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편강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편강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史)』(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편강렬 1892(고종 29)∼1928. 독립운동가.이칭별칭 애사(愛史)
- 의성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0년 만주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설립목적] 편강렬(片康烈)ㆍ양기탁(梁起鐸)ㆍ남정(南正) 등이 중심이 되어 조국의 광복과 자유독립국가의 완성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실천행동으로 대원 양성ㆍ농촌 부흥ㆍ친일분자 숙청ㆍ일본인 기관 파...이칭별칭정의부(正義府)
- 삼성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여 삼성암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조선시대까지만 하여도 선승(禪僧)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선원(禪院)으로서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1915년부터 약 10년 동안 의사 편강렬(片康烈)이 일본경찰의 눈을 피하여 제자들과 같이 무술을 닦으며 조국광복을 위하여 힘...
- 이명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3(철종 14)∼1923.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명균(銘均). 경상북도 김천 출신. 1905년 데라우치(寺內正毅)가 해인사를 방문할 때 편강렬(片康烈)과 함께 암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자, 편강렬을 40일간 은신시킨 뒤 여비를...이칭별칭명균(銘均)
- 승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청년단(大東靑年團)을 조직, 활동하였다. 1917년 통화현(通化縣)에 배달학교(倍達學校)를 설립하여 청소년교육과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20년 편강렬(片康烈)을 중심으로 의성단(義成團)을 조직하여 길림(吉林)‧장춘(長春) 등지를 근거지로 만주와...이칭별칭 춘악(春岳)|회균(晦均)
신문·잡지(2)
- 조선출판경찰월보 015호 무명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5호 무명탄 무명탄(無名彈) 창간호 미기재 진녹성(陳綠星) 경성(京城) 조선_1929년 11월 6일 삭제 치안 언한문 편강렬 1. 풍운아 편강렬(片康烈) 군을 추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5호 무명탄 | 출판물명무명탄(無名彈) 창간호
- 조선사상통신_1928_2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若き朝鮮人の願ひ (1) 李光洙 51 水害救濟會まで禁止-社會團体の主催に係る 52 前義成團長の片康烈-病軀を推して滿洲に去る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28
주제어사전(2)
-
편강렬 / 片康烈 [역사/근대사]
1892∼192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애사(愛史). 이강년(李康埏)의 의병부대에 가담하여 1907년 선봉장 겸 소모장이 되어 구국항일운동에 가담하였다. 1908년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하였고, 1911년 ‘105인사건’과 1919년 ‘구월산주비단사건’ 등으로
-
편무경 / 片茂景 [역사/근대사]
어 고문을 당하고 40여일 만에 석방이 되었다. 1924년과 1925년에 족숙(族叔)과 함께 나주(羅州)와 함평(咸平) 등지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아 편강렬(片强烈)이 단장(團長)으로 있던 만주(滿洲) 의성단(義成團)에 보냈다. 공적은 함평공원(咸平公園)에 군민들이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