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판중추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6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6)

사전(30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고려시대의 중추원과 달리 조선시대의 중추부는 특정하게 관장하는 일이 없었고, 문무당상관으로서 소임이 없는 사람들을 대우하는 기관이었다. 따라서, 이 곳의 판사도 그들 고유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pan Jungchubu sa | MR표기p’an Chungch’ubu 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홍봉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신완표(領議政申琓表)‧홍진도비(洪振道碑) 등이 있다.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이칭별칭 우서(虞瑞)| 간산(?山)
  • 판추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 徐判樞謝狀, 서명응(徐命膺), 44-165 (봉투)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L14_D_0543 黃致身 인물 孟忠, 志學, 蔭補, , 胡安 長水縣 厖村, 我太宗 D_04_01_27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47)

  • 二月。 李滉請於文昭殿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二月。 李滉請於文昭殿 28_119_058.jpg ○二月。 李滉請於文昭殿,正太祖東向及昭穆之位,不從。 上之初卽位也,英明穎悟,一國顒望聖德之成就。 未幾,流俗之說,日聒于前,上意已染俗,見李滉承召入京,雖加寵敬,而無虛懷典...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追記 (李畬)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追記 (李畬)撰 37_075_009.jpg 追記 (李畬)撰 舊表立於崇禎四年辛未。其後, 中外多士。請以先生與文簡成先生從祀聖廟, 歷仁、孝、顯三朝而請益力。今上壬戌, 始許之。己巳, 姦壬柄國, 士禍滔天, 至輟兩先生之享...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十二月辛丑。 崇政大夫、李滉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十二月辛丑。 崇政大夫、李滉卒 28_119_108.jpg ○十二月辛丑。 崇政大夫、李滉卒。 滉字景浩, 性度溫醇, 粹然如玉 粹....玉: 대규에는 없음.。 少以科第發身, 晩乃志乎性理之學, 不樂仕宦。 乙巳之難, 李...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秋。 李滉承召命入京, 拜崇政大夫、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秋。 李滉承召命入京, 拜崇政大夫、 28_119_057.jpg ○秋。 李滉承召命入京, 拜崇政大夫、。 上必欲致滉, 屢下恩召, 詞旨甚懇。 滉不得已詣闕謝恩, 然無久住之計, 姑以仰答恩命而已。 ○白仁傑謝病歸坡州。 仁傑...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35837 B035837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景宗修正實錄 元年(1721) 十二月 경종수정실록_10112012_001 ○戊辰 / 安置原任領議政金昌集於巨濟府, 李頣命於南海縣, 趙泰采於珍島 ...
    출처전거景宗修正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따라서, 이 곳의 판사도 그들 고유의 담당업무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순장(巡將)으로서 행순(行巡 : 순찰)의 임무를 맡는다든가 관찰사나 병마절도사로 겸임되는 등 실질적인 기능을 가지기도 하였다.

  • 강혼 / 姜渾 [종교·철학/유학]

    공조판서, 우찬성, 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목계일고』가 있다.

  • 교정청 / 校正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내정개혁을 위하여 잠시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1894년(고종 31) 6월 11일 동학도들의 폐정개혁 요구와 일본의 내정간섭 압력 속에서 그 타개책의 한 방편으로 응급설치된 것이다. 당시 영의정 심순택, 영중추부사 신응조, 김홍집 등 재상들이 총

  • 김시양 / 金時讓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김언묵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석,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인갑, 어머니는 남양 홍씨로 서윤 홍이곤의 딸이다. 1605년(선조 3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전라도도사, 예조정랑, 도원수,

  • 김학성 / 金學性 [종교·철학/유학]

    서· 등을 지냈다. 편서로는《청풍김씨세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