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팔도지도”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군현별 지도책. [내용] 8권 8책. 채색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30리 간격의 동일한 지도좌표에 그린 각 군현도(郡縣圖)를 도별로 모은 지도책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5.8㎝, 가로 21.7㎝이며 동...
  • 수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지도와 지리서. [내용] 목판본. 제작연대는 무산(茂山)이 함경도에 있는 것으로 보아 1684년(숙종 10) 이후이고, 경상도에 안음(安陰)과 산음(山陰)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767년(영조 43) 이전에 작성되었음을 ...
  • 동국여지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손 윤형식(尹亨植)가에 전한다. 지도의 윤곽은 정척(鄭陟)과 양성지(梁誠之)의 「동국지도」와 같은 유형이라고 추정되는 국사편찬위원회 소장의 「조선」와 같다. 압록강과 두만강 상류의 유로가 부정확하나 한강ㆍ낙동강ㆍ금강ㆍ대동강 등의 유로는 상세하고 정확하며,...
    연계항목동국여지지도(東國與地之圖)
  • 의성오봉종택소장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책 78매로, 이 중 필사원본으로는 『영남동도회첩(嶺南同道會帖)』, 『장사목록(長沙目錄)』, 『조선(朝鮮)』(17세기말 추정), 『재사종의(齋舍宗議)』, 『구미보신장도목완의(龜尾洑新粧都目完議)』, 『갑진걸물절왜사소(甲辰乞勿絶倭使疏)』 등 오봉 친필의 소...
    연계항목의성오봉종택소장전적(義城梧峰宗宅所藏典籍)
  • 동국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러나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朝鮮>와 일본 도요문고(東洋文庫) 소장의 <조선회도 朝鮮繪圖>도 정척‧양성지의 <동국지도>로 추정된다. 이회(李薈)의 <>로 추정되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고서·고문서(5)

  •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處,且有留居倭人,皆當置鎭者也.小臣自癸酉冬,叨受上旨,考定京畿及,以此凡境內山川阨塞道路遠近,一切州鎭之事,靡不講究,故敢陳管見,至于再三,伏惟睿鑑垂察.上嘉納.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有留居倭人,皆當置鎭者也.小臣自癸酉冬,叨受上旨,考定京畿及,以此凡境內山川阨塞道路遠近,一切州鎭之事,靡不講究,故敢陳管見,至于再三,伏惟睿鑑垂察.上嘉納.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博川有大江, 三登則平壤 東北路要害, 咸吉道 會寧童倉舊居, 黃海道 瑞興據岊嶺, 京畿 水原南路要衝, 原平據臨津, 慶尙道 蔚山, 倭船到泊之處,且有留居倭人,皆當置鎭者也.小臣自癸酉冬,叨受上旨,考定京畿及,以此凡境內山川阨塞道路遠近,一切州鎭之事,靡不講究,故敢陳管見,至于再三,伏...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三登則平壤 東北路要害, 咸吉道 會寧童倉舊居, 黃海道 瑞興據岊嶺, 京畿 水原南路要衝, 原平據臨津, 慶尙道 蔚山, 倭船到泊之處,且有留居倭人,皆當置鎭者也.小臣自癸酉冬,叨受上旨,考定京畿及,以此凡境內山川阨塞道路遠近,一切州鎭之事,靡不講究,故敢陳管見,至于再三,伏惟睿鑑垂察.上...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작자미상, 목판본, 불분권 1책(8장). 지도 순서는 경기,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이다. 전국 8도의 지도를 목판으로 제작한 지도첩이다. 산청이 산음(山陰)으로 표시된 것으로 보아 1767년(영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