신(功臣) 추충분의병기협책(推忠奮義炳機協策), 추충분의협책(推忠奮義協策), 추충분의(推忠奮義) 정여립(鄭汝立)의 난(亂)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민국...
    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炳機協策平難功臣),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協策平難功臣), 추충분의평난공신(推忠奮義平難功臣) | 관련어정여립(鄭汝立)의 난(亂)
  • 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판윤, 1585년 우의정에 올랐다. 1588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좌의정이 되고, 이듬해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는 선조 때 동서 어느 편당에도 가담하지 않고 일생을 마쳤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뒤 (...
    이칭별칭 극후(克厚)| 우복(愚伏)| 문정(文貞)|시령부원군(始寧府院君)
  • 최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9(중종 24)∼1603(선조3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언명(彦明), 호는 월담(月潭). 한양 출신. 감찰 문손(文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훈련원도정 경(瓊)이고, 아버지는 군수 여주(汝舟)이...
    이칭별칭 언명(彦明)| 월담(月潭)|해성군(海城君)
  •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는 태인ㆍ봉산ㆍ단양ㆍ고양ㆍ삭령 등지의 군수를 두루 제수받았으나 혹 부임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음모를 고변한 공로가 있어 () 2등으로 남계군(南溪君)에 봉하여졌다. 1598년 부평부사로 부임하였고, 이듬해에 고부군수를 지내...
    이칭별칭 수지(綬之)|남계군(南溪君)

고서·고문서(4)

  • 丑按獄及改宗系事, 封光國寅城府院君, 松江, 卽號也。 臣之高祖名宗溟, 擢龍灣庭試狀元, 堂下職盡經淸要, 而末年, 遭時不幸, 以江陵府事, 終。 臣之曾祖, 卽承宣所奏進善臣瀁, 嘗於江都, 有立節事, 先朝嘉其節義, 特爲旌閭, 贈吏曹參議。 臣之祖名普衍, 生於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2500 B01250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年 12月 16日_038 ... 卽承宣所奏宣廟朝左議政臣澈, 承宣之領相奏者, 誤耳。 以己丑按獄及改宗系事, 封光國寅城府院君, 松江, 卽號也。 臣之高祖名宗溟, 擢龍灣庭試狀元, 堂下職盡經淸要, 而末年, 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유상(遊賞)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로 들어오자 정여립의 아들 정옥남(鄭玉男)을 잡아들여 ()에 녹훈되었다. 그 뒤 여양군(驪陽君)에 봉해졌으며 주청부사(奏請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오고, 한성부 좌윤・지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저술로는 󰡔태천집󰡕이 있다. 유상 이 자료의 번역은 한국문집...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민인백(閔仁伯)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辭大司諫兼陳洗滌東西疏【己卯】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辭不中, 命遞珥職 於是兩司、玉堂紛紜駁論矣。) 선조 12년(1579) 5月 丙寅(22日)에 올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철의 行狀에도 관련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松江別集』 卷5, 附錄, 「輸忠翼謨光國推忠奮義協策、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1589년(선조 22) 정여립의 모반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박충간·이축·한응인 등 3인이고, 2등은 민인백·한준·이수·조구·남절·김귀영·유전·유홍·정철·이산해·홍성민·이준 등 12인이며, 3등은 이헌국·최황·

  • 계은유고 / 溪隱遺稿 [종교·철학/유학]

    ) 각 1편, 시 186수, 부록에 묘지명·시장(諡狀)·사제문(賜祭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전 가운데 「사사연전(謝賜宴箋)」은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반란을 평정시킨 대소공신들에게 관직을 내리고 연회를 베풀 것을 권유한 내용으로, 나라

  • 강신 / 姜紳 [종교·철학/유학]

    제하였다. 1589년 문사랑으로 정여립옥사의 처리에 참여하여 3등에 책록되고 진흥군에 봉해졌다. 경기도관찰사, 우참찬, 좌참찬을 역임했다. 기로소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