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파한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102)
- 파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按廉使) 대원왕공(大原王公)의 후원으로 초간되었다. 현재 당시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는다. 1659년(효종 10)에 엄정구(嚴鼎耉)가 경주부윤 재임 중에 조속(趙涑)의 가장비본(家藏秘本)을 가지고 각판(刻板)한 중간본이 남아 있다. ≪파한집≫의 권 상은 시평(詩評...
- 파한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중기의 문신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시화‧잡록집.정의고려 중기의 문신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시화‧잡록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Pahanjip | MR표기P’ahanj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분황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와 고려시대에 있었던 불교의 한 종파. [내용] 『파한집』에 왕륜사(王輪寺)의 승려인 광천(光闡)을 ‘분황종 광천사(芬皇宗光闡師)’라 하였고 『고려대장경교정별록(高麗大藏經校正別錄)』의 추함대집경조(推含大集經條)에는 “본조(本朝 : 고...
- 은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술이었다고 한다. [내용 및 평가] 그 내용은 아들 세황(世黃)의 「파한집발(破閑集跋)」에 의하면, 고부(古賦) 5수, 고시와 율시 1,500여 수였다고 전한다.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권보(權溥)의 묘지명에 “은대시집 20권을 주(註)하였다.”라는 구...
- 오세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사(高麗史)』 『파한집(破閑集)』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한국문학통사 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고서·고문서(7)
- 파한집(破閑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파한집(破閑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破閑集 ; 補閑集 ; 益齋集 ; 雅言覺非; 東人詩話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이인로의 [파한집],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익재집] 정약용의 [아언각비], 서거정의 [동인시화]를 엮은 것이다.자료구분문헌 | 저자朝鮮古書刊行會(編) | 출처朝鮮群書大系[正] 제19집 | 발행년도1911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三謚文淸家集十卷續破閑集三卷行於世子有侯密直副使文翰學士有*비東京留守判官有渰自有傳출처전거高麗史 권10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희구재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것이고, 點을 찍은 것들은 先親이 찍은 것인데 어떤 이유로 찍은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識破閑集抄 (42) 1754. 『破閑集抄』의 識文. 손자 亨을 위해 『破閑集』의 詩를 선별하여 엮으니 공부에 도움되기 바란다는 내용. 識庸學合部-丁丑-中庸一卷昔在辛丑入於...분야문학 | 유형문헌
연구과제(1)
-
파한집
한국 학술 번역사업 | Dennis WUERTHNER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4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20)
-
파한집 / 破閑集 [종교·철학/유학]
고려 중기의 문신 이인로의 시화·잡록집. 3권 1책. 목판본. 권상은 시평 12조, 서필담 1조, 수필 7조, 시화 1조, 문담 2조, 기행문 1조, 권 중은 시평 13조, 수필 13조, 권하는 시평 15조, 수필 18조 등의 도합 83조가 수록되어 있다. ≪파한집
-
회문시 / 回文詩 [문학/한문학]
시를 첫머리나 뒤에서부터 거꾸로 읽어도 의미가 통하고 시법에도 어긋나지않게 지은 한시. 회문시의 시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 破閑集』에서는 중국 진(秦)나라 소백옥(蘇伯玉)의 처가 지었다는 「반중시 盤中詩」와, 두도(竇滔)의 처
-
잡서 / 雜書 [문학/한문학]
자가 『잡서』를 『속파한집』의 뒤에 붙인 것은 두 책이 같은 성격의 저술이었기 때문이다. 이장용도 『잡서』를 신화류(新話類)라 하였는데, 이는『잡서』가 시화집이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최자가 『보한집』에서 정서가 『잡서』에 최유선(崔惟善, ?∼1075)의 「규정시(閨
-
쌍명재시집 / 雙明齋詩集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의 문인 이인로(李仁老, 1152∼1220)가 편찬한 시문집. 이인로가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의 말석에 참석하여 기로(耆老)들이 주고받은 시문과 잡저(雜著)를 3권으로 엮은 것이다.『쌍명재시집』에 관한 기록은 「파한집발(破閑集拔)」,『동문선(東文選)』권83「
-
장원정 / 長源亭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정지상(鄭知常)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동문선』·『대동시선(大東詩選)』 등 각종 선발책자(選拔冊子)에 수록되어 있다. 『파한집(破閑集)』에는 제2·3연만 실려 있다. 왕을 호종(扈從)하여 개성 서강(西江)가에 있는 장원정에 갔다가, 장원정의 위용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