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편년체” 에 대한 검색결과 2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3)

사전(20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역사 기록을 연‧월‧일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 [내용] 동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오래된 역사 편찬 체재이다. 오늘날 전하는 사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중국의 경우 공자가 노(魯)나라 역사를 쓴 ≪춘추 春秋≫이다. 그러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월(年月)에 따라 기술하는 역사편찬의 한 체재(體裁).
    정의연월(年月)에 따라 기술하는 역사편찬의 한 체재(體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pyeonnyeonche | MR표기p’yŏnnyŏnch’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국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러 문헌 중에서 뽑아 로 적었다. 그 기록은 출처를 밝힌 것과 밝히지 않은 것이 절반씩이다. 주요 내용은 목조(穆祖 : 李成桂의 고조부)의 발상(發祥)과 환조(桓祖 : 李成桂의 아버지)의 장지(葬地)에 따른 풍수설,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지 않았을 때에 얽...
  • 동국홍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단군조선부터 고려 공민왕까지를 로 기술한 역사책. [내용] 15권 5책. 필사본. 편자와 편년은 알 수 없다. 내용을 살펴보면 제1권에는 단군조선ㆍ기자조선ㆍ위만조선ㆍ부여ㆍ신라 상(新羅上, 시조∼진지왕), 제2권에는 신라...
  • 조야첨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윤득운(尹得運)이 저자로 되어 있으며, 『규장각목록』에는 윤형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현재로는 저자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내용] 구성은 각 권별로 조선의 왕을 중심으로 하여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권1∼3에 전주 이씨 시조∼태...

고서·고문서(10)

  • 시작되었는데, 그것이 언제 완성되었는지 확인되지는 않는다. 《동국병감》은 ()의 형태로, 《한서(漢書)》, 《수서(隋書)》, 《사기(史記)》, 《당서(唐書)》 등의 중국 문헌과 《삼국사기(三國史記)》와 고려시대의 여러 문헌 등이 참고자료로 사용되었다. 《동국...
    저자미상 | 간행시기문종시기(1450∼1452) | 판본형태2권 2책
  • [1874]동궁일록(東宮日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4년(高宗 12) 2월 8일 순종(純宗)의 탄신부터 1907년 순종의 즉위까지 동궁으로 있던 순종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로 기록한 일기이다. 이를 1930년대 초 이왕직(李王職)에서 원고지에 필사한 것이다. 동궁과 관련된 사실 뿐만 아니라 고종의 퇴위와 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망제(望祭)를 평상시 법식대로 영좌(靈座)에 올렸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가 밥을 먹고 서울로 돌아갔다. ○기성(箕星)이 다시 도망쳐 서울로 돌아갔다. 《송감(宋鑑)》로 된 중국 宋나라의 역사서을 가르치려 했는데, 도망쳤으니 사람의 종자가 아니다. ○문응(文應)이 와서 바둑을 두었고, 경응(慶應)‧수응(壽應)이 다녀갔다. 十五日丁卯...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화길옹주가례등록(和吉翁主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강조하고 낭비를 줄여서 간소하게 행하려던 영조의 의지가 많이 보이고 있다. 또한 등록의 형식도 단순히 적인 기록이 아닌 대표적인 내용을 뽑아 순서에 의해 편집되어 후에도 참고하기 쉽도록 만들어져 가고 있는 단계를 볼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완화군궁례장시등록(完和君宮禮葬時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등록은 1880년(고종 17) 정월 초6일부터 3월 13일 졸곡제에 이르기까지 완화군 의 상장에 관한 일체의 의주와 논의과정을 예조 에서 형식으로 기록 편찬한 것이다. 표제는 ‘완화군궁례장시등록(完和君宮禮葬時謄錄)’이라 되어 있으나, 첫 면 첫 줄에는 ‘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사설(史說)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嫡宗), 출분(出奔), 항멸(降滅), 동서양의 역사, , 기전체 소년한반도번역문.pdf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8)

  • / [역사]

    역사 기록을 연·월·일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 동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오래된 역사 편찬 체재이다. 오늘날 전하는 사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중국의 경우 공자가 노(魯)나라 역사를 쓴 ≪춘추 春秋≫이다. 전통시대에는 읽히기 위한 역사서로서, ≪동국통감≫

  • 기사본말체 / 紀事本末體 [역사]

    역사를 사건의 시말(始末)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이 체재의 특징은 사건의 명칭을 제목으로 내걸고 그에 관련된 기사를 모두 모아 서술하여 사건의 시말을 기술하는 방식이다. 기왕의 역사편찬 체재인 기전체와 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식이다.

  • 대동사강 / 大東史綱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김광(金洸) 편, 오진영(吳震泳) 교, 신연활자본, 대동사강사, 1929, 12권 2책. 우리나라 단군(檀君)부터 순종(純宗)까지의 역사를 개괄한 사서(史書)이다. 한글 구결본으로 되어 있다.

  • 대동기년 / 大東紀年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윤기진이 편찬한 의 조선사. 5권 5책. 연판본. 조선조 중엽까지의『국조사승』이나 사서인『국조보감』·『조야회통』이 있으나, 그 뒤의 헌종·철종·고종 등 열성조를 일반인이 한눈에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편찬하였다. 서술방식은 비판

  • 고려사절요(갑인자본) / 高麗史節要 [역사/고려시대사]

    1452년 김종서 등이 『고려사』를 저본으로 찬수한 역사서. 1452년(문종 2)에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高麗史)』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纂修)한 역사서이다. 2010년 12월 8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