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패지” 에 대한 검색결과 4,4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22)

사전(110)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시행되던 업무 위임제도. [내용] 패자(牌子) 또는 배지()라고도 한다. 오늘날 행해지고 있는 위임장과 같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금전이 수반되는 거래를 신분을 격하시키는 것이라 판단하여 아랫사람에게 맡겨서 시행하도록 하였다...
  •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상전(上典)이 하인에게 대리로 임무를 위임할 때 자신의 도서(圖署 : 印章)를 찍은 문서. [개설] 는 [牌子]라고도 하는데, 대개 상전이 하인에게 어떤 임무를 부여할 때 발급하는 문서이다. 로서 가장 많은 것은 토지...
  • 장양수급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05년(희종 1)에 진사시 병과에 급제한 장양수에게 내린 급제. [내용] 필사본. 국보 제181호. 누런색 마지(麻紙) 두루마리에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로 쓰여져 있다. 조선시대의 대과ㆍ소과 급제자에게 내린 홍패(紅牌)...
  • 근대신어 : 패전트(앤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1042 패전트 파항 앤트 Pageant 公開餘興, 戶外演劇等이란 意味. 공개여흥, 호외(戶外) 연극 등이란 의미 一種의 演劇이지마는 正式으로 舞臺上에서 演出하는것이 아니라 그냥 假舞臺또는舞臺없이 演出하는것을 ...
    출전新東亞[新東亞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연극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269)

구술자료(2)

기초학문(4)

  • AHP기법을 이용한 기업부수 측정과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3215 한국연구재단 한국부패학회 2005 AHP기법을 이용한 기업부수 측정과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기업부수의 개발 및 측정-AHP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4979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제발전학회 2003 기업부수의 개발 및 측정-AHP기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국제적 부패 관련 경험적 연구의 한계와 개선방안: 부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환, 게재일 : 2004
    36505 이상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세계지역학회 2004 국제적 부패 관련 경험적 연구의 한계와 개선방안: 부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과학적 지식의 정치적 오용: 서울특별시 민생관련 취약분야 반부수조사의 타당성에 관한 비판이론적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2680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연구원 2004 과학적 지식의 정치적 오용: 서울특별시 민생관련 취약분야 반부수조사의 타당성에 관한 비판이론적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9)

  •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浮浪야各處에債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浮浪야各處에債用不少故로至於蕩境이오니內外國人은切勿見欺시옵
    게재일1907년 7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浪浮야 各處에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浪浮야 各處에債用不少故로至於蕩境이오니內外國人은切勿見欺시옵 남署堅井橋 朱熈完 告白
    게재일1907년 7월 4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浪浮야各處에債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孫子錫範이가性本浪浮야各處에債用不少故로至於蕩境이오니內外國人은切勿見欺시옵 남署堅井橋 朱熙完 告白
    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驪州天陽居洪叅判家先塋이在於廣州斗尺里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驪州天陽居洪叅判家先塋이在於廣州斗尺里而百餘年禁養松楸를楊根居名不知尹哥가本家에셔願賣난貌樣으로僞造야方欲偸賣云니內外國人은切勿見欺홈 洪萬杓 告白
    게재일1906년 8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廣州斗尺里叅判家先山松楸를挾雜輩名不知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廣州斗尺里叅判家先山松楸를挾雜輩名不知尹哥가偷賣事로向已出廣告어니와今又聞則楊根旺忠居尹哲鎬와同郡歸余川居韓周卿爲名漢이互相做計에做出僞야欲爲偷賣니 內外國人은切勿見欺於無據凶賊之手시옵 洪萬杓 告白
    게재일1906년 8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8)

  • 조집당에서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국왕에게 녹을 주고 아울러 복연 등에게도 물건을 내린다. 또 연회를 베풀도록 한다”고 하였다. (『續日本後紀』 11 仁明紀) 【원문】 (夏四月)癸酉 饗客徒等於朝集堂 遣從五位下惟良宿禰春道共食 宣勅曰 天皇我御命良萬止詔勅命乎 客人伊聞食止宣久 國爾還退日近久在爾依氐奈毛 國...
    대표표제어조집당에서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2년(壬戌/신라 문성왕 4/발해 이진 13 咸和 13/唐 會昌 2/日本 承和 9)
  •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게도 몸소 물건을 내려 주셨다. 아울러 연회를 베풀어 주도록 하셨다”고 하였다. (『續日本後紀』 19 仁明紀) 【원문】 (五月)癸亥 遣公卿於朝堂 饗客徒 宣詔曰 天皇我詔旨良萬止宣布勅命乎 使人等聞給與止宣波久 皇朝乎拜仕奉天 國爾還退時近在爾依天奈毛 國王爾祿賜比 文矩等爾...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8년(戊辰/신라 문성왕 10/발해 이진 19 咸和 19/唐 大中 2/日本 承和 15, 嘉祥 1)
  • 본국으로의 귀국을 앞둔 발해 사신에게 향응을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내리고 향응을 베푼다고 이르노라”라고 하였다 (『類聚國史』 194 殊俗 渤海 下) 【원문】 (五月)戊辰 詔曰 天皇[我]御命[良万止]詔命[乎] 客人[倍]聞食[止]詔[布]客人[倍乃]國[尒]還退[]時近在[尒]依[弓] 國王[尒]賜祿[比]幷良泰[尒]御手[都]物賜[比]饗賜[...
    대표표제어본국으로의 귀국을 앞둔 발해 사신에게 향응을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24년(甲辰/신라 헌덕왕 16/발해 宣王 建興 7/唐 長慶 4/日本 天長 1)
  • 신라가 고려에 사은사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麗史節要󰡕 1 太祖神聖大王) 【원문】 二月 靺鞨別部達姑衆來寇北邊 時 太祖將堅權鎭朔州 率騎擊大破之 匹馬不還 王喜 遣使移書 謝於太祖 (󰡔三國史記󰡕 12 新羅本紀 12 2 景明王 5年) 【원문】 (春二月)壬申 達姑狄百七十一人侵新羅 道由登州 將軍堅權邀擊大 匹馬無還...
    대표표제어신라가 고려에 사은사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1년(辛巳/신라 경명왕 5/발해 애왕 21/후백제 견훤 22/고려 태조 4 天授 4/後梁 貞明 7, 龍德 1/日本 延喜 21)
  • 부여후왕(夫餘後王) 의라가 하감에게 사자를 파견하여 원조를 요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夫餘後王依羅遣詣龕 求率見人還復舊國 仍請援 龕上列 遣督郵賈沈以兵送之 廆又要之於路 沉與戰 大 廆衆退 羅得復國 爾後每爲廆掠其種人 賣於中國 帝愍之 又發詔以官物贖還 下司冀二州 禁市夫餘之口 (『晉書』 97 列傳 67 四夷 東夷 夫餘)
    대표표제어부여후왕(夫餘後王) 의라가 하감에게 사자를 파견하여 원조를 요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86년(丙午/신라 유례이사금 3/고구려 서천왕 17/백제 고이왕 53, 책계왕 1/晉 太康 7/倭 應神 17)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시행되던 업무 위임제도. 에는 처분의 권한을 가진 윗사람이 심부름하는 아랫사람에게 공식으로 권한을 위임한다는 내용을 적어서 거래 당사자에게 제시하는 공식문서. 이를 받아 처리하는 사람으로는 살림주부·문객·노비 등이었으며, 처리하는 대상은 금전의 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