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팔두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8)
- 팔두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 청동의구들과 같은 무구(巫具)의 하나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 결국 크기(12.3㎝ 안팎) 및 생김새와 기능성에서 볼 때 무구(舞具)가 아닌가 한다. 시대는 청동기의 발전기가 되는 3기(後期)인 서기전 3∼1세기 때로 보고 있다. 팔두령에는 청동거울과 더불어...
- 화순대곡리출토청동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팔두령(靑銅八頭鈴) 1쌍 : 지름 12.3㎝, 방울지름 2.6㎝, ④ 청동쌍두령(靑銅雙頭鈴) 1쌍 : 길이 17.8㎝, 방울지름 2.7㎝, ⑤ 청동손칼[靑銅削具] 1점 : 길이 11.4㎝, 너비 1.7㎝, ⑥ 청동투겁도끼[靑銅銎斧] 1점 : 길이 7.7㎝, 너비 4.4...연계항목화순대곡리출토청동유물(和順大谷里出土靑銅遺物)
- 강원도출토일괄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청동기시대의 일괄유물. [내용] 국보 제146호. 호림미술관 소장. 의기(儀器)로 사용된 각종 방울들로서 간두령(竿頭鈴) 2점, 쌍두령(雙頭鈴) 2점, 조합식 X자형 쌍두령 1점, 팔두령(八頭鈴) 2점으로 된 일괄유물이다. 원래...연계항목강원도출토일괄유물(江原道出土一括遺物)
- 방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춤사위를 들 수 있다. 이 춤은 춤꾼이 도포자락 또는 장삼자락을 머리위에 펴서 두 손으로 잡고 주춤거리며 돌아가는 춤인데, 동남서북 또는 북서남동으로 한 방향씩 돌며 재배한다.이와 동일한 의식(意識)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방울을 들 수 있다. 특히 팔두령(八頭鈴) 또는...
- 금속공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경주 출토의 쌍조간두식(雙鳥竿頭飾), 전라남도 화순 대곡리 출토 팔두령(八頭鈴), 대전 괴정동 출토 검파형동기(劍把形銅器)‧농경문방패형동기(農耕文防牌形銅器), 출토지 미상의 간두식, 여러 곳에서 출토되는 쌍두령(雙頭鈴) 등은 의식에 사용하였던 도구들로 보이며, 표...
고서·고문서(11)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037 B034037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咸鏡道 咸鏡南道安邊都護府邑誌 倉庫 倉庫府倉(在衙舍東穀二千三百四十九石七斗零) 毛只倉(在府南二十五里毛只社穀二千三百四十一石二斗零) 高山倉(在府南七十五里衛翼社穀二千三百四十八石八斗零) 南山倉(在府西二十五里文山社穀二千九百六石九斗...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912 B01591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5月 20日_017 ○備邊司啓曰, 紫燕島永宗鎭, 辛亥以上還上, 指徵無處者, 江都移轉米五十石, 宣惠廳捧留稅收米四十九石八斗零, 而此是自本司句管者, 故不入於本道査啓中矣。 依各邑還上例, 蕩減之意, 分付宣惠...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991 B01599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5月 20日_017 ○備邊司啓曰, 紫燕島永宗鎭, 辛亥以上還上, 指徵無處者, 江都移轉米五十石, 宣惠廳捧留稅收米四十九石八斗零, 而此是自本司句管者, 故不入於本道査啓中矣。 依各邑還上例, 蕩減之意, 分付宣惠...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75 B00697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5月 20日_017 ○備邊司啓曰, 紫燕島永宗鎭, 辛亥以上還上, 指徵無處者, 江都移轉米五十石, 宣惠廳捧留稅收米四十九石八斗零, 而此是自本司句管者, 故不入於本道査啓中矣。 依各邑還上例, 蕩減之意, 分付宣惠廳及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905 B00790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年 5月 20日_017 ○備邊司啓曰, 紫燕島永宗鎭, 辛亥以上還上, 指徵無處者, 江都移轉米五十石, 宣惠廳捧留稅收米四十九石八斗零, 而此是自本司句管者, 故不入於本道査啓中矣。 依各邑還上例, 蕩減之意, 分付宣惠廳及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팔두령 / 八頭鈴 [예술·체육/공예]
결국 크기(12.3㎝ 안팎) 및 생김새와 기능성에서 볼 때 무구(舞具)가 아닌가 한다. 시대는 청동기의 발전기가 되는 3기(後期)인 서기전 3∼1세기 때로 보고 있다. 팔두령에는 청동거울과 더불어 청동기시대 무늬의 전형이 나타나 있다. 점선과 막대선을 비롯한 이등변삼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