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통제중군”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와함께 통제사도 타도의 수군절도사와는 달리 그 실질적 지위를 올려 총융사(摠戎使)와 같은 위계가 되게 하였다. 이에 따라 그 막하(幕下)의 통우후도 지위상 타도의 수군우후와 달리 으로 개칭하여 위계를 승격시켰고 그 임기는 2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관...
  • 부호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관(禁衛營將官) 6인, 어영청장관(御營廳將官) 7인, 총융청장관(摠戎廳將官) 3인, 내의원의원(內醫院醫員) 4인, 사자관(寫字官) 1인, 포도군관(捕盜軍官) 5인, 금군(禁軍) 13인, () 1인이었다. 『경국대전(經...
  • 부호군(副護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대신하여 () 1명을 넣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박용운, 『고려시대 관계·관직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79....
    동의어섭호군(攝護軍) | 관련어오위(五衛)
  • 병전(兵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외관의 인사 관리 규정이 추가되었다. 『대전통편』에는 병사와 중군·우후의 인사 관리, 경기 수사 혁파 등이 추가되었고, 『대전회통』에서도 통제사, , 우후, 첨사 등의 인사 관리 규정이 추가되었다. ‘시취’에 대해서는 관혁(貫革), 유엽전, 조총, 편추 과목이...
    관련어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고서·고문서(1)

  • 賊謀叵測, 慮所不慮之道, 全然不備, 果涉疎虞矣。 上曰, 鼎足山城之於孫石項, 相距幾許乎? 櫶曰, 爲十里許云矣。 上曰, 之夏防, 移駐於見乃梁, 果好法, 而江華則中軍在府中乎? 櫶曰,然矣。 上曰, 鎭撫中軍, 亦出防, 似好, 若移駐於鼎足山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국방]

    영에서 관리하며 3도의 감영에서 간섭할 수 없도록 하였다. 이와함께 통제사도 타도의 수군절도사와는 달리 그 실질적 지위를 올려 총융사와 같은 위계가 되게 하였다. 이에 따라 통우후도 지위상 타도의 수군우후와 달리 으로 개칭하여 위계를 승격시켰고 그 임기는 2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