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통위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4)
- 통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원(禁松書員) 1인, 순령수(巡令手) 78인, 등롱군(燈籠軍) 38인, 병정 2,250인, 작대병(作隊兵) 1,960인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891년 2월에 새로운 군영인 경리청(經理廳)이 생기면서 통위영에 속하였던 전 총융청군(摠戎廳軍)이 분리되었고,...
- 통위영(統衛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통위영 통위영 統衛營 군영(軍營), 군제(軍制), 영제(營制), 관방(關防), 해방영(海防營), 장위영(壯衛營), 총어영(總禦營), 해방사(海防使), 통위사(統衛使), 장위사(壯衛使), 별영사(別營使), 총어사(總禦使) 정치군사...관련어군영(軍營), 군제(軍制), 영제(營制), 관방(關防), 해방영(海防營), 장위영(壯衛營), 총어영(總禦營), 해방사(海防使), 통위사(統衛使), 장위사(壯衛使), 별영사(別營使), 총어사(總禦使)
- 각처방위사통초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두 글자를 써서 사서(私書)가 아님을 표시한 데서 유래되었다. 내용은 주로 각 감영이나 친군통위영(親軍統衛營)‧총어영(總禦營) 등 여러 군영 및 기계국(器械局)‧광무국(鑛務局)‧전보국(電報局) 등 여러 부서에서 보낸 사통에 대하여 아문의 독판(督辦)의 지시사항을...
- 박용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復科)되고, 이듬해에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었다. 1887년 주서를 거쳐 1887년 8월에 홍문관교리에 임명되었다. 1888년에 정언(正言)을 거쳐 이듬해에는 통위영군사마(統衛營軍司馬), 장악원정(掌樂院正),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하...이칭별칭영훈(泳薰)
- 이규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별군관(別軍官)에 임명되었다. 당시 동학군에 대한 정부군의 선봉장으로서 통위영(統衛營)의 병졸을 이끌고 청주ㆍ공주지역에 출동하였다. 따라서, 직접 공주 및 목천세성전투(木川細城戰鬪)에 참가하여 동학군의 동태보고와 일정한 전공도 세웠다. 1895년 을미사변...이칭별칭 기원(基元)| 호은(湖隱)
고서·고문서(6)
- 袁世凱 : 訴訟 34-商民糾紛 : 漢城(상민 분규 : 서울)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원세개 소송(袁世凱 訴訟) | 주제어각종 분규, 纠纷,糾紛, 중국상인, 중국 순차(巡差)와 조선 통위영 병정 간의 집단 분규
- 李埈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統衛營兼機器局總辦鍊武公院辦理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埈公事歷』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1. 06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五匹京畿監營撥站, 三十一匹統衛營, 二十五匹壯衛營, 十六匹摠禦營, 十二匹兵曹軍馬分給除, 實納馬三十三匹, 禾毛色別單書入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명성황후가 민영소에게 보낸 편지(91)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국립고궁박물관 명성황후 편지글(이기대, 2007, 다운샘) 국립고궁박물관 영인사항 : 명성황후 편지글(이기대, 2007, 다운샘) 이 편지는 명성황후가 민영소에게 보낸 것이다. 본문에서 “통위영”을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이 편지의 발신 시기는 통위영이 설치되었...발신자명성황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猖獗, 愈往愈甚, 膽敢戕害官軍, 天討不容少緩。 京營及該營兵丁, 左右竝力, 剋日勦滅事, 嚴飭該道道帥臣何如?” 又啓: “卽伏見江華留守金允植狀本, 則‘沁營砲糧錢米木中, 前武衛所移劃水蔘包蔘稅錢十五萬三千八百兩, 東萊木十同二疋, 統衛營前海防衙門移劃米九千八百五十五石, 經理廳移劃茂朱...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前營教長任叅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슈부에셔 젼 통위영과 쟝위영과 경리쳥 교쟝즁 각일 인식을 초츌하야 북쳥 진위 참위를 보직하엿는데 통위영에는 김계씨오쟝위영에는 김명삼씨오 경리쳥에졍현씨더라게재일1902년 8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塡補休職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부 각 대에셔 위관 궐이 지금 구십여명인데 일젼에 군부에셔 그 위관을 젼츙로 젼 공병 휴직위관과 젼 쟝위영과 통위영 령관즁으로 바 젼츙하기로 작뎡한다더라게재일1901년 7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前營官更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년칠월분에 젼통위영 장위영경리쳥관과 교장즁에 리력잇 사을 용케라신 쳐분을 나리셧더니 작일에다시 쳐분을나리샤 그 리력잇 군인을 다시 셩하야 드리라 하신고로 젼각영 장교들이 동셔분쥬즁이라더라게재일1902년 7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4)
-
통위영 / 統衛營 [정치·법제/국방]
1888년 4월에 설치된 삼영(三營). 종래의 군제가 각 영에 분산되어 있어 경비부담이 많고 편제에도 모순이 많아 개편되었는데, 3영 가운데 중영으로서 친군오영의 우영, 후영, 해방영을 통합, 계승하였다. 1891년 2월에 새로운 군영인 경리청이 생기면서 통위영에 속
-
각처방위사통초책 / 各處防僞私通草冊 [역사/근대사]
표시한 데서 유래되었다.내용은 주로 각 감영이나 친군통위영(親軍統衛營)·총어영(總禦營) 등 여러 군영 및 기계국(器械局)·광무국(鑛務局)·전보국(電報局) 등 여러 부서에서 보낸 사통에 대하여 아문의 독판(督辦)의 지시사항을 보낸 것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해방아문 / 海防衙門 [역사/근대사]
)에서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이후 1888년 4월 군제 변통으로 친군오영의 우영 및 후영과 함께 하나로 합하여져 통위영(統衛營)으로 재편되었다.
-
군무아문 / 軍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설치된 군사에 관한 일을 담당한 중앙행정부서.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 총어영, 통위영, 장위영, 경리청, 호위, 훈련원, 군직청, 용호영, 기기국, 선전관청, 수문장, 부장청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